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의 경계들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소영 , 1954-
서명 / 저자사항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의 경계들 / 윤소영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공감 ,   2007.  
형태사항
95 p. ; 23 cm.
총서사항
공감이론신서 ; 28
ISBN
9788986939323
000 00615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369928
005 20100806050735
007 ta
008 070618s2007 ulk 000c kor
020 ▼a 9788986939323 ▼g 03320
035 ▼a (KERIS)BIB000010935387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35.4 ▼2 22
090 ▼a 335.4 ▼b 2007d
100 1 ▼a 윤소영 , ▼d 1954- ▼0 AUTH(211009)86909
245 1 0 ▼a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의 경계들 / ▼d 윤소영 지음.
260 ▼a 서울 : ▼b 공감 , ▼c 2007.
300 ▼a 95 p. ; ▼c 23 cm.
440 0 0 ▼a 공감이론신서 ; ▼v 28
440 0 0 ▼a 과천연구실세미나 ; ▼v 30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 2007d 등록번호 1114233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 2007d 등록번호 1114233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에 출간되었던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의 쟁점들>에 후속하는 연구 노트. 이데올로기에 대한 발리바르의 연구 방향이 인권의 정치를 매개로 스피노자-마르크스주의에서 헤겔-마르크스주의로 전환한다는 사실에 주목하느 「헤겔-마르크스주의와 변증법」등 4개의 논문과 한 개의 번역문을 실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윤소영(지은이)

1954년 서울에서 출생 1973-77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수학 1986년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학위 취득 1984-2019년 한신대학교 국제경제학과에 재직 1980년대 운동권 민중 민주(PD)계열의 이론적 기초가 된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독점강화 종속심화 테제)”을 주창하며 그 기초를 세웠다. 1990년대에는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주의 재구성 작업을 소개하는 데 주력했고, 2000년대에는 자신의 작업을 ‘마르크스주의의 일반화’라는 개념으로 정의하면서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1994년 6월부터 과천연구실이라는 연구소를 설립, 다양한 연구 결과를 책으로 펼치고 있다.

과천연구실(지은이)

'마르크스주의의 전화'를 위한 '중장기적'이며, '초분파적'인 이론 연구를 위해 1994년 6월에 결성되었다. 매년 연구결과를 '과천연구실 세미나'의 형식으로 발표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5
헤겔-마르크스주의와 변증법 = 11
 『정신현상학』의 개요 = 12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 인권의 정치 = 14
 『자본』의 변증법: 자본주의의 역사 = 19
중국 사상사 개관 = 24
 공납제의 순환 = 24
 유가와 도가ㆍ도교의 역사 = 26
 불교의 중국화 = 35
기독교사 개관 = 41
 원시기독교 = 41
 유다교의 역사 = 44
 기독교의 가톨릭화 = 48
 개신교의 분리 = 52
 보론: 이슬람교의 역사 = 54
『성서』 개관 / 존 바튼 = 58
 『구약성서』 = 58
 '외경' = 63
 『신약성서』 = 63
목적론 대 종말론: 알튀세르와 데리다의 유예된 대화 / 에티엔 발리바르 = 68
 인간주의 비판 = 69
 알튀세르와 데리다의 이단점 = 71
 예비적 논평과 잠정적 결론 = 73
 알튀세르에 대한 데리다의 비판 = 77
 반비판을 위한 세 가지 논점 = 80
 첫 번째 논점: 목적론과 종말론 = 82
 두 번째 논점: 변증법 = 86
 세 번째 논점: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 90
'과천연구실 세미나' 개관 = 9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