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 내용 = 2
3. 연구 방법 = 3
Ⅱ. 교육과정의 개선과 연구 과제
1. 총론과 각론 = 8
가. 문제의 성격 및 배경 = 8
나. 개선 방향 및 방안 = 9
다. 연구과제 = 10
라. 논의 = 11
2. 이수 과목 수 = 12
가. 문제의 성격 및 배경 = 12
나. 개선 방향 및 방안 = 13
다. 연구과제 = 14
라. 논의 = 15
3. 교육 내용 = 16
가. 문제의 성격 및 배경 = 16
나. 개선 방향 및 방안 = 19
다. 연구과제 = 23
라. 논의 = 26
4. 교육과정 및 교과서 관 = 29
가. 문제의 성격 및 배경 = 29
나. 개선 방향 및 방안 = 31
다. 연구과제 = 32
라. 논의 = 32
5. 학교 교육과정 = 33
가. 문제의 성격 및 배경 = 33
나. 개선 방항 및 방안 = 34
다. 연구과제 = 35
라. 논의 = 36
6. 교육과정 개발(개정) 정책 = 37
가. 문제의 성격 및 배경 = 37
나. 개선 방향 및 방안 = 39
다. 연구과제 = 40
라. 논의 = 40
Ⅲ. 교수ㆍ학습의 개선과 연구 과제
1. 삶이 있는 교육 = 45
가. 문제점과 방향 = 46
나. 삶이 있는 교수-학습 개선 방안 = 48
2. 교실 수업에서의 협동 학습 = 56
가. 교실 수업의 현황과 문제 = 56
나. 협동학습의 개념과 이론 = 57
다. 협동학습의 효과와 운영원리 = 58
라. 협동학습의 사례들 = 60
3. 교원 교육의 현장성 = 62
가. 교사의 역할과 교사의 전문성 = 62
나. 교사교육의 전문성 강화 방안 = 64
4. 자율적 학교 문화 = 72
가. 현황과 문제점 = 72
나. 개선 방안 = 74
Ⅳ. 교육 평가의 개선과 연구 과제
1. 학생평가 = 80
가. 학생평가의 의미 = 80
나. 학생평가의 문제점 = 81
다. 학생평가의 개선 방안 = 84
라. 연구 과제 = 86
2. 교사평가 = 86
가. 교사평가의 의미 = 86
나. 교사평가의 문제점 = 87
다. 교사평가의 개선 방안 = 89
라. 연구 과제 = 94
3. 학교평가 = 96
가. 학교평가의 의미 = 96
나. 학교평가의 문제점 = 96
다. 학교평가의 개선 방안 = 99
라. 연구 과제 = 102
4. 학교 생활기록부 = 103
가. 학교 생활기록부의 의미 = 103
나. 학교 생활기록부 활용의 문제점 = 103
다. 학교 생활기록부 활용의 개선 방안 = 104
라. 연구 과제 = 107
Ⅴ. 요약 및 연구 과제
1. 교육과정의 연구 과제와 발전 방향 = 109
2. 교수ㆍ학습의 연구 과제와 발전 방향 = 111
3. 교육평가의 연구 과제와 발전 방향 = 113
참고 문헌 =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