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이동현상의 최소주의 해석이론

이동현상의 최소주의 해석이론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Hornstein, Norbert 김영룡 , 역
Title Statement
이동현상의 최소주의 해석이론 / Norbert Hornstein 지음 ; 김영룡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   2007.  
Physical Medium
ix, 358 p. ; 25 cm.
Varied Title
Move! a minimalist theory of construal.
ISBN
978895726451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45]-356),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inimalist theory (Linguistics)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Syntax.
000 00846camccc200277 k 4500
001 000045369027
005 20100806045320
007 ta
008 070523s2007 ulk b 001c kor
020 ▼a 9788957264515 ▼g 93700
035 ▼a (KERIS)BIB000010902989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15 ▼2 22
090 ▼a 415 ▼b 2007a
100 1 ▼a Hornstein, Norbert
245 1 0 ▼a 이동현상의 최소주의 해석이론 / ▼d Norbert Hornstein 지음 ; ▼e 김영룡 옮김.
246 1 9 ▼a Move! a minimalist theory of construal.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7.
300 ▼a ix, 358 p.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345]-356), 색인수록
650 0 ▼a Minimalist theory (Linguistics)
650 0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Syntax.
700 1 ▼a 김영룡 , ▼e▼0 AUTH(211009)134454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7a Accession No. 1114238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7a Accession No. 1114238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보편문법에서 해석의 과정을 제거하고, 이동 현상을 일반화함으로써 통제이론, 결속이론, 영-운용자 허가에서 이동이 해석 작용을 대체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는 책. 문법장치를 필수적인 최소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최소주의 순수개념적인 관점에서, GB이론보다는 더 적합한 최소 설명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Norbert Hornstein(지은이)

<Reconstruction and Derivation in The Theory of Syntax>

김영룡(옮긴이)

<생활속의 궁금한 우리말 영어표현 이렇게>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 ⅴ
서문 = ⅶ
 제1장 최소주의 = 1
 제2장 이동과 통제 = 39
 제3장 부가어 통제와 기생공백 = 113
 제4장 자질유인과 측면이동 = 211
 제5장 결속이론은 필요한가 = 237
 제6장 격, 성분통어, 조합성 = 319
참고문헌 = 345
찾아보기 =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