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369036 | |
005 | 20220823111112 | |
007 | ta | |
008 | 040705s2004 ulk b 001c kor | |
020 | ▼a 8987315584 ▼g 03340 | |
035 | ▼a (KERIS)BIB000009463840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55/.027 ▼2 22 |
090 | ▼a 355.027 ▼b 2004 | |
100 | 1 | ▼a Blainey, Geoffrey |
245 | 2 0 | ▼a (지오프리 블레이니의)평화와 전쟁 / ▼d 지오프리 블레이니 지음 ; ▼e 이웅현 옮김. |
246 | 1 9 | ▼a (The)causes of war |
250 | ▼a 2판 | |
260 | ▼a 서울 : ▼b 리북, ▼c 2004. | |
300 | ▼a 368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48-358) 및 색인수록 | |
650 | 0 | ▼a War. |
650 | 0 | ▼a Military history, Modern ▼y 20th century. |
700 | 1 | ▼a 이웅현, ▼g 李雄賢, ▼d 1962-, ▼e 역 ▼0 AUTH(211009)88748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27 2004 | Accession No. 1114241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27 2004 | Accession No. 1114241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지오프리 블레이니(지은이)
<평화와 전쟁>
이웅현(옮긴이)
고려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도쿄대학교에서 러시아(소련)외교정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지정학연구원 원장이다. 저서로는 『소련의 아프간 전쟁』(2001), 『중앙아시아의 문명과 반문명』(편저, 2007), 『동아시아 철도네트워크의 역사와 정치경제학 II』(편저, 2008),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의 미래』(공저, 2019)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일본인은 왜 사과를 잘 하는가?』(1991), 『평화와 전쟁』(1999), 『새로운 중세: 21세기의 세계시스템』(2000), 『러시아의 자본주의혁명』(공역, 2010)이 있다. 그 밖에 「아프가니스탄 반군의 계보」(2013), 「일본 문부과학성 교과서조사관의 계보」(2014), 「파키스탄의 격동과 파란: 동맹의 패러독스」(2015), 「1950년대 일본의 교과서 국정화 시도」(2016), 「전후 일본 보수인맥의 태동: ‘역코스’기를 중심으로」(2017) 등의 논문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Ⅰ부 한국전쟁시 유엔의 역할 한국전쟁과 UN의 개입(1950) : 과정과 배경 / 박흥순 = 13 Ⅰ. 서론 Ⅱ. 집단안보의 이론적 논의 Ⅲ. 유엔헌장상의 국제안보체제 Ⅳ. 한국전쟁과 UN안보리 : 논의와 결정 Ⅴ. 유엔의 한국전 개입 : 요인과 배경 Ⅵ. 결론 유엔과 한국전쟁의 휴전과정 / 이서항 = 55 Ⅰ. 서론 Ⅱ. 유엔과 한국전쟁 : 유엔 조치의 성격 Ⅲ. 유엔의 휴전과정 개입 : 배경과 역할 Ⅳ. 휴전체제의 평화체제 전환문제 : 유엔관련 제문제 Ⅴ. 맺음말 UN과 제네바 회담의 의미와 교훈 / 홍규덕 = 77 Ⅰ. 서론 Ⅱ. 제네바 회담의 개최 배경 Ⅲ. 주요교훈 Ⅳ. 북경 6자 회담에 대한 함의 Ⅴ. 결론 유엔의 한국전 개입이 유엔체제에 미친 영향 / 오영달 = 95 Ⅰ. 서론 Ⅱ. 유엔 안보리의 논의와 행동조치 Ⅲ. 유엔 총회에서의 논의와 행동조치 Ⅳ. 유엔 안보체제의 변형적 운용과 그 영향 Ⅴ. 결론 Ⅱ부 한국전쟁과 관련 국제기구 한국전쟁과 국제경제기구 : 미국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예종영 = 145 Ⅰ. 들어가기 Ⅱ. 국제경제기구의 설립과 한국 Ⅲ. 한국전쟁을 전후한 국제연합기구의 활동 Ⅳ. 미국대외원조의 유형과 변화 Ⅴ. 미국의 대한원조와 UN의 원조 Ⅵ. 나가며 한국전쟁과 인도주의적 국제기구 : 인도적 문제와 구호재건 활동을 중심으로 / 이신화 = 167 Ⅰ. 서론 Ⅱ.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본 한국전쟁의 결과 Ⅲ. 전후 국제기구의 구호·재건활동 Ⅳ. 결론 한국전쟁과 UNESCO / 정우탁 = 197 Ⅰ. 서론 Ⅱ. 한국의 UNESCO 가입 Ⅲ. 한국전쟁의 발발과 UNESCO 가입 후속 조치 Ⅳ. 한국전쟁과 UNESCO(Ⅰ) : UNESCO의 지원 Ⅴ. 한국전쟁과 UNESCO(Ⅱ) : 한국전쟁이 UNESCO에 미친 영향 Ⅵ. 결론 Ⅲ부 한국전쟁과 국제사회 한국전쟁과 일본의 전쟁협력정책 : 대미협력과 대유엔협력의 간극 / 남기정 = 219 Ⅰ. 서론 Ⅱ. 일본정부의 한국전쟁에 대한 입장과 협력방침 Ⅲ. 군사 작전상의 협력 : 대GHQ/대미 협력 Ⅳ. 비군사적 협력 : 대유엔 협력 Ⅴ. 전쟁 협력의 목표 Ⅵ. 결론 한국전쟁과 중국 : 중국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하도형 = 259 Ⅰ. 서론 Ⅱ. 한국전쟁 발발원인에 대한 논의 Ⅲ. 한국전쟁참전에 대한 평가 Ⅳ. 한국전쟁참전과 중미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Ⅴ. 결론 한국전쟁과 유럽 : 유럽냉전과 영국참전의 함의 / 김계동 = 293 Ⅰ. 서론 Ⅱ. 냉전과 유럽안보 Ⅲ. 영국의 참전 : 자국안보와 동맹신뢰의 딜레마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