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분석을 위한 기초
제1장 정의·연구범위·가설
제1절 지방조직 연구의 의의 = 3
Ⅰ. 지방조직의 정의 = 3
Ⅱ. 지방조직론의 연구범위 = 5
Ⅲ. 한국 지방조직의 연구현황 = 7
제2절 문제의식과 가설 = 10
Ⅰ. 가설 = 10
Ⅱ. 사회조직에 관한 유사개념과 지방자치의 조건 = 11
제2장 조직이론적 조망
제1절 조직을 연구하는 패러다임 = 13
Ⅰ. 구조론적 패러다임 = 13
Ⅱ. 행위론적 패러다임 = 15
Ⅲ. 현상학적 패러다임 = 16
Ⅳ. 포스트모던적 패러다임 = 17
제2절 저자의 관점 : 행위전략 체제론적 시각 = 19
Ⅰ. 개관 = 19
Ⅱ. 조직 내 인간관 = 20
Ⅲ. 개인의 행위와 게임의 성립 = 21
Ⅳ. 전략분석법에서 사용되는 개념적 도구들 = 22
제3절 전략분석적 조직연구에 사용되는 기법 = 25
Ⅰ. 질적인 면접법 = 25
Ⅱ. 분석에 필요한 기초 문헌자료 = 27
심화학습활동 = 29
토론주제 = 29
제2편 개인생활과 최하위 행정조직
제1장 조직과 유리될 수 없는 인간생활
제1절 가족, 씨족 그리고 직장 = 33
제2절 개인의 생애주기와 행정조직 = 35
제2장 도시지역의 최하위 행정조직 : 반(班)·통(統)·동(洞)
제1절 통과 반 = 38
Ⅰ. 유명무실해지는 반과 반장 = 38
Ⅱ. 통과 통장 = 41
Ⅲ. 도시지역 반, 통 조직에 대한 전략분석 = 44
제2절 지방자치시대의 동장 = 47
Ⅰ. '동'의 사회학적 특성 = 47
Ⅱ. '동장'의 자원 = 48
Ⅲ. 동장과 기관 단체장들과의 관계 변화 = 50
Ⅳ. 동장의 유형 : 행정가형과 정치가형 = 51
Ⅴ. 기초단체장과의 관계유형 = 52
제3절 동사무소의 조직 = 53
Ⅰ. 동사무소의 주변조직 : 협의회 등 = 53
Ⅱ. 자발적 조직 = 57
Ⅲ. 동사무소(주민자치센터)의 조직 = 59
Ⅳ. 동의 전략론적 분석 = 66
제3장 농어촌지역과 최하위 행정조직 : 이(里)·읍(邑)·면(面)
제1절 농어촌지역 개관 = 69
Ⅰ. 농어촌지역의 특성 = 69
Ⅱ. 조직의 종류 = 70
제2절 생활단위로서 준공공조직 : 이(里) = 72
Ⅰ. 마을의 조직 = 72
Ⅱ. 이장의 권력원 = 73
Ⅲ. 이장의 역할 : 주민과 행정과의 연결 = 74
제3절 읍·면 지역사회의 조직 = 76
Ⅰ. 읍과 면 지역의 차이 = 76
Ⅱ. 왜 기관장회의가 활성화되는가 = 77
Ⅲ. 읍·면사무소 조직의 전략분석 = 80
제4절 농촌지역 내 영향력 집단 : 농협 = 84
Ⅰ. 면장과 조합장의 권력원 비교 = 84
Ⅱ. 관료제화 수준이 낮은 내부 조직 = 86
Ⅲ. 면 직원에 비한 농협 직원의 전략적 우월성 = 88
제5절 농촌에서 의사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89
Ⅰ. 영농자금의 사례 = 89
Ⅱ. 정부 농업지원 정책의 역효과 산출과정 = 90
제6절 읍·면의 정치행정 행위체제 분석 = 92
Ⅰ. 도농의 차이 : 지역발전 = 92
Ⅱ. 지방자치와 면장 자리 = 93
Ⅲ. 지역개발을 위한 행위자 게임 = 95
심화학습활동 = 98
토론주제 = 98
제3편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조직생활
제1장 기초자치구역 내 지방정치
제1절 지역공동체와 행정구역 = 101
Ⅰ. 민속사회와 도시 = 101
Ⅱ. 도시와 비도시의 이분법 = 103
Ⅲ. 시·군 통합과 시 승격 = 104
제2절 지방정치와 권력엘리트 = 107
Ⅰ. 과거의 지배엘리트 = 107
Ⅱ. 지방자치시대의 지배엘리트 = 109
Ⅲ. 기초의원의 정치 게임 = 112
Ⅳ. 지방의회 내 활동의 조직화 = 118
제2장 시장·군수·구청장
제1절 지방정치와 행정 = 132
Ⅰ. 기초자치단체간 차이 = 132
Ⅱ. 도시와 농촌 단체장의 입장 차이 = 134
Ⅲ. 시장·군수·구청장의 권한 차이 = 135
제2절 기초단체장의 불확실성 = 138
Ⅰ. 사무배분의 모호성 = 138
Ⅱ. 광역단체장의 계서제적 통제권 = 139
제3절 도시 기초단체 내의 정치행정 게임 = 141
Ⅰ. 주요 행위자 = 141
Ⅱ. 전략적 게임 분석 = 142
Ⅲ. 참여의 확대 = 149
제3장 시청·구청의 행정조직
제1절 서론 = 154
Ⅰ. 기관대립형과 기관통합형 = 154
Ⅱ. 행정관료제의 일반적 조직원리 = 156
Ⅲ. 조직제약에서 자율권으로 = 158
제2절 도시행정체제로서 구청 = 159
Ⅰ. 구청 내부의 조직 = 159
Ⅱ. 전략행위체제 분석(1) : 문화공보실의 사례 = 167
Ⅲ. 전략행위체제 분석(2) : 구청 내부의 의사결정 = 172
제3절 비도시지역의 정치행정체제 = 184
Ⅰ. 시군에서의 지방정치 = 184
Ⅱ. 비도시지역에서의 행정 = 198
Ⅲ. 기타 조직 : 사업소와 직속기관 = 203
제4절 지방조직에의 새로운 도전 = 209
Ⅰ. 관료제적 병폐 = 209
Ⅱ. 직접 민주주의 게임 = 214
Ⅲ. 정보화와 행정조직 = 216
Ⅳ. 직접 민주제 = 221
심화학습활동 = 224
토론주제 = 224
제4편 광역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조직생활
제1장 지방정치단위로서 시·도
제1절 시·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27
제2절 시·도 지역사회의 지배엘리트 = 229
Ⅰ. 개관 = 229
Ⅱ. 공식적 지배엘리트(1) : 최고기관장회의 = 230
Ⅲ. 공식적 지배엘리트(2) : 기타 기관장회의 = 231
Ⅳ. 비공식 엘리트 모임 : 토착 영향력 집단 = 232
Ⅴ. 위원회 등 각종 조직 = 233
제3절 언론과 지방자치 = 238
Ⅰ. 중앙지와 지방지 = 238
Ⅱ. 시·도청 기자실의 전략론적 분석 = 240
제4절 주민자치와 엘리트 자치 : 신(新) 철의 삼각관계 = 244
Ⅰ. 정보 비대칭과 정보 역선택 = 244
Ⅱ. 정책공동체의 이원화와 신(新) 철의 삼각관계 = 246
제2장 광역지방정치
제1절 선거 게임 = 250
Ⅰ. 정당 공천은 왜 필요한가 = 250
Ⅱ. 정당 조직의 특성 = 252
Ⅲ. 부정선거 게임 = 253
Ⅳ. 새로운 선거 게임 = 255
제2절 광역지방정치의 주요 행위자 = 256
Ⅰ. 정당 소속별 관계 모형 = 256
Ⅱ. 정치인으로서 광역단체장 = 259
Ⅲ. 광역지방의회 = 262
제3절 광역의회 내부 조직의 전략분석 = 267
Ⅰ. 의회사무처의 내부 조직 = 267
Ⅱ. 사무처 내부의 전략분석 = 269
Ⅲ. 광역의회 내부 조직 = 271
Ⅳ. 광역의회 상호작용 게임 = 275
Ⅴ. 예산심의를 둘러싼 전략 게임 = 282
제3장 시·도청의 내부 조직 : 정태적 분석
제1절 최상층 지휘부 = 291
Ⅰ. 부단체장 = 291
Ⅱ. 단체장 측근 조직 = 297
제2절 본청의 부서 조직 = 300
Ⅰ. 개관 = 300
Ⅱ. 행정관리 관련기구 = 301
Ⅲ. 경제 관련기구 = 306
Ⅳ. 생활 관련기구 = 309
제3절 소속 행정기관 = 312
Ⅰ. 직속기관 = 312
Ⅱ. 자치경영조직 : 사업소 = 319
제4장 시·도청의 공무원 조직 : 동태적 분석
제1절 관료제적 복제 현상 = 322
Ⅰ. 부성조직의 실제 = 322
Ⅱ. 부서간 업무관계 : 수직적 업무관계의 발달 = 327
Ⅲ. 한국의 조직복제 현상 = 330
제2절 보직이동 게임 = 332
Ⅰ. 정원 제약 = 332
Ⅱ. 보직이동 : 전통적 방법 = 335
Ⅲ. 네트워크형 관리 = 341
제3절 집행부 내부 게임의 전략분석 = 344
Ⅰ. 불확실성 : 새로운 아이디어 = 344
Ⅱ. 집행 게임 : 대안의 정당화과정 = 345
Ⅲ. 기대 차이의 완충장치 : 품의제적 결재과정 = 349
Ⅳ. 악순환 게임의 결과 : 세 가지 역설 = 351
심화학습활동 = 354
토론주제 = 354
제5편 지방에서 본 중앙정부
제1장 국가기능과 중앙정부조직
제1절 협동과 갈등의 중앙부처조직 = 357
Ⅰ. 정부조직의 체계 = 357
Ⅱ. 갈등의 원인 = 359
제2절 변모하는 행정자치부 = 365
Ⅰ. 행정자치부의 존재 이유 = 365
Ⅱ. 행정자치부의 내부 조직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 367
Ⅲ. 행자부 - 지방자치단체간의 관계 : 유기적 체제 = 370
제3절 중앙과 지방 간의 연결 관계 = 372
Ⅰ. 중앙집권의 논리 : 자치계층과 행정계층 = 372
Ⅱ. 중앙과 지방 간 기능 배분 = 374
제2장 특별 지방행정기관
제1절 특별 지방행정기관의 조직론적 특성 = 379
Ⅰ. 담당조직의 유형 = 379
Ⅱ. 지방분권화와 지방자치화 = 380
Ⅲ. 특별행정기관 내부 조직의 관료제화 = 383
제2절 특별 지방행정기관 현황 = 384
Ⅰ. 특별행정기관 유형 분류 = 384
Ⅱ. 지리적 구분 = 386
Ⅲ. 준(準)특별행정기관 = 390
Ⅳ. 특별 지방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와의 관계 = 395
제3절 특별 지방행정기관의 사례 : 경찰조직 = 399
Ⅰ. 경찰과 지방자치단체 = 399
Ⅱ. 경찰서의 전략체제 분석 = 401
Ⅲ. 경찰서 조직의 특수성 = 407
제3장 지방행정조직의 개편
제1절 중앙-지방간 조직개편 게임 = 408
Ⅰ. 게임의 핵심 : 조직감축과 조직팽창 = 408
Ⅱ. 행자부의 조직통제 수단 = 409
Ⅲ. 게임의 이중성 = 411
제2절 자치단체의 조직개편 = 413
Ⅰ. 조직감축 게임 = 413
Ⅱ. 실제 조직개편 게임 = 417
Ⅲ. 조직개편의 바람직한 방향 = 422
심화학습활동 = 425
토론주제 = 425
제6편 결론 : 이론화
제1장 한국 지방조직의 특성
제1절 자치단체의 사회조직화 = 429
제2절 조직모방효과 = 431
Ⅰ. 계층간 관계 = 431
Ⅱ. 관료제 내부의 차원 = 432
제2장 한국 행정조직의 설명모델
제1절 행정의 두 가지 모형 = 434
제2절 한국 행정의 모델 = 436
Ⅰ. 사회환경체제의 변화 = 436
Ⅱ. 행위자, 게임, 전략 = 438
Ⅲ. 악순환 모델 = 442
Ⅳ. 변화의 방향 = 444
참고문헌 = 447
색인 =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