000 | 00734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378578 | |
005 | 20100806064444 | |
007 | ta | |
008 | 070704s2007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56262512 ▼g 03680 | |
035 | ▼a (KERIS)BIB000010971113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82 | 0 4 | ▼a 791.4309519 ▼2 22 |
085 | ▼a 791.430953 ▼2 DDCK | |
090 | ▼a 791.430953 ▼b 2007d | |
100 | 1 | ▼a 오영숙 ▼0 AUTH(211009)40091 |
245 | 1 0 | ▼a 1950년대, 한국영화와 문화 담론 = ▼x Korean cinema and the cultural discourse in the 1950s / ▼d 오영숙. |
260 | ▼a 서울 : ▼b 소명출판 , ▼c 2007. | |
300 | ▼a 252 p. : ▼b 삽도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p. 241-252 | |
940 | ▼a 천구백오십년대, 한국영화와 문화 담론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953 2007d | Accession No. 11142846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14-02-18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953 2007d | Accession No. 1114284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953 2007d | Accession No. 1114419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50년대가 갖는 시대적 특수성과 그 거대한 변화의 흐름에 대응한 한국 영화의 자리를 살폈다. 1950년대, 파괴와 해체, 쇄신과 건설의 소용돌이 속에서 형성된 전후의 역동적인 시공간. 이 시기 영화라는 매체는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었고, 1950년대적이라 할 수 있는 한국영화의 특성은 무엇이었는가를 탐문하고자 했다.
1950년대 현실과 대응하는 영화와 문화 담론의 위상을 살펴봄에 있어 지은이가 주목하는 것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 개인의 모습이자 목소리이다. 영화를 비롯한 대중문화와 문화 담론을 통해 목격되는 1950년대는, 한국 근대사에서 사회 집단적 경험에 가려지곤 하던 개인적이고 사적인 부분이 전대에 비해 강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시기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새로운 시작 제2장 발견으로서의 1950년대 1 1950년대 새로 쓰기 = 15 2 도시화와 대중매체 = 21 3 새로운 화두 : 개인ㆍ인간ㆍ자아 = 24 제3장 1950년대 영화와 문화 담론 1 이념의 진공과 탈계몽 = 35 2 영화의 위상 : 산업ㆍ예술ㆍ개성 = 49 3 육체ㆍ성ㆍ사생활 = 64 제4장 시대정신과 장르 형식 1 시대극과 개인 = 107 2 범죄와 공포 = 150 3 멜로드라마와 고백 = 166 4 코미디와 열린 사회 = 198 제5장 나오며 참고문헌 =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