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초대교회사

초대교회사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용규
서명 / 저자사항
초대교회사 / 박용규 저.
발행사항
서울 :   총신대학교 출판부 ,   1994   (2004).  
형태사항
618 p. : 삽도, 연표 ; 23 cm.
총서사항
교회사 총서 ; 1
ISBN
8981691061 9788981691066
일반주기
참고문헌(p. 519-530) 및 색인수록  
000 00659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77282
005 20100806062811
007 ta
008 941206s1994 ulkaj b BV 001c kor
020 ▼a 8981691061 ▼g 93230
020 ▼a 9788981691066
035 ▼a (KERIS)BIB000010454594
040 ▼a 241051 ▼c 241051 ▼d 211009
082 0 4 ▼a 270.1 ▼2 22
090 ▼a 270.1 ▼b 1994a
100 1 ▼a 박용규 ▼0 AUTH(211009)28279
245 1 0 ▼a 초대교회사 / ▼d 박용규 저.
260 ▼a 서울 : ▼b 총신대학교 출판부 , ▼c 1994 ▼g (2004).
300 ▼a 618 p. : ▼b 삽도, 연표 ; ▼c 23 cm.
490 0 0 ▼a 교회사 총서 ; ▼v 1
500 ▼a 참고문헌(p. 519-530) 및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1 1994a 등록번호 1114274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2(동양서)/ 청구기호 270.1 1994a 등록번호 1211523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1 1994a 등록번호 1114274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2(동양서)/ 청구기호 270.1 1994a 등록번호 1211523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용규(지은이)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총신대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석사(M.Div.) 학위를 마쳤다. 그 후 미국 포틀랜드의 Western Evangelical Seminary에서 신학(M.A.)을 공부하고, 시카고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역사신학으로 신학석사(Th.M.)와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1999)와 Yale Divinity School 객원교수(Visiting Fellow, 2006-2007)를 역임했다. 총신대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1991-2021)로 재직하면서 총신대 신학대학원장, 부총장, 총장대행을 역임했고, 현재는 총신대 신학대학원 명예교수로 한국기독교사연구소 소장으로 섬기고 있다. 1994년 저서 초대교회사로 제 1회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신학자 대상을, 1996년에는 죽산박형룡박사의 생애와 사상으로 한국기독교출판대상 우수상을, 2005년에는 한국기독교회사 1, 2로 총신학술상 최우수상을, 2006년 평양대부흥이야기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국내목회자료 부문 최우수상을, 그리고 2021년 성령의 복음으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국내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Korean Presbyterianism and Biblical Authority: The Role of Scripture in the Shaping of Korean Presbyterianism 1918-1953, 한국장로교사상사(1992), 죽산박형룡박사의 생애와 사상(1996, 이상 총신대출판부), 한국교회를 깨운 복음주의운동(두란노, 1998), 한국교회를 깨운다(1998), 평양대부흥운동(2000), 이 땅 부흥케 하소서(공저, 2004), 평양산정현교회(2006, 이상 생명의말씀사), 초대교회사(2016), 근대교회사(2016), 한국기독교회사 1, 2(2016), 3(2018), 세계부흥운동사 개정판(2016), 제주기독교회사(2017), 기독교역사와 역사의식(2018), 성령의 복음, 성령의 복음 입문(2020, 이상 한국기독교사연구소)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근본주의와 미국문화(생명의말씀사, 2004), 개혁주의 신학(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7)외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3

제1장 초대교회사 서론 = 11

 1. 초대교회사 범위와 시대구분 = 11

 2. 초대교회사 해석문제 = 15

제1부 초대교회 배경

 제2장 초대교회의 역사적 배경 = 27

  1. Greco-Roman 배경 = 30

  2. 유대주의 배경 = 57

  3. 제국의 종교 = 63

  4. 요약 = 64

제2부 2세기와 초대교회 사상의 정초

 제3장 초대기독교 박대 = 69

  1. 제1차 박해기간(A.D. 64-96) = 71

  2. 제2차 박해기간(A.D. 98-249) = 80

  3. 제3차 박해기간(A.D. 249-313) = 95

  4. 콘스탄틴 황제와 기독교 공인 = 106

  5. 요약: 교회의 삶의 변화 = 113

 제4장 속사도 = 115

  1. 로마의 클레멘트 = 117

  2. 안디옥 감독 이그나티우스 = 123

  3. 폴리갑 = 134

  4. 기타 속사도 문헌들 = 137

  5. 요약 = 141

 제5장 기독교 변증가 = 144

  1. 아테네의 콰두라투스 = 146

  2. 아리스티데스 = 147

  3. 신앙의 변호자, 저스틴 마티 = 148

  4. 타티안 = 158

  5. 기타 헬라변증가들 = 162

  6. 요약 = 170

 제6장 이단의 발흥과 발전 = 172

  1. 이단의 역사적 배경 = 174

  2. 영지주의 = 177

  3. 영지주의 실례: 발렌티누스 = 194

  4. 영지주의 대표적 실례 = 194

  5. 몬타니즘 = 202

  6. 요약 = 206

 제7장 교회의 응전 = 208

  1. 신조의 발달 = 209

  2. 정경의 형성 = 218

  3. 감독제도의 발달 = 219

제3부 3세기와 기독교 사상의 확립

 제8장 이레니우스와 소아시아 신학 = 227

  1. 이레니우스의 생애 = 228

  2. 이레니우스 작품 = 229

  3. 이레니우스 총괄갱신 = 231

  4. 이레니우스와 전통 = 238

  5. 요약 및 평가 = 242

 제9장 라틴(서방) 신학 = 244

  1. 터틀리안과 서방신학 = 245

  2. 키프린안과 북아프리카 교회 = 265

  3. 요약 = 278

 제10장 알렉산드리아 신학 = 280

  1. 클레멘트 = 282

  2. 오리겐 = 295

  3. 오리겐 이후 알렉산드리아 신학 = 316

제4부 4-5세기와 정통의 확립

 제11장 삼위일체 논쟁 = 323

  1. 삼위일체 논쟁 배경 = 324

  2. 단일신론 = 330

  3. 아다나시우스대 아리우스 논쟁 = 334

  4. 니케아 회의와 신조 = 345

  5. 니케아 회의 이후의 아리우스 논쟁 = 349

  6. 콘스탄티노플 회의 = 361

 제12장 기독론 논쟁 = 365

  1. 아폴리나리안주의 = 366

  2. 네스토리안주의 = 371

  3. 유티키스와 단성론 논쟁 = 389

  4. 칼케톤이후 기독론 논쟁 = 398

  5. 기독론 논쟁 요약 = 401

제5부 초대교회 위대한 인물들

 제13장 위대한 지도자들 = 405

  1. 탁월한 행정가 엠브로스 = 406

  2. 성경번역의 선구자 제롬 = 411

  3. 황금의 입 요한 크리소스톰 = 416

 제14장 어거스틴의 신학과 사상 = 421

  1. 어거스틴의 성장 배경 = 422

  2. 어거스틴의 사상적 배경 = 423

  3. 어거스틴의 사상 = 432

  4. 어거스틴의 역사이해 = 461

  5. 요약 및 평가 = 471

제6부 중세로의 준비

 제15장 수도원 제도의 발달 = 475

  1. 최초의 수도승들 = 476

  2. 파코미우스 수도원 = 477

  3. 대바실과 동방수도원 = 480

  4. 서방수도원의 발흥 = 484

  5. 요약 = 488

 제16장 교황제도의 발달 = 490

  1. 로마교회의 부상 = 491

  2. 세르디카 서방회의 = 493

  3. 교황제도의 확립 = 496

 제17장 세계선교의 초석들 = 503

  1. 아일랜드 선교사 패트릭 = 504

  2. 스코틀랜드 선교사 콜롬바 = 507

 제18장 초대교회사 결론 = 513

참고문헌 = 519

색인 = 531

연대기표 = 55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