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pecial Preface = 11
저자 서문 = 15
역사 서문 = 19
바치는 글 = 22
감사의 글 = 23
서론 : 우리의 이야기 말하기 = 24
제1장 "내 생에 잊지 못할 기억(A Very Last First Time)" = 31
반성 = 53
이야기로 시작하기 = 53
의미 구성하기 = 57
목표 중심 교육과정 = 60
계획(설계)하기 = 61
기타 질문 = 63
참고자료 : 목록 = 64
제2장 이야기 : 학습을 위한 적절한 맥락 = 67
The Green Book에 응답하기 = 69
이야기는 무엇인가? = 72
왜 이야기인가? = 74
기억하기 위해서 = 74
삶과 유사하게 관련시키기 위해서 = 75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서 = 76
유의미한 맥락에서 학습하기 위해서 = 78
개인차를 조정하기 위해서 = 83
공동체에 참여하기 위해서 = 84
The Green Book 재고(再考) = 87
추가 질문 = 88
관련 도서 = 89
제3장 구성주의 : 학습 이론 = 91
우리는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 95
전달과 대조되는 구성주의 = 96
구성주의 관점의 입장 = 100
구성주의와 발견의 차이점 = 121
구성주의 입장의 요약 = 122
구성주의 모형을 교실에 적용하기 = 123
구성주의 환경에서 교사의 행동 = 124
구성주의에 대한 몇 가지 반대 = 126
추가 질문 = 128
관련 도서 = 128
제4장 학교교육의 목표 = 129
"the Town That Moved"에 관한 반성 : 학교에서 무엇이 학습되어야 하는가? = 135
목표 : 어디에서 오는가? = 137
국가 목표 = 140
주 규정 = 143
학문 중심 목표 = 144
지역 목표 개발 = 148
왜 목표인가? = 153
목표 : 언제 고려되어야 하는가? = 156
목표 중심 단원 : 미국 중남부의 건조 평원 지대 = 156
요약 = 162
추가 질문 = 163
입문서 읽을거리 = 163
"The Town That Moved"를 위한 자원목록 = 164
제5장 내러티브 교육과정 : 세 가지 토대들의 관련성 = 165
교육과정 구성 시나리오 = 166
구성중인 모델 = 172
모델 설명 = 175
목표 = 175
맥락 = 178
학습이론 = 179
요약 = 181
초학문적 학습 : 내러티브 교육과정이 자연스럽게 수반하는 결과 = 183
추가 질문 = 185
제6장 내러티브 교육과정 : 설계 템플릿 = 187
설계 템플릿 = 189
맥락 = 190
내러티브 필터 = 195
템플릿을 사용하기 위한 초대 : 맥락 선정하기 = 198
탐구질문 = 203
탐구질문에서 학생의 역할 = 204
탐구질문에 대한 학문적 시각 및 관점 = 205
설계자로의 초대 : 탐구질문 구성하기 = 207
목표 필터 = 208
내용에 대한 관심 = 211
설계자로서 초대 : 목표 선정하기 = 214
탐구조사 = 216
설계자로의 초대 : 탐구조사를 고려하기 = 221
완성 및 정리 = 222
평가 = 225
설계자로의 초대 : 완성과 평가에 대비하기 = 226
요약 = 227
추가 질문 = 228
관련 도서 = 228
제7장 내러티브 교육과정 : 내러티브 선정하기 = 229
내러티브의 여러 가지 역할 = 231
수업의 기대 태세로서의 이야기 = 231
적용으로서의 이야기 = 232
수업의 마무리를 위한 이야기 = 232
자원으로서의 이야기 = 233
교육과정 틀로서의 이야기 = 233
내러티브의 자원 = 233
문학적 내러티브 = 235
역사적 내러티브 = 239
협동적 내러티브/시뮬레이션 = 243
쟁점/문제 중심의 내러티브 = 246
내러티브 선정을 위한 추가 준거 = 249
작가적 내러티브 대 독자적 내러티브 = 250
학문적인 관점 = 254
탐구의 가능성 = 254
목표 = 255
요약 : 교육과정 틀로서의 이야기 = 255
추가 질문 = 257
관련 도서 = 257
제8장 교육과정의 공동 창안자로서의 학생 = 259
교육과정 정보제공자로서의 학생 = 261
교육과정 협상자로서의 학생 = 267
교육과정 계획자로서의 학생 = 275
공동으로 창안한 교육과정 = 278
현실성의 원리 = 283
발달적 고려 = 284
저학년 학습자 = 285
성숙한 학습자 = 287
중학년 학습자 = 289
요약 : 교육과정 계획의 연속체 = 291
추가 질문 = 292
관련 도서 = 292
제9장 계획에서 행위로 진행 = 293
맥락 속으로 아동의 초대 = 295
도서 = 295
내러티브의 대안적인 제안 = 298
현장 답사 = 300
시뮬레이션 = 306
탐구의 향상 = 307
맥락 이전의 탐구를 위한 계획 = 308
맥락 도중의 탐구 촉진 = 314
맥락 이후의 탐구 촉진 = 315
질적 탐구의 확장 = 317
탐구조사의 계획 = 319
전 집단, 소집단, 혹은 개별 탐구조사? = 320
탐구조사의 촉진 = 323
주요 자원의 활용 = 325
탐구조사의 효과성 평가 = 328
진술된 목표에 부합하게 코스를 유지하기 = 331
단기 수업 = 332
완성 = 336
사정 = 338
산출물 사정 = 340
과정의 사정 = 342
채점 지침 = 343
협력 창안 사정 = 348
추가 질문 = 349
관련 도서 = 349
제10장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사례 = 351
교사들과 내러티브 교육과정 = 353
다른 장면에서의 내러티브 교육과정 = 392
인디언 보호 지역에서 = 392
도심부에서 = 393
리소스 룸에서 = 395
우리가 존중하는 것 = 396
학생들은 현재 그들이 누구인가로 인해 중요한 존재다 = 396
우리는 우리가 누구인가를 가르친다 = 398
우리는 배려에 관심이 있다 = 398
부록 A : 설계 과정을 위한 도움 = 401
"The Pine Tree Shilling" = 402
텅빈 이야기 지도 = 405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 템플릿 = 406
부록B : 설계 템플릿의 사례 = 407
Very Last First Time 설계 템플릿 = 408
The Green Book 설계 템플릿 = 409
Galimoto 설계 템플릿 = 410
"The Town That Moved" 설계 템플릿 = 411
"Siege of Type" 설계 템플릿 = 412
부록 C : 어린이 문학 작품으로 선정된 참고 도서 = 413
부록 D : 교사 행동의 분석과 상호작용적인 스토리북 읽기 = 429
부록 E :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했던" 역사적 사건을 다시 말하기 = 441
참고문헌 = 446
찾아보기 =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