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부 언어의 본질
1. 의사소통
1.1 우주 만물은 이미 의사소통하고 있다
1.2 의사소통은 불통과 소통 사이에 있다
1.3 만물은 모두 소통력을 가지고 있다
2. 무한소통망 無限疏通網
2.1 우주는 무한소통망이다
2.2 우주 만물이 무한소통망의 발현이다
2.3 무한소통망과 만물은 서로 하나다
2.4 무한소통망은 쉬지 않고 변한다
2.5 무한소통망은 완전하다
2.6 무한소통망은 무한가능성, 무한소통력을 가지고 있다
3. 내면소통력
3.1 나는 무한소통망이다
3.2 내면소통력으로 무한소통력을 키운다
3.3 현상으로 내면소통력을 키운다
제2부 언어의 원리
1. 인식체계와 언어
1.1 인식은 대상과 인식체계가 상호 작용하여 일어난다
1.2 인식체계는 무한소통망이며 나의 바탕이다
1.3 언어는 ‘나’다
2. 언어의 한살이
2.1 내적 언어가 일어나다 - 언어의 태동
2.2 외적 언어로 나오다 - 언어의 발현
2.3 인식체계가 서로 하나 되다 - 언어의 작용
2.4 말은 사라지고 내면소통력만 자라난다 - 언어의 회귀와 순환
3. 언어의 논리
3.1 말실수란 없다 - 논리의 완전성
3.2 뜬금없는 말의 원인은 우주 전체다 - 논리의 인과성
3.3 기억이 있어야 잊음도 있다 - 논리의 상대성
3.4 고정관념을 내려놓으면 우주가 새로워진다 - 논리의 창조성
4. 논리와 내면소통
4.1 자신의 내면을 보라 - 내면 관찰
4.2 자신의 내적 언어가 어디서 나왔는가 보라 - 인식체계 역추적
4.3 자신의 고정관념을 고집하지 말라 - 인식체계 내려놓기
4.4 논리를 창조하여 내적 언어를 새롭게 하라 - 논리의 창조
제3부 언어의 활용
1. 듣기
1.1 듣기의 중요성 - 듣기로 내면 성장과 진화가 이루어진다
1.2 듣기의 원리 - 자신의 내적 언어를 스스로 인식하는 언어활동
1.3 듣기의 방법
- 상대방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순수한 마음으로 끝까지 듣는다
- 들리는 소리가 모두 자신의 내적 언어임을 알고 자신의 인식체계를 내려놓고 듣는다
- 실례들
1.4 듣는 힘 - 마음의 상처가 듣는 힘을 길러준다
2. 말하기
2.1 말하기의 중요성 - 무한가능성의 발현으로 성장하는 무한가능성
2.2 말하기의 원리 - 내적 언어를 말로 드러내는 언어활동
2.3 말하기의 방법
- 잘 들어야 잘 말할 수 있다
- 자신의 말도 잘 들으면서 자신의 인식체계를 분명히 알고 말한다
- 자신의 인식체계를 내려놓으면 상황에 가장 알맞은 말이 창조된다
- 내면소통이 되면 외부소통은 저절로 된다
-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고 실천해야 한다
- 실례들
2.4 말의 힘 - 내면소통 된 말은 모든 것을 살려낸다
3. 읽기
3.1 읽기의 중요성 - 자신의 내면을 치밀하게 차근차근 살펴 볼 수 있다
3.2 읽기의 원리 - 글과 자신의 인식체계가 상호 작용하여 일어난 자신의 내적 언어를 스스로 인식하는 언어활동
3.3 읽기의 방법
- 자신의 인식체계를 내려놓고 읽는다
- 짜임새를 파악하고 자신의 삶과 인식체계에 통합시키며 읽는다
- 글자 너머의 뜻을 읽는다
3.4 읽는 힘 - 인식체계의 해상도를 높여라
4. 쓰기
4.1 쓰기의 중요성 - 쓰기는 자기완성의 샘을 차고 맑고 풍요롭게 한다
4.2 쓰기의 원리 - 내적 언어를 글로 드러내는 언어활동
4.3 쓰기의 방법
- 좋은 인식체계에서 좋은 글이 나온다
- 글을 쓰는 목적과 핵심 내용이 분명히 드러나도록 쓴다
- 읽는이의 처지와 수준에 맞춰 쓴다
- 우선 써 봐야 한다
- 실례들
4.4 쓰기의 힘 - 쓰기는 삶을 바꾼다
5. 대화와 토론
5.1 대화의 중요성 - 대화對話는 대화大化다
5.2 대화의 원리 - 대화는 차이에서 생긴다
5.3 대화의 방법
- 자기 대화가 먼저 되어야 한다
- 다름과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
- 내면 성장, 공생을 목표로 해야 한다
5.4 토론의 방법
- 상대방의 의견을 인정하고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 자신의 인식체계를 내려놓을 수 있는 아량과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
- 생명의 원리, 공생의 원리에 맞는 결론이 가장 좋은 결론이다
5.5 교육 방법으로서의 토론의 중요성 - 무한가능성의 발현으로 내면 소통력을 키워간다
맺음말
용어 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