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中]----------
목차
머리말
1. 『왜 그리 「자본론」에 집착하시오』 = 3
2. 〈읽는다〉와 〈꿰뚫는다〉의 근본적 차이 = 5
3. 몇 가지 보람도 = 7
차례 = 9
서장 : 밑그림
1. 「자본론」에 대한 일반적 견해 = 19
2. 노동자에 대한 자본가의 착취는 끝이 없는가 = 20
3. 「자본론」은 경제학책이 아니라 〈혁명론〉이다 = 21
4. 경제학과 혁명론은 어떻게 다른가 = 23
5. 「자본론」의 실지 모습 = 24
6. 『자본주의는 반드시 멸망하고 공산주의는 반드시 승리』하는가 = 28
가. 소련의 소멸 = 28
나. 중공의 대변신 = 30
7. 국내 주사파(主思派)ㆍ386의 사상적 낙후성(落後性) = 36
제1부 「자본론」을 꿰뚫어야만 세상이 바로 보인다
제1장 「자본론」의 본질
1. 「자본론」이란 무엇인가 = 49
2. 왜 〈극복〉되지 않는가 = 51
가. 방대한 분량 = 51
나. 난삽(難澁)한 문장 = 53
(1) 번역자 김○행교수도 주제 파악 못했다 = 54
(2) 국내 학계를 짓밟는 김○행교수 = 56
(3) 외국유학의 가치 = 57
(4) 우리가 할 일은 추고(追考)가 아니라 창조적추월(創造的追越)이다 = 58
다. 감가상각법(減價償却法)을 모르고서는 = 60
라. 〈변증법〉을 구사(驅使)할 수 있어야 = 64
3.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자본론」찬평(讚評) = 68
4. 마르크스주의 경제학(따라서 「자본론」)의 임무 = 73
5. 마르크스주의 경제학(따라서 「자본론」)의 본질 = 77
제2장 「자본론」의 병은 이미 고황(膏◆U8093◆)에 들었다
1. 「자본론」의 말기 증상들 = 81
2. 「자본론」의 병근은 어디에 있는가 = 86
3. 마르크스주의의 노동가치설에 대한 오판(誤判)의 약사(略史) = 89
가.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은 혁명의 무기 = 89
나. 공격의 제1탄 - 오스트리아학파 = 92
다. 집안에서 터진 제2탄 - 수정주의 = 93
라. 버트란드 러셀의 비판 = 94
마. 죤 스트레이치의 용두사미(龍頭蛇尾)식 비판 = 96
바. 슘페터 - 무기력한 노신사의 백기(白旗) = 99
사. 이제 우리의 차례다 = 101
제2부 마르크스 가치론의 돌파구(突破口)
제1장 노동가치설이 물구나무서고 있다
1. 경제학에 있어서의 변증법(辨證法)이란 무엇인가 = 105
2. 마르크스경제학의 연구대상은 어느 시대인가 = 109
3. 노동가치설은 어느 시대의 가치설인가 = 111
4. 산업혁명의 윤곽 = 118
5. 마르크스시대에도 생산활동의 중심이 노동자인가 = 122
6. 노동가치설은 마르크스의 자기모순ㆍ자기부정 = 129
7. 마르크스는 왜 노동가치설을 취했는가 = 132
제2장 기계를 불임수술(不妊手術)한 마르크스의 비법
1. 마르크스의 불변자본론 = 139
2. 마르크스의 비법 -그것은 감가상각법(減價償却法)이었다 = 145
3. 상대적잉여가치론은 무엇을 뜻하는가 = 154
가. 잉여가치론이란 무엇인가 = 154
(1) 절대적잉여가치론 = 157
(2) 상대적잉여가치론 = 160
나. 상대적잉여가치론이 뜻하는 것 = 166
4. 마침내 마르크스가치론의 돌파구(突破口)가 뚫렸다 = 169
제3부 기계에 대한 〈제3의 시각〉에서의 경제학적 연구
제1장 기계의 본질
1. 기계를 보는 제3의 시각(視角) = 177
2. 기계의 구조(構造) = 181
3. 기계의 특징 = 183
4. 기계는 능률증대(能率增大)의 수단 = 187
가. 기계는 능률증대의 수단 = 187
나. 〈보다 능률적〉이란 무엇인가 = 189
5. 기계의 발전법칙 = 194
6. 기계의 생산력은 사회의 공동재산 = 198
7. 마르크스가치설에 대한 비판사(批判史)에서 이 책이 차지하는 위치(位置) = 202
가. 「사상의 빈곤을 특색으로 하는 시대」(슈바이처) = 202
나. 「영원한 수수께끼」의 실마리를 풀다 = 207
제2장 경계학적 용어의 근대화
1. 기계와 도구는 엄격히 구별되지 않으면 안 된다 = 217
2. 기계는 노동수단이 아니라 생산수단이다 = 220
3. 마르크스의 〈가치〉는 〈비용〉에로 전화된다 = 227
4. 교환은 매매(賣買)로 바뀐다 = 230
5. 교환가치는 〈가격〉에로 바뀌어야 한다 = 233
6. 이윤이란 잉여가치의 근대적 형태이다 = 236
제3장 마르크스 잉여가치론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轉回)
1. 기계는 이윤 생산의 수단 = 241
가. 마르크스의 증언 (1) = 241
나. 마르크스의 증언 (2) = 244
다. 마르크스의 증언 (3) = 249
2. 기계는 어떻게 이윤을 생산하는가 = 252
가. 마르크스의 단편(斷片)들 (1) = 252
나. 마르크스의 단편(斷片)들 (2) = 255
다. 기계는 어떻게 이윤을 생산하는가 (1) = 257
라. 기계는 어떻게 이윤을 생산하는가 (2) = 259
제4장 기계의 이윤생산능력은 어디서 오는가
1. 첫째로 〈자본가〉는 어떠한가 = 263
2. 둘째로 〈노동자〉는 어떠한가 = 264
3. 그러면 〈기술창조자〉는 어떠한가 = 266
가. 초기의 기술창조자 = 267
나. 과학의 진출 = 270
4. 소련에서의 국가적 실험 = 272
가. 공유만능주의(公有萬能主義)의 한계(限界) = 272
나. 「모든 것은 〈기술적 인재〉가 결정한다」 = 274
5. 기술창조자와 노동자의 관계 및 명칭 = 277
가. 기술창조자의 탄생과 성장 = 277
나. 기술창조자와 노동자의 근본적 차이 = 278
다. 기술창조자는 새 시대의 발전하는 요소 = 280
제5장 누가 누구를 착취하는가
1. 착취에 대한 오해 = 283
2. 착취의 바른 뜻과 그 한계 = 284
3. 산업혁명 이후는 기계가 이윤을 생산한다 = 287
4. 누가 누구를 착취하는가 = 291
5. 혜택의 원천(源泉) - 기술창조자 = 295
제6장 어떻게 나누어야 하는가
1. 그들은 실제로 무슨 일을 하는가 = 301
가. 노동자 = 301
나. 자본가 = 314
다. 기술창조자 = 327
2. 새로이 밝혀진 놀라운 사실들 = 336
가. 노동자는 이윤생산에 참여하지 않는다 = 337
나. 1차적 이윤은 기계를 통해서 기술창조자가 생산한다 = 340
다. 자본가는 유통과정에서 2차적으로 이윤을 생산한다 = 342
3. 어떻게 나누어야 하는가 = 347
가. 노동자에게는 = 348
나. 기술창조자에게는 = 351
다. 자본가에게는 = 360
제4부 자본주의는 멸망해가고 있는가
제1장 자본주의는 멸망해가고 있는가
1. 멸망이 아니라 제도가 바뀔 뿐이다 = 373
2. 국내 공산주의 혁명세력의 한명(限命) = 379
제2장 민주적복지주의(民主的福祉主義)로 가는 길
1. 자본주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 385
2. 민주적 전형(轉形)의 논리 - 점차적비약(漸次的飛躍) = 391
제5부 내 연구에서 얻은 것
제1장 마르크스ㆍ레닌주의 연구에서 알아낸 것
1. 마르크스ㆍ레닌주의 전반에 대하여 = 404
가. 마르크스ㆍ레닌주의의 이론체계의 구조에 대하여 = 404
나. 마르크스의 본질(혁명가)에 대하여 = 406
다. 공산주의 이론의 이중구조(二重構造)에 대하여 = 407
라. 이공제공(以共制왔)의 창안 = 408
마. 『이론은 좋은데……』라는 통념(通念)의 척결(剔抉) = 409
바. 용어혼란전술의 간파 = 410
2. 주로 「자본론」에 관하여 = 410
가. 「자본론」은 경제학이 아니라 혁명가 마르크스의 〈혁명론〉이다 = 411
나. 마르크스의 혁명론은 「자본론」의 결론이 아니라 주어진 〈임무〉이다 = 411
다. 「자본론」의 대혼란과 그 원인의 규명 = 412
제2장 대안(代案)을 제시하여 극복(克服)을 시도하였다
1. 기술창조자는 이 시대의 새로운 경제주체로 되어야 한다 = 423
2. 기술창조자의 시각에서 본 새로운 경제이론을 개발ㆍ전개하였다 = 426
3. 경제학 용어의 근대화를 제안하였다 = 429
4. 자본가는 유통과정에서 이윤을 극대화하여 실현한다 = 431
5. 노동자는 기업의 혜택을 입고 있다 = 433
6. 민주적 전형(轉形)의 논리를 정립해 보려고 시도하였다 = 436
맺는말 = 437
1. 내가 어떻게 이것을 = 437
1.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마르크스에게 속고 있다 = 437
2. 이 문제를 어찌 하필 내가 = 440
3. 어려서 나는 천황(天皇)이 되려고 마음먹었다 = 442
4. 고향 뒷들에서 새를 보다가 = 444
5. 대학을 버리고 탐구(探究)의 망망대해로 = 446
6. 공산주의 이론은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는 신념의 근거 = 449
2. 끝으로 한 마디 = 453
부록 : 反「共産黨宣言」 =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