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발음교육의 중요성과 음향 분석 = 13
1.1 발음교육의 중요성 = 13
1.2 정확성(Accuracy)과 유창성(Fluency) = 15
1.3 음향 분석 = 16
제2장 음향 분석을 위한 용어 = 19
2.1 음의 강도(Intensity or Energy) = 19
2.2 피치(Pitch) = 21
2.3 자질(Quality) = 23
2.4 성대 진동개방시간(Voice Onset Time) = 25
2.5 포먼트(Formant) = 28
제3장 음향 분석방법 = 33
3.1 CSL 사용법 = 33
3.1.1 CSL에 관하여 = 33
3.1.2 CSL 사용법 = 35
3.1.3 CSL 작동방법 = 44
3.1.4 Macro 사용하기 = 56
3.1.5 적용 가능성 = 57
3.2 Praat 사용법 = 59
3.2.1 Praat에 관하여 = 59
3.2.2 Praat을 이용한 음성 녹음과 저장 = 65
3.2.3 Praat을 이용한 피치 분석 = 67
3.2.4 Praat을 이용한 스펙트로그람 분석 = 72
3.2.5 Praat에 의한 포먼트 측정 = 75
3.2.6 Praat에 의한 에너지 = 77
3.2.7 Praat 4.0 버전을 이용한 측정 = 79
제4장 영어의 자음 = 85
4.1 조음 방법 = 85
4.1.1 파열음 = 85
4.1.2 파찰음 = 102
4.1.3 비음 /n/, /m/, /ŋ/ = 104
4.1.4 마찰음 = 109
4.1.5 측음 = 121
4.1.6 근사음 = 124
4.2 조음 위치 = 125
4.2.1 양순음 = 126
4.2.2 순치음 = 128
4.2.3 치간음 = 129
4.2.4 치경음 = 129
4.2.5 치경구개 = 133
4.2.6 구개음 = 134
4.2.7 연구개 = 135
4.2.8 성문음 = 136
제5장 영어의 모음 = 139
5.1 혀와 입술에 의한 모음 = 141
5.1.1 혀의 높이 = 141
5.1.2 전설과 후설 = 142
5.1.3 원순과 평순 = 147
5.2 모음의 변화 = 150
5.2.1 긴장모음 = 150
5.2.2 이완모음 = 151
5.2.3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의 변화 = 151
5.2.4 기능어의 강형 발음과 약형 발음 = 153
5.2.5 약형 모음의 탈락 = 161
5.3 포먼트 = 163
제6장 영어 자음과 모음의 변별 자질 = 167
6.1 분절음의 분류 = 168
6.1.1 자음의 분류 = 168
6.1.2 전면성과 설정성 = 170
6.1.3 조음 방법 자질 = 176
6.1.4 2차 조음 자질 = 178
제7장 초분절적 자질과 음향 분석 = 183
7.1 영어 강세규칙과 에너지 = 183
7.1.1 한국인의 영어 강세 규칙 적용 = 188
7.1.2 기능어와 강세 = 190
7.2 리듬 = 192
7.3 등시성 = 193
7.4 교사의 발화 속도 = 195
7.5 Speech Speed와 음조단위의 재구조화 = 196
7.6 피치에 의한 억양 = 199
7.6.1 호격을 포함한 평서문의 억양 = 199
7.6.2 비교 구문의 억양 = 200
7.6.3 do-의문문의 억양 = 201
7.6.4 wh-의문문의 억양 = 202
7.6.5 be-의문문의 억양 = 203
제8장 음운 변화와 음향 분석 = 205
8.1 어휘음운 현상과 후어휘음운 현상 = 205
8.1.1 어휘 내의 음운 현상 = 206
8.1.2 어휘 밖에서의 음운 현상 = 217
8.2 운율층위 이론 = 221
8.2.1 음운단어 = 221
8.2.2 접어군 = 222
8.2.3 음운구 = 225
8.2.4 억양구 = 227
8.2.5 발화단위 = 228
제9장 음운 현상과 한국인 영어교사의 부자연스러운 발음 = 231
9.1 분절적 자질에 의한 부자연스러운 발음 = 231
9.1.1 성대 진동개방시간 = 231
9.1.2 치찰음의 마찰소음 에너지 정점 주파수 = 232
9.1.3 측음 = 234
9.1.4 포먼트 = 238
9.2 후어휘음운 현상 = 240
9.2.1 구개음화 = 240
9.2.2 탄설음화 = 242
9.2.3 /v/-탈락 = 243
9.2.4 무성음화 = 245
9.2.5 기식음화 = 246
9.2.6 측음화 = 248
9.2.7 삽입모음 = 251
9.3 한국인 영어교사의 발음에 대한 의견 = 252
9.4 발음교육을 위한 제언 = 255
9.4.1 모음 교체형 연습 = 255
9.4.2 강세 연습 = 255
9.4.3 Tongue Twister 연습 = 257
9.4.4 발화속도 연습 = 258
참고문헌 = 259
찾아보기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