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재외 한인단체의 형성과 현황 :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재외 한인단체의 형성과 현황 :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임채완 최협, 崔協, 1947- 오수열 윤성석 전형권 나형욱
서명 / 저자사항
재외 한인단체의 형성과 현황 :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 임채완 [외저].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2007.  
형태사항
xx, 303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총서 ;10
ISBN
8930312144 8930311962(전11권)
일반주기
공저자: 최협, 오수열, 윤성석, 전형권, 나형욱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95-303
000 01044camccc200337 k 4500
001 000045377644
005 20220818115111
007 ta
008 070720s2007 ggka b 000c kor
020 ▼a 8930312144 ▼g 94060
020 1 ▼a 8930311962(전11권)
035 ▼a (KERIS)BIB000010964901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25.2519 ▼2 22
085 ▼a 325.253 ▼2 DDCK
090 ▼a 325.253 ▼b 2005e ▼c 10
245 0 0 ▼a 재외 한인단체의 형성과 현황 : ▼b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 ▼d 임채완 [외저].
260 ▼a 파주 : ▼b 집문당, ▼c 2007.
300 ▼a xx, 303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총서 ; ▼v 10
500 ▼a 공저자: 최협, 오수열, 윤성석, 전형권, 나형욱
504 ▼a 참고문헌: p. 295-303
536 ▼a 이 총서는 2003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700 1 ▼a 임채완 ▼0 AUTH(211009)129242
700 1 ▼a 최협, ▼g 崔協, ▼d 1947- ▼0 AUTH(211009)80746
700 1 ▼a 오수열 ▼0 AUTH(211009)58680
700 1 ▼a 윤성석 ▼0 AUTH(211009)106713
700 1 ▼a 전형권 ▼0 AUTH(211009)89735
700 1 ▼a 나형욱 ▼0 AUTH(211009)119919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5.253 2005e 10 등록번호 1114280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53 2005e 10 등록번호 1114280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임채완(지은이)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전 단장,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정치사회학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총서를 펴내며 = ⅲ
추천사 = ⅶ
서문 = ⅸ
Ⅰ. 머리말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7
  1) 연구내용 = 7
  2) 연구방법 = 12
  3) 선행연구 검토 = 13
Ⅱ. 미국 한인단체 = 25
 1. 재미 한인단체 형성과 발전 = 27
  1) 재미 한인단체의 형성 = 27
  2) 해방 이전 한인단체의 활동 = 30
  3) 해방 이전 한인단체의 특징 = 37
 2. 미국 한인단체의 지역별ㆍ기능별 현황 = 38
  1) 한인단체 현황 = 38
  2) 지역별ㆍ기능별 한인단체 현황 = 40
 3. 미국 한인 대변 단체: 한인회 = 42
  1) 한인회의 지역적 분포 = 42
  2) 미주한인회총연합회(The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44
  3) LA 지역 한인회 = 49
  4) NY 지역 한인회 = 52
  5) 시카고 지역 한인회 = 56
  6) 지역한인회의 조직적 특성 = 61
 4. 미국 한인 사회봉사단체의 현황 = 64
  1) 미주한인 사회봉사단체의 지역별 현황 = 64
  2) 한인 사회봉사단체의 기능별 활동 = 65
  3) 재미한인 사회봉사단체의 특징 = 88
 5. 재미한인 연고단체의 기초 현황 = 90
  1) 재미 동문회 = 90
  2) 재미 향우회 = 92
  3) 재미 종친회 = 94
 6. 재미한인 종교단체의 현황 = 95
  1) 미주한인의 종교단체별 현황 = 95
  2) 미주한인 종교단체의 지역별 현황 = 97
 7. 재미 한인단체의 특징과 문제점 = 98
  1) 해방 이전 민족단체의 형성과 갈등 = 98
  2) 다양한 한인단체의 형성과 발전 = 99
  3) 1.5세 중심의 사회봉사단체 출현 = 100
  4) 기독교 중심의 종교단체 = 100
Ⅲ. 일본 한인단체 = 103
 1. 재일 한인단체의 형성과 현황 = 105
  1) 해방 이전 한인단체의 형성 = 105
  2) 해방 이전 한인단체의 활동 = 107
  3) 해방 이전 한인단체의 현황 = 110
 2. 일본 한인단체의 지역별ㆍ기능별 현황 = 112
  1) 한인단체 현황 = 112
  2) 지역별ㆍ기능별 한인단체 현황 = 114
 3. 일본의 한인 대변 단체: 민단, 조총련, 재일한인회 = 118
  1) 재일본대한민국민단 = 118
  2)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 131
  3) 재일본한국인연합회 = 145
 4. 재일한인 사회봉사단체의 활동 = 149
  1) 재일코리안청년연합 = 149
  2) 코리아NGO센터 = 150
  3) 재일한국상공회의소 = 152
  4) 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 = 154
  5) 재일본조선인 인권협회 = 156
  6) UG비지니스클럽 = 159
 5. 재일한인 연고단체의 활동 = 160
  1) 향우회 = 160
  2) 제주도 촌 친목회 = 163
  3) 종친회 = 164
 6. 재일 한인단체의 특성 = 165
  1) 민족운동의 전개 = 165
  2) 민단과 조총련의 갈등 = 166
  3) 뉴커머 단체의 등장 = 167
  4) 3세대ㆍ4세대 중심의 시민단체 활동 = 167
Ⅳ. 중국 한인단체 = 169
 1. 한인단체의 형성 = 171
  1) 해방 이전 한인사회단체의 형성과정 = 171
  2) 해방 이전 한인단체의 활동 = 173
  3) 해방 이전 한인단체의 성격 = 177
 2. 지역별 한인단체의 현황 = 181
  1) 중국의 사회단체 현황과 정책 = 181
  2) 재중동포의 단체구성 = 186
  3) 조선족 단체 지역별 조직 현황 = 189
 3. 기능별 한인단체의 현황 = 196
  1) 조선족 상공인단체 = 196
  2) 한인 대변 단체: 재중한국인회 = 197
  3) 종교단체 = 210
  4) 문화예술단체 = 216
  5) 여성단체 = 220
  6) 전문가집단: 중국조선족과학기술자협회 = 222
  7) 기타 자생적 단체 = 226
 4. 중국 한인단체 활동의 특징과 문제점 = 231
Ⅴ. 러시아ㆍ중앙아시아의 한인단체 = 237
 1. 구소련 지역 한인사회의 형성과 단체의 조직 = 239
  1) 구소련 지역 한인사회의 형성과정 = 239
  2) 소비에트하 한인단체의 결성과 역할 = 242
 2. 소련해체 후 한인단체의 형성과 활동 = 246
  1) 한인(고려인)의 복권과 단체조직 = 246
  2) 민족문화자치단체의 대두 = 250
  3) 한인단체의 분포와 활동 현황 = 252
  4) 국가별 한인단체의 활동 현황 = 253
 3. CIS 지역 고려인협회의 현황과 활동 = 258
  1) 설립배경과 목적 = 258
  2) 주요 활동 = 260
  3) 조직 구성 = 262
  4) 국가별 고려인협회의 활동 = 263
  5) 고려인협회 산하기구: 거북선 = 272
 4. 기타 한인단체 활동 현황 = 273
  1) 조국통일촉진협회 = 273
  2) 종교단체 = 276
 5. 러시아ㆍ중앙아시아 한인단체의 특징과 문제점 = 278
  1) 대표단체간의 분화와 반목 = 278
  2) 빈약한 한인단체의 조직과 활동 = 281
  3) 리더십과 재정의 부족 = 282
Ⅵ. 맺음말 = 285
 1. 연구결과의 요약 = 287
 2. 연구결과의 의미와 전망 = 292
참고문헌 = 295


관련분야 신착자료

Ivanovna, Din Yuliya (2022)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