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1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368489 | |
005 | 20100806044246 | |
007 | ta | |
008 | 070518s2007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76442291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0893307 | |
040 | ▼a 241050 ▼c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352.4 ▼2 22 |
090 | ▼a 352.4 ▼b 2007a | |
245 | 0 0 | ▼a 현대재무행정이론 / ▼d 한국행정학회 재무행정연구회. |
260 | ▼a 서울 : ▼b 대영문화사 , ▼c 2007. | |
300 | ▼a 324 p. : ▼b 삽도 ; ▼c 26 cm. | |
504 |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
710 | ▼a 한국행정학회 . ▼b 재무행정연구회 , ▼e 편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4 2007a | Accession No. 1114210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4 2007a | Accession No. 1114210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오석홍의 『행정학의 주요 이론』(2000)은 행정학 관련 주요 논문을 소개한 책인데 이 책의 ‘예산 과정’ 편에 재무행정 관련 논문들이 소개되어 있다. 부분적으로 『예산이론』과 중복되는 논문들도 있지만 『행정학의 주요 이론』은 주요 논문을 소개하고 비평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 논문을 그대로 번역한 『예산이론』과는 다른 것이다. 우리가 계획한 이 책은 오석홍 교수의 생각을 따른 것으로, 원저자들의 이론을 요약·소개하고 비평을 가해 그것들이 시사하는 바를 논의했다.
우리는 21편의 논문을 예산 시각의 변천, 예산이론, 예산회계 제도 개혁과 성과측정, 재정정책과 예산이론의 적용 등 4부로 정리했다.
-머리말중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PART 1 예산 시각의 변천 1. 케이든의 수퍼예산자의 모습 = 9 2. 르로우프의 미시예산에서 거시예산으로 = 25 3. 포리스터의 공공선택론적 예산연구 = 42 PART 2 예산이론 1. 페인의 지출의 문화: 의회가 수입의 한도를 넘어서 지출하는 원인의 분석 = 59 2. 니스카넨의 관료의 예산극대화모형 = 68 3. 노드하우스의 정치적 경기순환모형 = 81 4. 루빈의 실시간 예산 운영 = 92 5. 에브돈과 프랭클린의 예산과정의 시민참여 영향 모형 = 106 6. 라이너트의 예산통제론 = 121 PART 3 예산회계제도 개혁과 성과측정 1. 쉭의 미 연방정부 예산제도 개혁 : 입법부 예산제도, 행정부 예산제도, 양 제도 병존 = 137 2. 매카프리와 존스의 국방예산의 독특한 특징 = 153 3. 미국 의회 회계감사국의 '정부성과 및 결과에 관한 법(GPRA)' 실천 전략 = 171 4. 뤼더의 정부회계제도 개혁에 관한 상황모형 = 182 5. 니한과 마틴의 자료포락분석에 의한 공공기관의 비교성과측정 = 196 PART 4 재정정책과 예산이론의 적용 1. 블라인더와 솔로의 재정정책의 효과측정지표 = 217 2. 홀콤의 공공선택과 공공지출 = 231 3. 힐먼의 정치적 경쟁과 공공지출 = 242 4. 홀콤의 공공선택론 시각에서 본 조세정책 = 265 5. 스왕크의 재정수지의 공공선택론적 분석 = 277 6. 트루의 쇄도와 점증주의: 미국의 정책결정과 예산 = 295 7. 뷰캐넌의 재정헌정주의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