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패러다임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제1장 인간과 사회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해 = 17
1. 패러다임의 일반적 정의와 이해 = 20
2. 사회과학에서의 설명패러다임과 이해패러다임(콩트 Vs. 딜타이) = 27
제2장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패러다임 = 31
1.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속에서 살펴본 패러다임의 변화 = 33
1) 미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 33
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 39
2. 한국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기대 = 42
제2부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
제3장 인간발달 = 49
1. 발달이론의 전개 = 49
2. 인간발달의 원칙과 특성 = 52
제4장 전 생애 인간발달의 이해와 사회복지의 과제 = 57
1. 태아기 = 59
1) 태아기의 발달 = 59
2) 태아기의 이슈 = 60
3) 태아기의 사회복지 개입에 대한 함의 = 61
2. 유아기와 초기아동기 = 62
1) 유아기의 발달 = 63
2) 초기아동기의 발달 = 66
3) 유아기와 초기아동기의 이슈 = 69
4) 유아기와 초기아동기의 사회복지 개입에 대한 함의 = 71
3. 학령기 = 71
1) 학령기의 발달 = 72
2) 학령기의 이슈 = 74
3) 학령기의 사회복지 개입에 대한 함의 = 75
4. 청소년기 = 76
1) 청소년의 발달 = 77
2) 청소년기의 이슈 = 79
3) 청소년기의 사회복지 개입에 대한 함의 = 80
5. 성인기 = 81
1) 성인초기의 발달 = 83
2) 성인후기의 발달 = 84
3) 성인기의 이슈 = 86
4) 성인기의 사회복지 개입에 대한 함의 = 88
6. 노년기 = 88
1) 노년기의 발달 = 89
2) 노년기의 이슈 = 90
3) 노년기의 사회복지 개입에 대한 함의 = 92
7. 임종기 = 94
1) 임종기의 이슈 = 95
2) 임종기의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한 함의 = 95
제3부 인간의 이해
제5장 정신분석이론 = 99
1. 지그문트 프로이드(S. Freud, 1856-1939) = 99
1) 생애 = 99
2) 주요 개념 = 100
3) 프로이드 이론의 사회복지실천 함의 = 112
제6장 신 정신분석이론 = 115
1.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 1902-1994) = 116
1) 생애 = 117
2) 주요 개념 = 118
3) 발달단계 = 122
4) 에릭슨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함의 = 131
2. 알프레드 아들러(A. Adler, 1870-1937) = 133
1) 생애 = 134
2) 주요 개념 = 135
3) 아들러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함의 = 145
제7장 행동주의이론 = 147
1. 프래드릭 스키너(F. Skinner, 1904-1990) = 148
1) 생애 = 148
2) 주요 개념 = 149
3)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함의 = 155
2. 알버트 반두라(A. Bandura, 1925-) = 156
1) 생애 = 157
2) 주요 개념 = 158
3) 반두라의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함의 = 164
제8장 인본주의이론 = 165
1. 아브라함 매슬로우(A. Maslow, 1908-1970) = 166
1) 생애 = 166
2) 주요 개념 = 167
3) 매슬로우 이론과 스키너 이론의 비교 = 173
4) 매슬로우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함의 = 173
2. 칼 로저스(Carl R. Rogers, 1902-1987) = 175
1) 생애 = 175
2) 주요 개념 = 177
3) 로저스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함의 = 186
제9장 인지발달이론 = 187
1. 장 피아제(Jean Piaget: 1886-1980) = 188
1) 생애 = 188
2) 주요 개념 = 189
3) 피아제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함의 = 199
2.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 1927-1987) = 200
1) 생애 = 200
2) 주요 개념 = 201
3) 콜버그 이론의 사회복지실천 함의 = 208
9. 캐롤 길리건(Carol Gilligan, 1936-) = 211
1) 생애 = 211
2) 주요 개념 = 212
3) 길리건 이론의 사회복지실천 함의 = 219
제4부 사회와 체계의 이해
제10장 사회의 이해 = 223
1. 조오지 헤버트 미드(George H. Mead, 1863-1931) = 223
1) 생애 = 224
2) 주요 개념 = 225
3)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이론과 사회복지 질적 연구와의 관계성 = 233
2. 유르겐 하버마스(Juergen Habermas, 1929-현재) = 234
1) 생애 = 234
2) 하버마스의 사회비판이론 이해를 위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역사 = 235
3) 하버마스 사회비판이론의 주요 개념 = 242
4) 하버마스의 사회비판이론에 의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반성 = 250
3. 울리히 위버만(Ullich Oevermann, 1940-현재) = 262
1) 생애 = 262
2) 주요 개념 = 263
4. 피에르 보듀(Pierre Bourdieu, 1930-2002) = 293
1) 생애 = 293
2) 주요 개념 = 294
3) 피에르 보듀 이론과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성 = 304
제11장 체계의 이해 = 307
1. 사회체계이론 = 307
1) 사회체계의 개념 = 307
2) 사회체계의 특성 = 308
2. 가족 = 315
1) 가족의 의의 = 315
2) 가족에 대한 전통적ㆍ대안적 관점 = 318
3) 가족과 사회복지실천 = 323
3. 집단 = 324
1) 집단의 의의 = 324
2) 집단의 특성 = 327
3) 집단의 형성과 발달 = 328
4) 집단과 사회복지실천 = 330
4. 조직 = 331
1) 조직의 의의 = 332
2) 조직과 사회복지실천 = 338
5. 지역사회 = 339
1) 지역사회의 의의 = 339
2) 지역사회와 사회복지실천 = 342
참고문헌 = 345
찾아보기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