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92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365332 | |
005 | 20100806040429 | |
007 | ta | |
008 | 070625s2007 ggk 001a kor | |
020 | ▼a 9788946037021 ▼g 938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01 ▼2 22 |
090 | ▼a 801 ▼b 2007b | |
100 | 1 | ▼a 김종회 ▼0 AUTH(211009)22074 |
245 | 1 0 | ▼a 문학의 이해 / ▼d 김종회, ▼e 신덕룡, ▼e 심상교. |
250 | ▼a 전면개정판 |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c 2007. | |
300 | ▼a 432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신덕룡 ▼0 AUTH(211009)84858 |
700 | 1 | ▼a 심상교 ▼0 AUTH(211009)62179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2007b | Accession No. 1114221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2007b | Accession No. 1114221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김종회(지은이)
경남 고성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6년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88년 《문학사상》을 통해 문학평론가로 문단에 나온 이래 활발한 비평 활동을 해 왔으며 《문학사상》, 《문학수첩》, 《21세기문학》, 《한국문학평론》 등 여러 문예지의 편집위원 및 주간을 맡아 왔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한국비평문학회, 국제한인문학회, 박경리토지학회, 조병화시인기념사업회, 한국아동문학연구센터 등 여러 협회 및 학회의 회장을 지냈다. 현재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 촌장, 이병주기념사업회 공동대표, 한국디카시인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김환태평론문학상, 김달진문학상, 편운문학상, 유심작품상 등의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문학과 예술혼』, 『문학의 거울과 저울』, 『영혼의 숨겨진 보화』 등의 평론집이 있고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 등의 저서와 『삶과 문학의 경계를 걷다』 등의 산문집이 있다.
신덕룡(지은이)
양평에서 태어나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한 저자는 1985년 『현대문학』에 평론을, 2002년 『시와시학』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김달진문학상, 발견문학상, 서정시학작품상, 편운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저서로 『문학과 진실의 아름다움』, 『환경위기와 생태학적 상상력』, 『생명시학의 전제』, 시집으로 『소리의 감옥』, 『아름다운 도둑』, 『하멜서신』 등이 있다. 2018년 현재 광주대 문창과 교수인 저자는 시집 『하멜서신』을 펴내기 전 하멜의 흔적을 찾아 유럽으로 길을 떠났다. 3년 동안 함께 호흡해 온 하멜과 그만 작별하고 싶어서였다.
심상교(지은이)
저서로 한국희곡론1, 한국 전통연희론 등이 있다. 현재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4 문학의 이해(LITERATURE) = 9 1. 문학이란 무엇인가 = 9 2. 문학의 요소 = 21 3. 문학의 기능 = 40 4. 문학의 갈래 = 47 시의 이해(POETRY) = 57 1. 시란 무엇인가 = 57 2. 시의 요소와 방법 = 78 3. 시의 어조와 화자 = 128 4. 시의 갈래 = 133 소설의 이해(NOVEL) = 145 1. 소설이란 무엇인가 = 145 2. 소설의 유형 = 157 3. 소설의 구성요소 = 165 4. 소설의 방법 = 196 희곡의 이해(DRAMA) = 223 1. 희곡이란 무엇인가 = 223 2. 희곡의 구성 = 240 3. 연극을 통한 희곡 이해 = 248 4. 연극의 형태 = 257 5. 희곡사상의 흐름 = 263 6. 희곡 이해를 위한 몇 가지 용어 = 267 시나리오의 이해(SCENARIO) = 273 1.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 273 2. 시나리오 이해를 위한 영화의 이해 = 292 3. 영화의 실제 = 294 4. 영화의 크기(size) = 300 5. 촬영 = 303 6. 미장센(Mise-en-Scene) = 306 7. 영화에서의 시간과 공간 = 312 수필의 이해(ESSAY) = 325 1. 수필의 정의 = 325 2. 수필의 특질 = 331 3. 수필의 종류 = 336 비평의 이해(CRITICISM) = 345 1. 비평이란 무엇인가 = 345 2. 비평의 역사와 종류 = 375 3. 비평의 방법 = 386 찾아보기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