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3
제1장 최소주의자의 예측: 개념과 가정 = 13
1. 언어학적 관점 = 13
2. 연산체계와 어휘부 = 16
3. 표시층위 = 26
4. 통사적/의미적 자발성(bootstrapping)과 기능범주 = 30
5. 격과 의미역 관계 = 36
6. 이론적 우아함과 경험적 사실 = 44
7. 공범주원리(The Empty Category Principle) = 54
8. 정신설계도(Mind Plan) = 63
제2장 최적성 이론과 선형성 = 69
1. 삽입규칙의 제거 = 69
2. 문법의 재평가: 조합성, 경제성, 대칭성 = 74
3. 선형성: 어순의 결정 = 78
4. 최적성 원리: 저절로 정해지는 어순 = 88
5. 복잡한 구조는 존재하는가? = 91
6. 다중문자화(Multiple Spell-out) = 95
7. 필수구절구조: 저절로 정해지는 표찰 = 100
8. 요약 = 104
제3장 이동의 경제성 = 107
1. 접사이동(Affix Hopping) = 107
2. 언어적 다양성과 핵 이동 = 111
3. 핵 이동에 대한 경제적 설명 = 116
4. 경제성에 입각한 설명 = 122
5. 하강 없는 체제 = 128
6. 최소연쇄조건(MLC) = 134
7. 성분통어와 거리산정 = 140
8. 다중의문문 = 146
9. 연속적인 순환이동 = 149
10. 자질이동과 순환 섬 = 153
11. 요약 = 164
제4장 표시의 경제성 = 167
1. 표시의 경제성과 완전해석원리 = 169
2. 연쇄의 일관성(Chain Uniformity) = 175
3. 제2 보존법칙(2nd Conservation Law) = 180
4. 종단가지의 선형화(Linearity of Terminal Branches) = 186
5. 표시적 보전 = 191
6. 가시성 조건(Visibility Condition) = 193
7. 격과 LF의 가시성: 지배, PRO 그리고 ECM = 196
8. LF에서의 격점검과 A-이동 = 201
9. PRO와 영격 = 208
10. 통사론/의미론 접합면에 관한 논의 = 214
제5장 언어적 연산의 최후수단적 성격 = 219
1. 명사구의 LF 이동 = 219
2. 주어와 목적어의 이동시점의 불균형 = 224
3. 허사구문에서의 관련명사구의 격점검방식 = 227
4. 허사구문에서의 주어-술어 일치와 최후수단 = 234
5. 이동의 동인으로서의 LF-접사 = 239
6. 또 다른 문제점과 해결안 = 243
7. 병합우선원칙(Merge over Move: MOM) = 250
8. 영어에서의 목적어 이동 = 259
제6장 LF 운용 = 267
1. 서론 = 267
2. Frege의 수수께끼 = 268
3. 양화사이동 = 274
4. 작용역 상호관계 = 280
5. 내현적 wh-이동 = 287
6. 선행사포함삭제(ACD) 구문 = 296
7. 양화사이동을 A-이동으로 = 303
8. 양화사이동을 A'-이동으로 = 306
9. A-이동 분석 = 313
10. 그 외의 분석방법들 = 319
11. 재구성 = 327
12. 결론 = 334
References = 337
찾아보기 =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