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2]----------
목차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4
3. 연구 방법 = 6
4. 연구의 제한점 = 9
Ⅱ.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입장과 방향 = 10
1.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입장 = 10
2.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방향 = 17
Ⅲ. 교육적 인간상과 교육 목표의 개선 = 22
1. 교육적 인간상의 개선 = 22
2. 교육 목표의 개선 = 32
Ⅳ 공통 교육과정의 개선 = 48
1. 공통 교육과정 편제 개선안 및 주요 특징 = 48
2. 공통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개선 = 57
3. 학교재량수업일의 모의 편성 사례 개발 = 66
Ⅴ.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개선 = 87
1.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단과 개선의 주안점 = 87
2. 합리적 '과정' 구현을 위한 적정 과목 이수 비율 = 106
3. 선택 교육과정 개선안과 모의 편성 사례 개발 = 113
4. 교육과정 개선 안에 따른 국가수준 시험의 개선 방향 = 143
Ⅵ.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 168
1.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저학년 교육과정의 연계 = 168
2. 교과 교육 내용의 적정화 = 183
3. 교과 간 교육 내용의 중복 해소 = 189
4. 교과서 개발 지침의 개선 = 192
Ⅶ. 재량활동과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개선 = 196
1. 재량활동 교육과정 개선안과 주요 특징 = 196
2. 특별활동 교육과정 개선안과 주요 특징 = 200
3. 재량활동과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모의 편성 사례 개발 = 205
Ⅷ. 교육과정에 대한 국가ㆍ사회적 요구 반영 = 221
1. 국가ㆍ사회적 요구 사항의 정선 = 221
2. 교육과정에서의 국가 사회적 요구 반영 = 227
Ⅸ. 교육과정 총론 문서 체재 개선 = 240
1. 현행 교육과정 총론 문서 체재의 문제점 분석 = 240
2. 외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 문서 체재 분석 = 246
3. 교육과정 총론 문서 체재 개선 안 = 264
Ⅹ. 요약 및 제언 = 269
1. 요약 = 269
2. 제언 = 282
참고문헌 = 289
Abstract = 294
부록 = 299
[부록 1] 교육과정 총론 개선안 = 301
[부록 2] 수준별 교육 관련 지침 = 322
[부록 3] 도덕ㆍ미술 수업 시수 조정에 따른 교과별 수업 시수 및 교사 배정표(10학급 기준) = 326
[부록 4] 교과별 일반ㆍ심화선택과목 이수 현황(2004~2006년) = 330
[부록 5] 시ㆍ도교육청의 '과정' 설치 및 '과정' 예시 관련 지침 = 332
[부록 6] 외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의 '선태' 관련 규정 = 333
[부록 7]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의견 조사지 = 334
[부록 8]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개선안에 따른 2. 3학년 교육과정의 모의 편성 사례 = 345
[부록 9] 시ㆍ도교육청의 고등학교 2, 3학년 선택과목 지정 방식 = 357
[부록 10] 유치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의견 조사지 = 358
[부록 11] 초등학교 1학년 교사 대상 의견 조사지 = 362
[부록 12] 초등학교 1학년 학생 대상 면담 조사지 = 368
[부록 13] 교육과정 총론 관련 협의회 목록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