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글로벌 거버넌스의 이해
1. 글로벌 거버넌스의 도전 = 3
글로벌 거버넌스는 무엇인가 = 4
글로벌 거버넌스의 세부부문 = 5
국제법 = 5
국제규범 혹은 '연성법' = 7
정부간기구 = 8
비정부기구 = 12
국제레짐 = 14
특별제도 = 15
글로벌 회의 = 15
사적 거버넌스 = 16
글로벌 거버넌스의 행위자 = 18
국가 = 18
정부간기구 = 20
비정부기구 = 20
전문가 = 21
글로벌 정책 네트워크 = 22
다국적기업 = 23
글로벌 거버넌스 필요성의 점진적 증대? = 25
세계화 = 25
냉전종식 = 29
초국가적 시민사회의 등장 = 30
주권의 경쟁적 성격 = 30
글로벌 거버넌스의 과정 : 다자주의의 중요성 = 32
복합외교 = 32
어떻게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가? = 34
리더십 = 35
행위자의 전략 = 35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와 효율성 = 37
힘 : 누가 무엇을 얻는가? = 37
정통성 = 38
책임성 = 40
효율성 : 성공과 실패의 측정 = 41
2. 글로벌 거버넌스의 이론적 토대 = 43
자유주의 = 44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혹은 신자유주의 = 47
기능주의 = 50
국제레짐 = 52
공공재 이론 = 54
현실주의 = 57
신현실주의 혹은 구조적 현실주의 = 58
전략적 혹은 합리적 선택이론 = 61
패권안정이론 = 62
구성주의 : 대안적 접근법 = 64
비판이론 = 68
마르크스주의와 네오 마르크스주의 이론 = 68
종속이론 = 71
세계체제론 = 72
조직이론 = 73
조직문화 = 74
조직 적응과 학습 = 75
조직간 관계 = 75
네트워크 = 76
국제관계 이론과 글로벌 거버넌스 = 78
제2부 글로벌 거버넌스의 부분적 발전
3. 글로벌 거버넌스 세부부문의 설립 = 83
국가체제와 그 취약점 = 84
19세기의 거버넌스 혁신 = 85
유럽회의 = 86
공공 국제동맹 = 87
헤이그 체제 = 87
19세기의 유산 = 88
20세기의 다자주의 = 89
국제연맹 - 실패로부터의 교훈 = 89
기능적ㆍ전문적 기구들의 강화 = 93
글로벌 회의 = 107
판결 및 분쟁해결을 위한 국제재판소 = 111
4. UN : 글로벌 거버넌스의 중심 = 125
UN의 설립 = 126
국제연맹에서 UN까지 = 126
UN헌장과 주요 원칙 = 127
UN의 주요 기관 = 130
총회 = 130
안전보장이사회 = 141
경제사회이사회 = 146
사무국 = 150
국제사법재판소 = 159
신탁통치이사회 = 160
세계정치와 UN의 발전 = 162
냉전세계에서의 정치 = 162
탈냉전 세계정치 = 165
새천년 시대 세계화와 세계정치 = 166
조직적 문제의 지속과 개혁의 필요성 = 168
재정 = 169
조정과 관리 = 174
안전보장이사회의 구조 개혁 = 177
비국가 행위자들의 통합 = 180
UN의 지역 기구들과의 관계 = 181
5. 지역기구 = 185
지역주의의 근원과 역학관계 = 188
지역의 정의 = 188
지역주의를 이끈 정치적 요소 = 189
지역주의를 이끈 경제적 요소 = 192
지역주의의 두 갈래 흐름 = 193
유럽의 지역기구 = 195
북대서양조약기구 = 196
유럽안보협력기구 = 201
유럽연합 = 203
독립국가연합 = 221
유럽은 다른 지역의 모델인가? = 222
미주의 지역기구 = 223
미주 지역주의의 발전 = 223
반구적 지역주의 : 미주기구 = 227
반구적 지역주의 : 미주 정상회담의 과정 = 232
하위지역 통합 = 233
아시아의 지역기구 = 239
동남아시아국가연합 = 241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기구 = 246
ASEAN 지역포럼에서의 아시아-태평양 안보 대화 = 252
아프리카의 지역 기구 = 254
아프리카통일기구에서 아프리카 연합으로 = 254
하위지역통합 구상 = 259
지역 발전의 정체요인 = 261
중동의 지역기구 = 262
아랍국가연맹 = 262
걸프협력회의 = 264
지역주의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 = 265
6. 비국가 행위자 : NGO, 네트워크, 사회운동 = 269
비국가 행위자의 활동 = 269
제1막 : 글로벌 거버넌스 영역의 확장 및 제한 = 269
제2막 : 비국가 행위자의 어두운 면 = 271
비국가 행위자의 범위 = 272
비정부기구 = 272
네트워크와 연합 = 276
사회운동 = 278
글로벌 공공정책 네트워크 = 280
전문가와 인식공동체 = 281
이윤추구 비정부기구 : 다국적기업 = 282
글로벌 시민사회로 가는가? = 283
비국가 행위자들의 성장 = 284
비정부기구 영향력 증대에 관한 역사적 시각 = 285
비국가 행위자 참여 증대의 이유 = 287
비정부기구의 역할 = 290
비정부기구와 정부간기구와의 관계 = 292
UN = 292
UN 기구들 = 296
주요 경제기구 = 297
글로벌 회의 참여 = 300
미래를 위해서 : 자신들의 회의체? = 302
유럽연합과의 관계 = 302
비정부기구 영향력과 한계 = 304
영향력의 원천 = 305
비정부기구 영향력의 한계 = 307
비국가 행위자의 영향력으로 국가주권이 악화되었나? = 311
7.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가의 역할 = 315
국가중심의 행동 구성 = 315
국가와 비국가 행위자의 복합적 상호작용 = 316
미국의 주요 역할 = 319
역사적 기록 = 319
미국과 정부간기구의 관계 = 323
다른 강대국들 = 327
중견 국가 = 333
약소국과 개발도상국 = 335
국가의 전략들 = 337
포럼 참여 = 337
연합구축 = 338
다자외교에 대한 도전 : 문화간 협상 = 343
문화는 중요한가? = 344
협상 스타일 = 345
합의의 도출 = 347
제3부 글로벌 거버넌스의 필요성
8. 평화와 안보의 모색 = 353
사례연구 : 분수령이 된 소말리아 = 353
전쟁 : 안보 거버넌스 세부부문의 기원 = 356
안보를 위한 정부간기구 헌장 = 359
무력사용 관련 규범 = 360
국제관계이론과 안보 거버넌스의 연계 = 366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기제 = 367
예방외교 = 369
조정 = 372
선고와 중재 = 374
집단안보, 이행과 제재 = 378
군사력을 포함한 집단안보 노력 = 379
이행과 제재 = 380
평화유지 = 389
이행과 평화유지의 차이 = 390
전통적 혹은 제1세대 평화유지 = 395
제2세대 평화유지와 평화구축 = 396
제3세대 평화유지 : 강제이행과의 모호한 구분 = 402
평화유지의 성공과 실패 평가 = 407
인도적 개입 = 411
군비통제와 군축 = 415
군비통제 의제 설정 = 415
핵능력의 확산 제한 = 417
생화학무기 금지 = 420
지뢰 금지 = 423
안보 거버넌스 세부부문의 모음 = 425
아랍-이스라엘 분쟁 = 425
국제평화에 대한 중동의 다른 위협 = 434
새로운 안보 위협 : 테러리즘에의 대처 = 435
테러리즘에 대한 국제적 대응 = 438
2001년 9월 11일에 대한 국제적 반응 = 442
인간 안보의 도전 = 445
9. 인간개발과 경제복지의 증진 = 449
사례연구 : 채무구제 = 449
글로벌 경제의 진전 = 454
자유경제 규범의 세계화 = 455
브레튼우즈 체제와 워싱턴 합의 = 456
다국적기업의 역할 = 457
자유경제 규범에 대한 비판 = 457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의 세부부문 = 460
발전의 금융 : 세계은행, IMF, UN체제, 그리고 비정부기구 = 460
무역 : GATT에서 WTO까지 = 480
거시경제정책의 조율 : G-7의 역할 = 488
기능적 레짐 : 자유경제 질서의 윤활제 = 490
지적재산권 = 492
민간 거버넌스 = 493
경제 거버넌스의 지역화 = 496
유럽연합의 단일시장 = 496
북미자유무역협정 = 500
ASEAN 자유무역지대 = 502
지역 다자 개발은행 = 503
경제의 세계화와 아프리카 : 문제 사례 = 507
자유경제체제에 대한 비판에서 반세계화 운동까지 = 512
경제 거버넌스의 핵심 기능에 대한 비판 = 513
다국적기업에 대한 통제에서 다국적기업과의 파트너십까지 = 513
다른 유형의 조직화 : 정부간 자원 카르텔 = 516
비판자이자 도전자로서 비정부기구 = 517
반세계화 운동 = 518
10. 인권 보호 = 523
사례 연구 : 소년병 = 523
인권 규범의 기원 = 526
종교적 전통 = 527
철학자와 정치이론가 = 528
쟁점 : 보편적 인권 혹은 문화상대주의 = 529
인권 제도와 운영원리 = 531
비정부기구와 인권운동 = 532
국제연맹 = 534
국제연합 = 537
인권 거버넌스의 과정 = 541
인권 기준과 규범의 설정 = 542
인권감시 = 547
인권증진 = 556
인권강제 = 558
활동 중인 전 세계적 인권거버넌스 = 565
집단학살과 인종청소 = 565
여성에 대한 폭력 = 570
미국의 역할 = 573
세계화 시대의 인권확장 = 576
11. 환경 보호 = 579
사례연구 : 브라질 아마존의 열대림 = 579
환경 문제와 안보, 경제, 인권의 연계 = 583
이슈영역으로서 환경의 등장 = 584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의 세부부문 = 585
국제회의들과 규범의 제정 : 스톡홀름에서 요하네스버그까지 = 585
환경 거버넌스에 있어서 비정부기구의 역할 = 590
인식공동체의 역할 = 593
글로벌 환경레짐과 제도 = 595
환경레짐의 원칙 = 595
글로벌 환경협정 = 595
국제 환경기구 = 598
글로벌 거버넌스의 실제 = 605
오존층 파괴 : 성공의 분석 = 605
지구온난화 : 글로벌 거버넌스의 난관 = 607
지역 환경 거버넌스 = 610
유럽연합 = 611
북미자유무역협정 = 614
동남아시아국가연합 = 616
지역 환경협정 = 618
이행, 준수, 실효성 문제 = 620
제4부 글로벌 거버넌스의 딜레마
12. 21세기 글로벌 거버넌스의 딜레마 = 625
새로운 쟁점과 다양한 접근방법 = 625
HIV/AIDS : 인간안보에 대한 새로운 위협 = 625
인터넷 : 권한부여와 사적 거버넌스 영역 = 635
무엇이 글로벌 거버넌스를 다르게 만드는가? = 641
정연한 분류와 획일화의 어려움 = 642
행위자의 확산 :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의 필요성 증대 = 643
세부부문에서의 조직화된 무질서 = 644
미래에 대한 과제 = 646
정통성 = 647
책임성 = 649
효율성 = 651
약어 = 657
참고문헌 = 667
번역진 소개 = 707
찾아보기 =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