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40c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374207 | |
005 | 20100806055559 | |
007 | ta | |
008 | 060904s2006 ggka 000c kor | |
020 | ▼a 9788995768785 ▼g 03670: ▼c \18000 | |
035 | ▼a (KERIS)BIB000010691817 | |
040 | ▼d 211020 ▼d 244002 | |
082 | 0 4 | ▼a 780.15 ▼2 22 |
090 | ▼a 780.15 ▼b 2006a | |
100 | 1 | ▼a 윤희수 |
245 | 1 0 | ▼a 교과서에 나오는 클래식 음악 100 / ▼d 윤희수 지음. |
246 | 0 3 | ▼a 바로크 음악부터 20세기 음악까지 클래식 음악을 쉽고 재미있게 감상하기 위한 완벽 길잡이 |
260 | ▼a 파주 : ▼b 추수밭 , ▼c 2006. | |
300 | ▼a 287 p. : ▼b 삽도 ; ▼c 26 cm. + ▼e CD-ROM 1장.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15 2006a | Accession No. 1512357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최근에는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음악 듣기 수행 평가'를 도입해 음악 감상 능력을 기르고 있고, 여기에 출제되는 단골 메뉴도 클래식 음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 책은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클래식 음악 중에서 '음악 듣기 수행 평가'에 자주 등장하는 100곡의 클래식 음악을 소개한다.
오랫동안 '교과서에 나오는 클래식 음악 특별공연'을 진행해온 윤희수 아름다운오케스트라 단장이 클래식 음악을 처음 접하는 입문자의 눈높이에 맞춰 친절하고 풍부한 곡 해설과 감상 포인트를 제공했다. 또한 대표적인 클래식 음악 120곡의 MP3를 CD 한 장으로 제공하여 실제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음악을 듣고 나서 감상문을 쓰는 법까지 친절하게 안내한다. 바로크 음악부터 20세기 음악까지, 파헬벨의 '카논과 지그'부터 안익태의 '한국 환상곡'까지, '음악 듣기 수행 평가'는 물론 청소년들이 클래식 음악에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구성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윤희수(지은이)
1996년까지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에서 공연 기획을 맡았으며, 2000년 꾸러기예술단을 꾸려 2004년까지 어린이를 위한 클래식 음악 공연을 열었다. 이후 최근까지 아름다운오케스트라를 운영하면서 ‘교과서에 나오는 클래식 음악 특별 공연’ 등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에 앞장서 왔다. 지은 책으로《교과서에 나오는 클래식 음악 100》《모차르트와 베토벤을 알면 클래식이 보인다》《이것만은 알아야 클래식이 들린다》《선생님, 클래식이 뭐예요》《선생님, 클래식과 어떻게 하면 친해져요》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부_클래식 어드벤처 클래식 음악 감상을 위한 준비운동 클래식 음악, 아는 만큼 들린다 음악회 100배 재미있게 감상하는 법 제2부_열려라, 클래식 음악 001 / 파헬벨 카논과 지그 002 / 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작품 8번 003 / 바흐 토카타와 푸가 d단조, 작품 565번 004 /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005 / 바흐 관현악 모음곡 제3번 제2곡 - ‘G선상의 아리아’ 006 / 헨델 오라토리오 <메시아> 중 ‘할렐루야’ 합창 007 / 헨델 모음곡 ‘수상 음악’ * 바로크 시대의 음악과 작곡가들 008 / 하이든 교향곡 제94번 ‘놀람’ G장조 009 / 하이든 오라토리오 <천지창조> 010 / 하이든 트럼펫 협주곡 Eb장조 011 / 하이든 현악 4중주 제67번 ‘종달새’ D장조 작품 64-5번 012 / 모차르트 교향곡 제39번 Eb장조 작품 543번 013 / 모차르트 교향곡 제40번 g단조 작품 550번 014 / 모차르트 교향곡 제41번 ‘주피터’ C장조 작품 551번 * 기악의 종합예술, 교향곡 015 / 모차르트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016 /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피리> 017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21번 C장조 작품 467번 018 /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작품 622번 019 / 모차르트 세레나데 제13번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 무지크’ G장조 작품 525번 020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11번 A장조 작품 331번 021 / 베토벤 교향곡 제3번 ‘영웅’ Eb장조 작품 55번 022 / 베토벤 교향곡 제5번 ‘운명’ c단조 작품 67번 023 / 베토벤 교향곡 제6번 ‘전원’ F장조 작품 68번 024 /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 d단조 작품 125번 025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5번 ‘황제’ 작품 73번 026 / 베토벤 오페라 <피델리오> 작품 72번 027 / 베토벤 <에그몬트> 서곡 작품 84번 028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제8번 ‘비창’ c단조 작품 13번 029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제23번 ‘열정’ f단조 작품 57번 030 /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제5번 ‘봄’ F장조 작품 24번 *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과 작곡가들 031 / 베버 오페라 <마탄의 사수> 서곡 032 / 베버 <무도회의 권유> 033 / 로시니 오페라 <윌리엄 텔> 서곡 034 / 로시니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035 / 슈베르트 교향곡 제8번 ‘미완성’ b단조 작품 759번 036 /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송어> A장조 작품 114번 037 /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 C장조 작품 14번 038 / 멘델스존 교향곡 제4번 ‘이탈리아’ A장조 작품 90번 039 /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작품 64번 040 / 멘델스존 <핑갈의 동굴> 서곡 b단조 작품 26번 041 / 멘델스존 <한여름 밤의 꿈> 중 ‘결혼행진곡’ 작품 61번 042 / 쇼팽 ‘환상 즉흥곡’ c#단조 작품 66번 043 / 쇼팽 ‘마주르카’ 044 / 쇼팽 ‘폴로네즈’ 045 / 쇼팽 피아노 협주곡 제1번 e단조 작품 11번 046 / 리스트 교향시 <전주곡> 047 / 리스트 <헝가리 광시곡> 제2번 048 / 브람스 <헝가리 무곡> 049 / 브람스 <대학축전 서곡> c단조 작품 80번 050 / 브람스 교향곡 제4번 e단조 작품 98번 051 / 바그너 오페라 <로엔그린> 052 / 바그너 악극 <트리스탄과 이졸데> 053 / 바그너 악극 <니벨룽겐의 반지> 054 / 베르디 오페라 <나부코> 055 / 베르디 오페라 <리골레토> 056 / 베르디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057 / 베르디 오페라 <아이다> * 오페라의 모든 것 058 / 주페 <경기병 서곡> 059 / 오펜바흐 오페라 <호프만 이야기> 060 / 요한 슈트라우스 1세 <라데츠키 행진곡> 061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왈츠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062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오페레타 <박쥐> 서곡 063 / 비제 오페라 <카르멘> 064 / 비제 <아를의 여인> 모음곡 065 /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066 / 푸치니 <라 보엠> 067 / 푸치니 오페라 <토스카> 068 / 푸치니 오페라 <나비부인> 069 / 푸치니 오페라 <투란도트> 070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교향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작품 30번 *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과 작곡가들 071 / 글린카 오페라 <루슬란과 뤼드밀라> 서곡 072 / 차이코프스키 <슬라브 행진곡> 073 / 차이코프스키 <서곡 1812년> 작품 49번 074 /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제6번 <비창> b단조 작품 74번 075 /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 35번 076 / 차이코프스키 발레 모음곡 <백조의 호수> 작품 20번 077 / 차이코프스키 발레 모음곡 <호두까기 인형> 작품 71번 078 / 차이코프스키 현악 4중주 제1번 D장조, 작품 11번 079 / 무소르크스키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 080 / 무소르크스키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 081 / 림스키코르사코프 교향모음곡 <세헤라자데> 작품 35번 082 / 보로딘 교향적 음화 <중앙아시아의 초원에서> 083 / 스메타나 교향시 <나의 조국> 중 ‘몰다우’ 084 / 드보르자크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 e단조 작품 95번 085 /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 b단조 작품 104번 086 / 드보르자크 현악 4중주 제12번 <아메리카> F장조 작품 96번 087 / 드보르자크 <슬라브 무곡> 작품 46, 72번 088 /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16번 089 / 그리그 <페르귄트> 모음곡 작품 46, 55번 090 / 사라사테 <치고이너바이젠> 작품 20번 091 / 시벨리우스 교향시 <핀란디아> 작품 26번 * 국민주의 시대의 음악과 작곡가들 092 / 드뷔시 3개의 교향적 스케치 <바다> 093 / 드뷔시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094 / 레스피기 교향시 <로마의 소나무> 095 /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 096 / 쇤베르크 <구레의 노래> 097 /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5번 d단조 작품 47번 098 / 프로코피예프 <피터와 늑대> 작품 67번 099 / 브리튼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100 / 안익태 <한국 환상곡> * 20세기의 음악과 작곡가들 제3부_음악 감상문을 써보자 음악 감상문을 쓰기 위한 준비운동 - 감상 노트 활용하기 음악 감상문 쓰기 - 음악 감상문의 구조 잘 쓴 음악 감상문 엿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