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8
제1장 르네상스 시대(1400-1600) = 11
1. 시대 구분 = 12
2. 르네상스와 예술 활동 = 14
3. 르네상스 초기의 이탈리아 명문가들 = 18
4. 르네상스 음악의 개괄 = 25
5. 르네상스 음악의 일반적 특성 = 27
(1) 세속음악과 기악음악의 탄생 = 27
(2) 정선율 미사 = 29
(3) 악보의 인쇄 = 30
(4) 4성부 다성음악의 사용 = 32
(5) 가사 그리기(Word painting) = 32
(6) 민족양식의 출현 = 33
제2장 르네상스 여명기(1400-1450) = 37
1. 시대 배경 = 38
2. 영국과 던스터블 = 40
제3장 부르고뉴 악파 = 49
1. 부르고뉴(Bourgogne〈프〉, Burgundy〈영〉) 악파 = 50
2. 부르고뉴 악파의 음악 양식 = 67
제4장 르네상스 음악의 전성기 플랑드르 악파(네덜란드 악파 : 1450-1500) = 73
1. 개괄 = 74
2. 플랑드르 악파 음악의 특성 = 80
3. 조스캥과 동시대 작곡가들 = 95
4. 조스캥 다음 세대의 플랑드르 작곡가들 = 101
5. 16세기 후반의 작곡가들 = 105
6. 플랑드르 악파의 몰락 = 109
제5장 프랑스의 르네상스 음악 = 113
1. 종교음악 = 114
2. 세속음악 = 119
3. 기악음악 = 128
제6장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음악 = 131
1. 종교음악 = 134
2. 세속음악 = 150
3. 기악음악 = 173
제7장 스페인의 르네상스 음악 = 177
1. 종교음악 = 183
2. 세속음악 = 190
3. 기악음악 = 192
제8장 독일의 르네상스 음악 = 201
1. 종교음악 = 202
2. 세속음악 = 209
3. 기악음악 = 216
제9장 영국의 르네상스 음악 = 219
1. 종교음악 = 220
2. 세속음악 = 240
3. 기악음악 = 250
제10장 르네상스 시대에 성행한 음악형식 = 259
1. 종교음악 = 260
(1) 미사(Mass, Missa) = 260
(2) 레퀴엠(Requiem) = 266
(3) 모테트(Motet) = 267
2. 세속음악 = 272
(1) 프로톨라(Frottola) = 272
(2) 마드리갈(Madrigal) = 273
(3) 샹송(Chanson) = 283
(4) 비얀시코(Villancico) = 288
(5) 로만세(Romance) = 289
(6) 리트(Lied) = 289
(7) 류트 가곡(Lute Song, Ayres) = 291
제11장 르네상스의 기악음악 = 293
1. 르네상스 시대의 악기들 = 295
(1) 궁현악기 = 297
(2) 발현악기 = 298
(3) 관악기 = 298
(4) 건반악기 = 299
(5) 타악기 = 299
2. 연주 실제와 조율 = 301
3. 기악음악의 종류 = 302
(1) 성악곡의 편곡 = 302
(2) 춤곡 = 302
(3) 즉흥곡 = 303
(4) 변주곡 = 304
(5) 푸가 형식 = 304
4. 악파 및 작곡가들 = 305
(1) 독일 = 305
(2) 스페인 = 305
(3) 이탈리아 = 306
(4) 프랑스 = 306
(5) 영국 = 306
부록 - 르네상스 음악용어 해설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