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과정 : 기초, 원리, 쟁점

교육과정 : 기초, 원리, 쟁점 (Loan 9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Ornstein, Allan C. Hunkins, Francis P., 저 장인실, 역
Title Statement
교육과정 : 기초, 원리, 쟁점 / Allan C. Ornstein , Francis P. Hunkins 공저 ; 장인실 [외]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07   (2010 2쇄)  
Physical Medium
636 p. ; 26 cm
Varied Title
Curriculum :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4th ed.)
ISBN
9788958914815
General Note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Curriculum planning --United States Curriculum evaluation --United States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376992
005 20210409153554
007 ta
008 070810s2007 ulk 001c kor
020 ▼a 9788958914815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5/.001/0973 ▼2 22
085 ▼a 375.001 ▼2 DDCK
090 ▼a 375.001 ▼b 2007b
100 1 ▼a Ornstein, Allan C. ▼0 AUTH(211009)15286
245 1 0 ▼a 교육과정 : ▼b 기초, 원리, 쟁점 / ▼d Allan C. Ornstein , ▼e Francis P. Hunkins 공저 ; ▼e 장인실 [외]공역
246 1 9 ▼a Curriculum : ▼b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g (4th ed.)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07 ▼g (2010 2쇄)
300 ▼a 636 p. ; ▼c 26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Curriculum planning ▼z United States
650 0 ▼a Curriculum evaluation ▼z United States
700 1 ▼a Hunkins, Francis P., ▼e▼0 AUTH(211009)129648
700 1 ▼a 장인실, ▼e▼0 AUTH(211009)22456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1 2007b Accession No. 1114284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1 2007b Accession No. 1118468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5.001 2007b Accession No. 12115172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0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5.001 2007b Accession No. 1211517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1 2007b Accession No. 1114284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1 2007b Accession No. 1118468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5.001 2007b Accession No. 12115172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0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5.001 2007b Accession No. 1211517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Allan C. Ornstein(지은이)

미국 뉴욕 세인트존스 대학교 교육행정 및 수업지도력 담당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미국의 학교수업: 9·11 이전과 이후(Teaching and Schooling in America: Pre-and Post-September 11) (Allyn & Bacon, 2004) 교육과정의 최근 쟁점(Contemporary Issues in Education)(Allyn & Bacon, 2006)

장인실(옮긴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박사(교육과정과 수업)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다문화교육연구원 원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제1장 교육과정의 분야
 1. 교육과정의 접근 방법 = 21
  1) 행동주의적 접근 방법 = 22
  2) 관리적 접근 방법 = 24
  3) 체제적 접근 방법 = 26
  4) 학문적 접근 방법 = 29
  5) 인본주의적 접근 방법 = 30
  6) 재개념주의자 = 32
 2. 교육과정의 정의 = 34
  1) 정의의 도전 = 36
  2) 교육과정 분야를 정의하는 데 필요한 배경 쟁점 = 38
  3) 근본적인 질문 = 38
 3. 교육과정의 기초 = 40
  1) 주요 기초: 철학, 역사, 심리학, 그리고 사회학 = 40
 4. 교육과정의 영역 = 41
  1) 교육과정 개발 = 43
  2) 교육과정 설계 = 46
  3) 교육과정의 기타 영역 = 47
 5.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 48
  1) 이론에서 실제로 = 49
  2) 교육과정 전문 자격증 = 52
 6. 교육과정 연구자의 역할 = 54
  1) 교육과정 연구자의 책임 = 55
  2) 교사와 교육과정 = 56
  3) 교육과정 및 수업과 관련된 교장의 역할 = 57
 7. 결론 = 59
 미주 = 60
제1부 교육과정의 기초
 제2장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1. 철학과 교육과정 = 69
   1) 철학과 교육과정 연구자 = 70
   2) 교육과정의 원천으로서 철학 = 71
  2. 주요 철학 이론 = 72
   1) 관념론 = 73
   2) 실재론 = 74
   3) 실용주의 = 75
   4) 실존주의 = 76
  3. 교육철학 이론 = 77
   1) 항존주의 = 78
   2) 본질주의 = 83
   3) 진보주의 = 89
   4) 재건주의 = 97
  4. 결론 = 107
  미주 = 108
 제3장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1. 식민지 시대 = 115
   1) 세 식민 지역 = 115
   2) 식민 학교 = 116
   3) 구교과서, 구독본 = 118
  2. 국가 형성기 = 120
   1) Rush: 과학, 진보와 무상 교육 = 120
   2) Jefferson: 시민을 위한 교육 = 121
   3) Webster: 학교 지도자와 문화국가주의 = 122
   4) McGuffey: 독본과 미국적 미덕 = 123
  3. 19세기 유럽 교육자 = 123
   1) Pestalozzi: 일반적 방법과 구체적 방법 = 125
   2) Froebel: 유치원 운동 = 125
   3) Herbart: 도덕적 발달과 지적 발달 = 126
   4) Spencer: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교육 = 127
  4. 보편교육의 등장 = 128
   1) 학생감독학교 = 129
   2) 보통 학교 = 129
   3) 중등학교 = 132
   4) 아카데미 = 133
   5) 고등학교 = 133
  5. 과도기 = 137
   1) 전통적 교육과정의 재확인: 세 가지 위원회 = 138
   2) 근대적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 140
  6. 연구 분야의 하나로서 교육과정 탄생 = 145
   1) Bobbitt과 Charters: 행동주의와 과학적 원리 = 145
   2) Kilpatrick: 진보주의의 영향 = 148
   3) 26번째 연감 = 151
   4) Rugg와 Caswell: 개발의 시대 = 152
   5) Tyler: 기본 원리 = 156
  7. 현재의 초점 = 160
  8. 결론 = 161
  미주 = 162
 제4장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1. 행동주의 = 170
   1) 연합설 = 170
   2) Thorndike의 영향: Tyler, Taba, Bruner = 171
   3) 고전적 조건화 = 172
   4) 조작적 조건화 = 173
   5) 새로운 조작적 행동의 획득 = 174
  2. 인지심리학 = 178
   1) 인지적 관점 = 180
   2) Jean Piaget의 이론 = 182
   3) Piaget의 영향: Tyler, Taba, Bruner, Kohlberg = 183
   4) Lev Vygotsky의 이론 = 186
   5) 사고와 학습에 대한 강조 = 189
   6) 구성주의 = 194
   7) 문제 해결과 창의적 사고 = 197
   8) 인지 작용과 교육과정 = 205
  3. 현상학과 인본주의 심리학 = 206
   1) 게슈탈트이론 = 207
   2) Maslow: 자아실현인 = 207
   3) Rogers: 비지시적 학습과 치료적 학습 = 209
   4) 현상학과 교육과정 = 209
  4. 결론 = 214
  미주 = 215
 제5장 교육과정의 사회적 기초
  1. 사회, 교육, 그리고 학교교육 = 222
   1) 사회와 미국인의 전형적 성격 = 223
  2. 역동적으로 변모하는 사회 = 230
   1) 변화의 원천으로서 사회 = 231
   2) 변화의 주체로서 학교 = 234
   3) 변화의 원천으로서 지식 = 246
  3. 사회적ㆍ교육적 현안 = 250
   1)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 250
   2) 학업에 재능이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 = 252
   3) 불우한 학생에 대한 관심 = 256
   4) 확장된 우선 사항: 새로운 불우 아동집단 = 257
   5) 학교 수준의 개혁 = 259
  4. 교육에 관한 국가정책위원회 보고 = 263
  5. 교육적 변화를 위한 계획 = 269
  6. 결론 = 271
  미주 = 271
 제6장 교육과정 이론
  1. 이론적 관점 = 278
   1) 이론의 의미 = 279
   2) 교육과정 이론의 주요 배경 = 280
  2. 교육과정 이론화의 고전적 토대 = 281
   1) 과학적 이론 = 281
   2) 인간 중심적 이론 = 282
  3. 이론의 기능 = 283
  4. 이론의 구성 = 285
   1) 이론 구성의 단계 = 285
  5. 교육과정 이론 = 288
   1) 초기의 교육과정 이론 = 288
   2) 20세기 중기의 이론 = 289
  6. 비유와 이론적 진영들 = 294
   1) 전통주의자 = 296
   2) 개념적 경험주의자 = 297
   3) 재개념주의자, 비판이론가 = 297
   4) 포스트모더니스트 = 302
  7.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균형적인 태도 = 305
  8. 결론 = 306
  미주 = 307
제2부 교육과정의 원리
 제7장 교육과정 개발
  1. 기술ㆍ과학적 접근 = 316
   1) 기술ㆍ과학적 접근의 역사 = 316
  2. 비기술적ㆍ비과학적 접근 = 331
   1) 숙의 모형 = 333
   2) 후기실증주의적-포스트모던적 모형 = 340
  3. 교육과정 개발에서 고려되는 구성 요소 = 343
   1) 교육과정의 내용 = 345
   2) 교육과정 경험 = 352
   3) 교육 환경 = 356
  4.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자 = 360
   1) 정치 분야 참여자 = 360
   2) 학교 분야 참여자 = 360
   3) 학군 밖의 참여자 = 365
   4) 그 외 참여자 = 366
  5. 결론 = 368
  미주 = 368
 제8장 교육과정 설계
  1. 설계의 요소 = 375
   1)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자원 = 377
   2) 개념적 구조: 수평적 조직과 수직적 조직 = 382
  2. 교육과정 설계의 차원 = 384
   1) 스코프 = 384
   2) 시퀀스 = 385
   3) 계속성 = 386
   4) 통합성 = 387
   5) 연계성 = 389
   6) 균형성 = 389
  3. 교육과정 설계의 대표적 유형 = 390
   1) 교과 중심 설계 = 391
   2) 학습자 중심 설계 = 403
   3) 문제 중심 설계 = 413
  4. 결론 = 420
  미주 = 422
 제9장 목적, 목표, 명세적 목표
  1. 교육의 목적 = 431
   1) 목적의 원천 = 432
  2. 교육의 목표 = 435
   1) 목표의 수준 = 436
   2) 목표 만들기 = 438
  3. 교육의 명세적 목표 = 439
   1) 교육의 명세적 목표의 유형 = 440
   2) 교육 목표를 진술하기 위한 지침 = 446
  4. 분류학적 수준 = 448
   1) 인지적 영역 = 448
   2) 정의적 영역 = 449
   3) 심리운동적 영역 = 450
   4) 종합적 분류학 = 451
  5. 교육적 목표에 대한 접근방법 = 453
   1) 행동주의적 접근 방법 = 453
   2) 체제 관리적 접근 방법 = 455
   3) 인본주의적 접근 방법 = 456
   4) 재개념주의, 급진주의 = 457
  6. 도전 = 460
  7. 결론 = 461
  미주 = 462
 제10장 교육과정 실행
  1. 교육과정 실행의 성격 = 467
   1) 계획과 실행의 관계 = 469
   2) 점진적 변화 = 470
   3) 의사소통 = 472
   4) 지원 = 473
  2. 변화 과정으로서 교육과정의 실행 = 475
   1) 변화의 이론 = 476
   2) 변화 유형학 = 479
   3) 변화에 대한 저항 = 481
   4) 변화에 대한 수용 능력의 개선 = 485
  3. 교육과정 실행 모형 = 487
   1) 변화 저항 극복 모형 = 488
   2) 조직적 발달 모형 = 491
   3) 관심 기반 채택 모형 = 492
   4) 조직의 구성 요소, 구성 단위 및 연결 고리 = 494
   5) 교육적 변화 모형 = 495
  4. 교육과정 변화 촉진자의 역할 = 499
   1) 학생 = 500
   2) 발의자로서 교사 = 500
   3) 장학사 = 501
   4) 발의자로서 교장 = 502
   5) 교육과정 감독자 = 503
   6) 교육과정 상담가 = 504
   7) 학부모와 지역사회 구성원 = 504
  5. 결론 = 505
  미주 = 506
 제11장 교육과정 평가
  1. 평가의 본질과 목적 = 512
   1) 교육과정 = 514
   2) 인지 = 514
   3) 관찰 = 515
   4) 해석 = 515
   5) 평가와 관련된 문제 = 515
   6) 평가의 정의 = 518
   7) 측정 대 평가 = 519
  2. 평가에 대한 접근방법 = 520
   1) 평가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과 인본주의적 접근법 = 521
   2) 내재적 평가와 결과 평가 = 525
   3)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 = 526
  3. 과학적-실증주의적 평가 모형 = 527
   1) Provus의 불일치 평가 모형 = 527
   2) Stake의 합치-유관 모형 = 530
   3) Stufflebeam의 맥락, 투입, 과정, 산출 모형 = 532
  4. 인문학적 평가 모형과 자연주의적 평가모형 = 534
   1) 실행 연구 = 535
   2) Eisner의 감식안 평가 모형 = 537
   3) Stake의 반응평가 모형 = 539
   4) 조명적 평가 모형 = 540
   5) 묘사 모형 = 541
  5. 평가의 실제와 쟁점 = 542
   1) 평가의 제 단계 = 543
   2) 대안적 평가 = 544
   3) 고부담 평가 = 548
   4) 규준참조측정과 준거참조측정 = 550
   5) 평가에 있어서 인간적 문제 = 552
  6. 평가활동에 참여하는 주체의 다양한 역할 = 556
   1) 학생 = 556
   2) 교사 = 557
   3) 평가자 = 557
   4) 외부 컨설턴트 = 558
   5) 학부모 및 지역사회 구성원 = 558
  7. 결론 = 559
  미주 = 559
제3부 교육과정의 쟁점
 제12장 교육과정의 쟁점과 추세
  1. 교육의 재창조 = 568
   1) 학교 밖에서 생각하기 = 574
   2) 학교 문화의 재창조 = 579
   3) 협약 학교와 계약 학교 = 582
  2. 정치학과 교육사회학 = 586
   1) 다문화적 교육 = 589
   2) 정치적 과정으로서 교육학 = 594
  3. 도덕적ㆍ영적 교육 = 599
   1) 도덕-인성 교육 프로그램 = 608
   2) 도덕-인성 교육의 정치학 = 610
  4. 표준과 시험 = 611
   1) 표준과 평가의 정치화 = 614
  5. 교육공학과 교육과정 = 619
  6. 추세, 교훈, 발전하는 미래 = 622
  7. 결론 = 624
  미주 = 624
찾아보기 = 62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