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옮긴이의 말 = 7
연표 = 10
일반 참고문헌 = 21
1 시작 = 25
1. 제자들의 모임 = 26
1.1 사도행전 = 26
1.2 바오로와 복음서 = 28
1.3 역사적 사건인 부활 = 30
2. 세상에 들어감 = 32
2.1 마티아 선발 = 32
2.2 사도행전의 오순절 보고 = 33
2.2.1 역사적 신빙성 = 33
2.2.2 서술 도구 = 35
2.2.3 공동체의 성장 = 36
3. 예루살렘 원시 공동체와 유대인 = 39
3.1 유대교 무리 = 39
3.2 그리스도교 무리 = 41
3.2.1 사도행전 6장의 그리스계 유대인들 = 41
3.2.2 율법에 대한 입장 = 45
4.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선교 영역의 확대 = 47
2 이방인 선교 = 53
1. 문제점과 경과 = 53
1.1 자생적 시작 = 53
1.2 신약성경의 논증 = 54
1.3 선교 이론 = 59
1.4 추론 = 62
2. 사도회의 = 64
2.1 경과 = 64
2.2 야고보의 유보 조건 = 67
3. 바오로 = 70
3.1 출신 = 70
3.2 개종 = 72
3.3 선교 활동 = 75
3.4 생애 말기 = 79
3 회당에서 교회의 분리 = 83
1. 유대 민족의 운명 = 84
1.1 유대아-로마 전쟁 = 84
1.2 정치적ㆍ종교적 결과 = 87
1.3 야브네에서 새로운 규정 = 88
2. 유대계 그리스도교의 몰락 = 90
2.1 펠라로 도피 = 90
2.2 이단의 경향을 지닌 무리의 고립 = 94
2.3 엘카사이파 = 96
3. 교회와 회당의 멀어짐 = 98
3.1 신약성경의 암시 = 98
3.1.1 바오로 = 98
3.1.2 복음서 = 99
3.1.3 요한의 작품 = 100
3.2 구약성경에 관한 논쟁 = 102
3.3 지속적인 멀어짐 = 104
4 종교적 환경 = 111
1. 황제숭배 = 113
1.1 기능 = 113
1.2 도미티아누스 = 115
1.3 신약성경의 반응 = 118
1.3.1 요한 묵시록 = 118
1.3.2 사목서간 = 119
2. 밀의 종교 = 122
2.1 종교사적 적응 = 122
2.2 개별 숭배 = 124
2.2.1 데메테르 = 124
2.2.2 이시스 = 125
2.2.3 키벨레 = 127
2.2.4 미트라스 = 127
2.3 비교(比較) = 129
3. 가정과 사회 = 130
3.1 이교인의 가정 제식 = 130
3.2 우상숭배의 위험 = 132
3.3 가정의 갈등 = 136
4. 철학적 종교성 = 138
4.1 윤리적 동인 = 138
4.2 스토아 학파 = 141
4.2.1 이성에 따라 = 141
4.2.2 자연법 = 144
4.2.3 스토아 학파의 종교성 = 144
4.3 철학과 계시의 갈등 = 146
5 외적 방해 = 149
1. 국가의 박해 = 150
1.1 경과 = 151
1.1.1 네로 이전에 일어난 박해? = 151
1.1.2 네로 = 152
1.1.3 도미티아누스 = 156
1.1.4 트라야누스와 플리니우스의 편지 = 158
1.1.5 하드리아누스부터 아랍인 필리푸스까지 = 163
1.1.6 데키우스부터 디오클레티아누스까지 = 169
1.2 평가 = 173
1.2.1 박해의 불가피성 = 173
1.2.2 선전의 효과? = 174
1.2.3 이용 불가능성 = 178
2. 지적 논쟁 = 179
2.1 문학적 공격 = 179
2.1.1 이교인 측에서의 무지 = 179
2.1.2 사모사타의 루키아누스 = 180
2.1.3 켈수스 = 182
2.2 초기 그리스도교 호교가 = 184
2.2.1 신앙의 합리성 = 184
2.2.2 유스티누스 = 186
2.2.3 영향과 위험 = 190
6 내적 위험 요소 = 193
1. 재림 지연과 몬타누스 운동 = 194
1.1 임박 기대와 종말 시기 계산 = 194
1.2 몬타누스주의 = 199
1.2.1 발생과 목표 = 199
1.2.2 교회의 방어 = 202
1.3 교회의 설명 시도 = 205
1.3.1 하느님의 인내와 종말의 지연 = 205
1.3.2 초기 가톨릭주의 = 208
2. 계시의 역사성과 영지주의의 위협 = 211
2.1 교회사적 질서에 적응 = 211
2.2 영지 = 213
2.2.1 영지주의의 근본적 체험 = 213
2.2.2 신화적 표현 = 216
2.2.3 사회학적 사실 = 219
2.2.4 교회의 선포와의 대립 = 220
2.2.5 평가 = 224
2.3 교회의 방어 = 227
2.3.1 이레네우스의 출발점 = 228
2.3.2 반영지주의 논쟁 = 228
2.3.3 구원사와 아나케팔라이오시스 = 232
7 신학적 설명 = 235
1. 하느님과 그리스도 = 236
1.1 문제 제기 = 236
1.2 해결 시도 = 238
1.2.1 종속론 = 238
1.2.2 단원론 = 240
1.2.3 그리스도론 = 242
2. 교회와 교직 = 245
2.1 교회에 대한 신학적 이해 = 245
2.1.1 선재 = 246
2.1.2 종말론 = 247
2.1.3 우주론적 관점 = 247
2.1.4 신부와 어머니 = 249
2.2 교직 형성과 신학적 논증 = 251
2.2.1 신약성경의 규범과 역사적 변화 = 251
2.2.2 「클레멘스의 첫째 편지」 = 254
2.2.3 사목서간 = 258
2.2.4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 259
2.2.5 주교, 장로, 봉사자 = 261
2.2.5.1 주교 = 261
2.2.5.2 장로 = 262
2.2.5.3 봉사자 = 264
2.3 교회에서 봉사하는 여성들 = 267
2.3.1 신약성경의 증언 = 267
2.3.2 과부 신분 = 269
2.3.3 교직인 여봉사자 = 270
2.4 공동체에 퍼진 친교 = 271
2.4.1 전승과 계승 = 271
2.4.2 공동체 간의 관계 = 274
2.4.3 교회회의 = 277
3. 성경과 전승 = 280
3.1 구전과 문서를 통한 전승 = 280
3.2 외경서 = 284
3.2.1 유년기 이야기 = 284
3.2.2 사도행전 = 286
3.2.3 평가 = 289
3.3 마르키온 = 290
3.3.1 생애 = 290
3.3.2 신학 = 290
3.3.3 마르키온의 '경전' = 292
3.3.4 평가 = 295
3.4 성서신학 = 296
3.4.1 신약성경 경전의 '기적' = 296
3.4.2 성서신학자 이레네우스 = 297
3.4.3 성서해석가 오리게네스 = 299
4. 참회와 죄의 용서 = 304
4.1 개종과 검증 = 304
4.1.1 세례 체험 = 304
4.1.2 지속적 용서의 필요성 = 306
4.1.3 공동체의 종교적ㆍ도덕적 상황 = 307
4.2 세례를 받은 뒤 지은 죄의 용서 = 310
4.2.1 문제 제기 = 310
4.2.2 신약성경의 변증법 = 311
4.2.3 사도 시대 이후 = 313
4.2.4 헤르마스의 「목자」 = 315
4.2.5 테르툴리아누스 = 317
4.2.6 참회 실행 = 320
4.3 죄의 용서와 순교자의 전구(轉求) = 321
4.3.1 역사적 배경 = 321
4.3.2 순교의 대속력 = 322
4.3.3 전구를 통한 죄의 용서 = 323
4.4 전망 = 325
8 미사와 생활 = 329
1. 전례와 기도 = 331
1.1 성찬례와 애찬(아가페) = 331
1.1.1 최초의 보고 = 331
1.1.2 성찬에 대한 경건성 = 333
1.1.3 성찬 감사기도 = 334
1.1.4 애찬(아가페) = 336
1.2 평일과 축일 = 338
1.2.1 일요일 = 338
1.2.2 단식일 = 339
1.2.3 부활절 = 340
1.2.4 세례 = 340
1.2.5 기일 = 342
1.3 개인 기도 = 344
1.3.1 기도시간 = 344
1.3.2 내용 = 346
1.3.3 외적 형식 = 347
2. 그리스도교적 생활의 형성 = 349
2.1 생활의 역설적 변화 = 349
2.2 혼인과 가정 = 354
2.2.1 이교인 주변 세계 = 354
2.2.2 가정에 해를 끼치는 경향 = 359
2.2.3 가정 윤리 = 363
2.2.4 종교 교육 = 367
2.3 이웃 사랑과 사랑의 실천 = 368
2.3.1 이교인의 주위 환경 = 369
2.3.2 공동체에서 사랑의 실천 = 372
2.3.2.1 재산의 나눔 = 372
2.3.2.2 과부와 고아 = 374
2.3.2.3 빈민 구제 = 375
2.3.2.4 죄수 돌봄과 노예 해방 = 378
2.3.2.5 족은 이의 매장 = 379
2.3.2.6 손님 후대 = 380
2.3.3 가난과 부에 대한 평가 = 382
9 선교와 전파 = 387
1. 선교 = 387
1.1 기대 = 387
1.2 선교자 = 390
1.2.1 공동체의 증언 = 390
1.2.2 복음사가와 떠돌이 선교사 = 394
1.2.3 개종 설교 = 398
2. 전파 = 403
2.1 숫자와 비교 = 403
2.2 교회의 지역과 중심지 = 405
2.2.1 팔레스티나/시리아 = 405
2.2.2 이집트 = 406
2.2.3 그리스/소아시아 = 407
2.2.4 북아프리카 = 408
2.2.5 서방의 여러 지방 = 409
2.2.6 이탈리아와 로마 = 410
색인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