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증보)한국음악통사

(증보)한국음악통사 (Loan 3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송방송 宋芳松
Title Statement
(증보)한국음악통사 / 宋芳松.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민속원 ,   2007.  
Physical Medium
xix, 982 p. : 삽도(일부색채) ; 24 cm.
ISBN
978895638434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881-926) 및 색인수록
000 00587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368410
005 20100806044059
007 ta
008 070705s2007 ulka b 001a kor
020 ▼a 9788956384344 ▼g 93670
040 ▼a 211009 ▼d 211009
082 0 4 ▼a 780.9519 ▼2 22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07d
100 1 ▼a 송방송 ▼g 宋芳松 ▼0 AUTH(211009)18691
245 2 0 ▼a (증보)한국음악통사 / ▼d 宋芳松.
260 ▼a 서울 : ▼b 민속원 , ▼c 2007.
300 ▼a xix, 982 p. : ▼b 삽도(일부색채)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881-926) 및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7d Accession No. 1114205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증보판에서 수정 보완된 부분은 제1편의 1장과 제2편의 5장 및 제3편의 6장과 7장이다. 1장의 보완된 부분은 이진원 박사가 제공한 중국음악 관련의 학술정보에 의존하였고, 또한 그의 도움으로 6장에 여러 음반자료와 참고자료틀 포함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7장의 북한음악사 서술 때에는 <북한의 전통음악>과 노동은 교수의 북한음악과 관련된 글을 많이 참고하였다.

초판본과 비교하여 증보판에서 수정 보완된 부분은 제1편의 1장과 제2편의 5장 및 제3편의 6장과 7장이다. 1장의 보완된 부분은 이진원 박사가 제공한 중국음악 관련의 학술정보에 의존하였고, 또한 그의 도움으로 6장에 여러 음반자료와 참고자료틀 포함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7장의 북한음악사 서술 때에는 황준연 공저의 『북한의 전통음악』과 노동은 교수의 북한음악과 관련된 글을 많이 참고하였다. 증보판 통사 7장의 현대편 서술 때 특히 이강숙ㆍ김춘미ㆍ송혜진ㆍ김종수ㆍ이현주 등의 박사학위논문 및 후학들의 수많은 석사학위논문과 연구논문도 큰 도움을 주었다. 이렇듯 기존 연구성과에 의존하다 보니, 근현대편의 서술이 사실 나열의 한계를 벗어나기 어려웠다.
초판본에 발해음악사를 포함시켰듯이, 증보판에서는 북한음악사를 현대편에 포함시킴으로써 한겨레음악사가 되도록 노력하였으나, 우리나라 현대용악사의 학문적 연구는 앞으로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6장에서 일제강점기에서 친일 음악가의 활동상황을 음악학계에 밝혀진대로 서술하였다. 이렇게 수정하고 보완한 증보판 『한국음악통사』가 한국 음악사의 큰 흐름을 파악 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송방송(지은이)

일해一海 송방송宋芳松 학력 및 경력 1960~1965 서울대음대 국악과(학사) 1965~1968 서울대대학원 국악과(석사) 1968~1972 캐나다 토론토(Toronto)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학 1973~1975 미국 웨스레얀(Wesleyan)대 대학원(음악학박사(Ph.D.) 취득) 1975~1977 캐나다 맥길(McGill)대학교 음대 조교수 1978~1980 문화공보부 국립국악원 원장 1980~1998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및 음대학장 역임 1998~2008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교수 2008~2009 중앙대학교 초빙교수 2010~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국문서 및 영문서 『朝鮮王朝呈才史硏究』. 서울: 보고사, 2013. 『한겨레음악대사전』. 서울: 보고사, 2012. (인터넷 네이버 사전에 탑재) 『한겨레음악인대사전』. 서울: 보고사, 2012. 『한국현대음악인사전』. 서울: 보고사, 2011. 『조선음악인열전』. 서울: 보고사, 2010. 『악학궤범용어총람』. 서울: 보고사, 2010. 『한국근대음악인사전』. 서울: 보고사, 2009. (문광부 우수도서 선정) 『궁중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 찾기』. 서울: 보고사, 2009.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색인편』. 서울: 민속원, 2009.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색인』. 서울: 민속원, 2008. 『한국전통음악의 전승양상』. 서울: 보고사, 2008. (문광부 우수도서 선정) 『의궤 속의 우리 춤과 음악을 찾아서』. 서울: 보고사, 2008.(2013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우수도서 선정) 『增補韓國音樂通史』. 서울: 민속원, 2007. (문광부 우수도서 선정) 『韓國近代音樂史硏究』. 서울: 민속원, 2003.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한국음악학의 현단계』. 서울: 민속원, 2002. 『음악연구 어떻게 하는 것인가』. 서울: 음악춘추사, 2002. 『朝鮮朝音樂史硏究』. 서울: 민속원, 2001. 『韓國音樂史論叢』. 서울: 민속원, 1999.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韓國音樂學의 方向』. 서울: 도서출판 예솔, 1998. 『韓國音樂史論攷』. 경산: 영남대출판부, 1995. 『朝鮮王朝實錄音樂記事總索引』. 서울: 국립국악원, 1991. 『韓國音樂學序說』.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9. 『高麗音樂史硏究』. 서울: 일지사, 1988. 『韓國古代音樂史硏究』. 서울: 일지사, 1985. 『韓國音樂通史』. 서울: 일조각, 1984. 『韓國音樂史硏究』. 경산: 영남대출판부, 1982. 『韓國音樂學論著解題』.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樂掌謄錄硏究』. 경산: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980. KOREAN MUSIC:Its Historical and Other Aspects. Seoul: Jimoonding Publishing Co., 2000. The Sanjo Tradition of Korean K&#335;ungo Music. Seoul: Jung Eum Sa, 1986. Source Readings in Korean Music. Seoul: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1980. The Korean-Canadian Folk Songs:An Ethnomusicological Study. Ottawa: National Museums of CANADA, 1974.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Korean Music. Providence, R.I: Asian Music Publications, Brown University, 1971.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증보판의 머리글 = ⅳ
도판 목차 = ⅶ
보례 목차 = xviii
서장 한국음악사의 새로운 인식 = 1
 1절 한국음악사학과 시대구분 = 1
  1. 한국음악사학의 현황과 과제 = 1
  2. 시대구분의 방법론 = 2
 2절 한국음악사의 새로운 시대구분 = 8
제1편 한국고대음악사의 전개
 1장 향악의 형성과 발전시대 = 25
  1절 상고사회의 음악활동과 악기 = 27
   1. 향악의 기원문제 = 27
   2. 상고사회의 음악문화 = 29
   3. 상고사회의 고대악기 = 31
  2절 고구려의 음악문화 = 37
   1. 거문고의 출현과 안악 제3호분의 주악도 = 38
   2. 대륙악기의 수용과 해외음악활동 = 44
   3. 고구려의 왕립음악기관과 민간음악 = 51
  3절 백제의 음악문화 = 52
   1. 중국문헌에 나오는 백제악기 = 53
   2. 고고학자료에 보이는 백제악기 = 55
   3. 백제의 민간음악과 왕립음악기관 = 60
  4절 가야국과 신라의 음악문화 = 62
   1. 가야국의 음악문화 = 62
   2. 신라사회의 음악문화 = 65
  5절 고대 일본에 전파된 삼국악 = 70
   1. 백제악과 백제악사 = 71
   2. 신라악과 신라악사 = 74
   3. 고려악과 고려악사 = 76
 2장 향악의 전성시대 = 79
  1절 통일신라의 향악기와 가무 = 80
   1. 향악기의 수용과 발전 = 81
   2. 신라 악가무와 향가의 전통 = 95
  2절 통일신라 향악곡의 악조 = 100
   1. 거문고와 가야금의 악조 = 100
   2. 향비파와 삼죽의 악조 = 107
  3절 당악의 등장과 불교음악의 대두 = 111
   1. 당악의 등장과 당악기의 출현 = 112
   2. 불교음악의 대두 = 116
  4절 발해악과 고려악 = 122
   1. 발해의 음악문화 = 122
   2. 일본에서의 고려악 = 129
제2편 한국중세음악사의 전개
 3장 당악ㆍ아악의 수용시대 = 139
  1절 고려의 왕립음악기관 = 142
   1. 대악서의 설립과 역사적 변천 = 142
   2. 관현방과 아악서의 등장 = 144
   3. 고려 왕립음악기관의 활동범위 = 147
  2절 고려의 향악기와 향악 = 149
   1. 고려시대의 향악기 = 149
   2. 고려시대의 향악과 향악정재 = 157
  3절 고려의 당악과 당악기 = 168
   1. 고려의 당악과 당악정재 = 168
   2. 고려의 당악기와 송의 교방악사 = 176
  4절 대성아악의 등장과 그 향방 = 179
   1. 대성아악의 수용과정 = 180
   2. 대성아악의 수용과 변천 = 187
  5절 고려의 고취악과 기악 = 189
   1. 고려 고취악의 연주 형태 = 190
   2. 고려의 기악과 잡기 = 192
 4장 아악의 정비시대 = 198
  1절 조선전기의 왕립음악기관 = 198
   1. 아악서와 전악서 및 봉상시 = 199
   2. 악학과 관습도감 = 202
   3. 장악서와 악학도감 = 205
   4. 장악원의 직제와 활동 범위 = 209
  2절 조선전기의 아악정비 = 216
   1. 건국 초기의 신제 악장과 유가의 음악사상 = 217
   2. 세종조의 율관 및 악기제작 = 223
   3. 세종조의 아악제정과 정비 = 228
   4. 아악의 이론과 음악양식 = 239
  3절 조선전기의 향악과 민간음악 = 244
   1. 조선전기의 향악기와 향악곡 = 245
   2. 조선전기 향악의 음악양식 = 260
   3. 향악정재와 민간음악 = 269
  4절 조선전기의 당악과 고취악 = 274
   1. 당악과 당악정재의 전통 = 275
   2. 당악의 음악양식 = 282
   3. 조선전기의 고취와 고취악 = 287
  5절 조선전기의 악서와 기보법 = 293
   1. 악보와 악서 편찬 = 293
   2. 새 기보법 창안 = 305
 5장 근대로 전환기의 민간음악시대 = 316
  1절 조선후기의 궁중음악과 궁중무용 = 317
   1. 양란 이후 장악원과 공연활동 = 317
   2. 아악의 전승과 변화양상 = 331
   3. 향악과 당악의 역사적 변천 = 333
   4. 종묘제례악과 기타 제례악 = 338
   5. 궁중무용의 새 경향 = 346
  2절 조선후기의 고취와 군악대 = 364
   1. 조선후기 고취와 고취악 = 364
   2. 조선후기 군영의 군악대 = 369
  3절 정악의 출현과 성장 = 388
   1. 풍류방의 음악문화와 정악 = 388
   2. 성악의 새로운 전개 = 397
   3. 기악의 성장과 발전 = 411
  4절 민간음악의 새 양상 = 425
   1. 판소리와 광대 = 426
   2. 판소리의 성장과 발전 = 433
   3. 시나위와 산조의 등장 = 443
   4. 다른 민간음악의 사정 = 448
   5. 범패와 화청의 명맥 = 458
  5절 조선후기의 음악양식 = 463
   1. 음악양식의 새로운 이해 = 463
   2. 악조의 역사적 변천 = 465
   3. 음악양식의 새 경향 = 471
  6절 조선후기의 음악문헌 = 482
   1. 조선후기의 고악보와 기보법 = 482
   2. 조선후기의 관찬악서와 민간악서 = 497
   3. 조선후기의 기타 음악문헌 = 505
제3편 한국근현대음악사
 6장 서양음악의 수용시대 = 517
  1절 대한제국 시대의 궁중음악과 민간음악 = 518
   1. 대한제국 시절의 궁중음악 = 518
   2. 극장과 음악교육기관의 등장 = 526
   3. 민간 예인집단과 민간음악의 발전 = 536
   4. 음악문헌과 초창기의 유성기음반 = 545
  2절 일제강점기 조선악의 전승양상 = 551
   1. 이왕직아악부와 궁중음악 = 551
   2. 조선악의 교육기관과 연주단체 = 560
   3. 일제강점기 조선악의 이모저모 = 583
   4. 일제강점기 극장 중심의 조선악 변천 = 603
   5. 경성방송국을 통한 조선악의 방송양상 = 614
  3절 서양악의 수용과정과 찬송가 = 627
   1. 서양악의 유입시기와 찬송가의 전래 = 627
   2. 양악대의 창설과 일본군가의 유입 = 633
   3. 대한제국 말의 학교와 음악교육정책 = 641
  4절 일제강점기 서양악의 전개양상 = 645
   1. 조선총독부의 음악정책과 애국가류 창가 = 645
   2. 일제강점기 작곡가의 창작활동 = 649
   3. 전문음악교육기관 및 양악연주단체 = 666
   4. 대중매체의 등장과 음악출판물 = 674
   5. 일제말기 어용단체의 친일음악활동 = 683
 7장 민족음악의 모색시대 = 693
  1절 현대 국악사의 전개양상 = 694
   1. 광복 직후와 한국전쟁기의 국악사 = 695
   2. 한국전쟁 이후 1970년대까지의 국악사 = 704
   3.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국악의 현황 = 756
  2절 현대 한국양악사의 전개양상 = 811
   1. 광복 직후와 한국전쟁기의 양악사 = 811
   2. 한국전쟁 이후 1970년까지의 양악사 = 827
   3.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양악의 현황 = 837
  3절 북한음악의 전개양상 = 844
   1. 광복 직후와 한국전쟁기의 북한음악 = 846
   2. 한국전쟁 후 1970년대까지의 북한음악 = 847
   3. 1980년대 이후 북한음악의 새 경향과 현황 = 852
   4. 북한 민족음악의 전승양상 = 861
   5. 민족화해를 위한 남북음악계의 노력 및 성과 = 872
참고문헌 = 881
찾아보기 = 92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