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북한 조세제도

북한 조세제도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안창남.
서명 / 저자사항
북한 조세제도 / 안창남.
발행사항
서울 :   세학사 ,   2005.  
형태사항
273 p. ; 23 cm.
ISBN
8982526153 978898226152
000 00577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370905
005 20100806051707
007 ta
008 051025s2005 ulk 000c kor
020 ▼a 8982526153 ▼g 93320
020 ▼a 978898226152
035 ▼a (KERIS)BIB000009976670
040 ▼a 211014 ▼d 211009
082 0 4 ▼a 336.20095193 ▼2 22
085 ▼a 336.2009539 ▼2 DDCK
090 ▼a 336.2009539 ▼b 2005
100 1 ▼a 안창남. ▼0 AUTH(211009)143933
245 1 0 ▼a 북한 조세제도 / ▼d 안창남.
260 ▼a 서울 : ▼b 세학사 , ▼c 2005.
300 ▼a 273 p. ; ▼c 23 cm.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36.2009539 2005 등록번호 1114253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36.2009539 2005 등록번호 1114253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안창남(지은이)

<인터넷과 세금강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북한 개요
 1. 북한의 권력체제 = 13
 2. 북한의 입법기간 = 17
 3. 북한의 행정기관 = 19
 4. 북한의 사법기관 = 21
 5. 북한의 예산 = 22
 6. 북한의 세입구조 = 23
 7. 북한의 법원성(法源性) = 24
 8. 북한의 경제정책 = 25
  8.1. 외국인 투자 유치 = 25
  8.2. 남북교류 = 26
  8.3. 남북경제협력 4개 합의서 = 32
 9. 북한의 회계제도 = 34
  9.1. 북한회계법 = 34
  9.2. 외국인투자기업 부기계산 규정 = 36
  9.3. 외국인투자기업 부기검증규정 = 39
 10. 북한의 세금폐지와 부활 = 41
제2부 북한 국내세법 편
 1. 북한세금제도의 폐지와 신설 = 45
 2. 외국기업 및 외국인 세금법 = 49
  2.1. 총칙규정= 50
  2.2. 기업소득세 = 54
  2.3. 개인소득세 = 62
  2.4. 재산세 = 66
  2.5. 상속세 = 68
  2.6. 거래세 = 70
  2.7. 지방세 = 72
  2.8. 처벌규정 = 75
  2.9. 소송규정 = 76
 3. 개성공업지구 세금 규정 해설 = 76
  3.1. 총칙규정 = 76
  3.2. 기업소득세 = 78
  3.3. 개인소득세 = 82
  3.4. 재산세 = 84
  3.5. 상속세 = 85
  3.6. 거래세 = 87
  3.7. 영업세 = 88
  3.8. 지방세 = 89
  3.9. 조세절차 규정 = 90
제3부 남북이중가세방지 협정
 1. 남북이중과세방지협정의 법원성 = 95
 2. 이중과세방지와 조세조약 = 97
  2.1. 이중과세 발생원인 = 99
  2.2. 이중과세 방지규정 = 100
 3. 조세조약의 해석 = 103
 4. 남북이중과세방지협정의 개요 = 105
 5. 남북한 이중과세방지협정의 총칙규정 = 106
  5.1. 용어의 정의규정(제1조) = 106
  5.2. 적용대상(제2조) = 107
  5.3. 적용세목(제3조) = 108
  5.4. 거주자의 판정(제4조) = 109
  5.5. 고정사업장 판정기준(제5조) = 112
 6. 국내원천소득의 종류 및 과세방법 = 114
  6.1. 부동산소득(제6조) = 115
  6.2. 사업소득에 대한 과세(제7조) = 116
  6.3. 수송소득(제8조) = 119
  6.4. 특수관계기업(제9조) = 120
 7. 자본소득에 대한 과세 = 121
  7.1. 배당소득(제10조) = 122
  7.2. 이자소득(제11조) = 123
  7.3. 사용료소득(제12조) = 127
 8. 기타의 소득 = 129
  8.1. 재산양도소득(제13조) = 129
  8.2. 독립적 인적용역소득(제14조) = 130
  8.3. 종속적 인적용역소득(제15조) = 132
  8.4. 이사의 보수(제16조) = 134
  8.5. 예술인과 체육인의 소득(제17조) = 134
  8.6. 연금소득(제18조) = 135
  8.7. 학생과 실습생의 보조금(제19조) = 136
  8.8. 교원과 연구원의 소득(제20조) = 137
  8.9. 기타소득(제21조) = 137
 9. 절차적인 규정 = 138
  9.1. 이중과세방지방법(제22조) = 138
  9.2. 무차별과세원칙(제23조) = 139
  9.3. 합의절차(제24조) = 142
  9.4. 정보교환(제25조) = 143
 10. 남북이중과세방지협정에서 더 깊이 있게 다루어야 될 점 = 143
  10.1. 적용대상자와 관련 = 144
  10.2. 조세분쟁 발생시 합의절차의 강제성 부여와 시한의 설정 = 144
  10.3. 상속세 및 증여세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한 조세협정 체결의 필요성 = 145
제4부 통일과 통일재원 마련 방안
 1. 서론 = 149
 2. 현재까지 발표된 통일비용 추산 내역 = 150
  2.1. 총 통일비용 = 151
  2.2. 통일비용 산출의 어려움 = 151
  2.3. 각 연구기관별 총통일비용의 추산 = 152
 3. 통일에 따른 이익 = 155
 4. 순통일비용 = 157
 5. 통일비용의 조달 방안 = 157
  5.1. 통일세 신설방안 = 158
  5.2. 세계잉여금(歲計剩餘金) 활용방안 = 159
  5.3. 지하자금 양성화를 겸한 국공채 발행 방법 = 159
  5.4. 북한에 사전 투자 방안 및 해외투자유치 모색 = 160
 6. 결론 = 161
별첨
 1. 남북사이의 투자보장에 관한 합의서 = 165
 2. 남북사이의 소득에 대한 이중과세방지 합의서 = 171
 3. 남북사이의 청산결제에 관한 합의서 = 185
 4. 남북사이의 상사분쟁 해결절차에 관한 합의서 = 188
 5. 외국투자기업 및 외국인세금법 = 194
 6. 외국투자기업 및 외국인 세금법 시행규정 = 204
 7. 개성공업지구 기업창설운영규정 = 224
 8. 개성공업지구 세금규정 = 230
 9. 금강산관광지구 기업창설운영규정 = 250
 10. 북한회계법 = 256
 11. 외국인투자기업 부기계산규정 = 263
 12. 외국인투자기업 부기검증규정 = 270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 거시경제분석과 (2022)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세제분석실. 추계세제총괄과 (2022)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세제분석실. 세제분석2과 (2022)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세제분석실. 추계세제총괄과 (2022)
유태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