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편 情報化社會와 행정정보체제
제1장 情報化社會와 행정
제1절 정보화사회의 의의 및 척도 = 25
1. 정보화사회의 의의 = 25
2. 정보화사회의 척도 = 30
제2절 정보화사회관과 그 패러다임들 = 40
1. 정보화사회관 = 40
2. 정보화사회에 관한 패러다임들 = 44
제3절 정보화사회의 특징 = 57
1. 사회적 측면의 특징 = 57
2. 경제적 측면의 특징 = 58
3. 문화적 측면의 특징 = 59
4. 정치적 측면의 특징 = 61
제4절 정보화가 행정에 미치는 영향 = 62
1. 행정조직에 미치는 영향 = 63
2. 행정관료제에 미치는 영향 = 70
3. 행정업무 및 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 = 71
4. 행정환경에 미치는 영향 = 74
5. 행정에 미치는 역기능적인 영향 = 75
제5절 행정의 정보화사회 정책적 과제와 역할 = 76
1. 행정의 정보화사회 정책적 과제 = 76
2. 정보화사회정책의 추진에 따른 기대효과 = 78
3. 정보화사회에서의 행정의 역할 = 81
註 = 82
제2장 정보통신정책의 動向과 課題
제1절 정보통신정책의 의의와 분류 = 87
1. 정보통신정책의 의의 = 87
2. 정보통신정책의 분류 = 88
제2절 정보통신기술의 동향 = 90
1. 주요 선진국의 정보통신기술 동향 = 90
2. 우리 나라의 정보통신기술 현황 = 91
제3절 정보통신정책의 동향 = 95
1. 미국 = 95
2. 유럽연합(EU) = 97
3. 일본 = 98
4. 한국 = 100
제4절 우리 나라 정보통신정책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 103
1. 정보통신정책의 문제점 = 103
2. 정보통신정책의 개선방향 = 107
3. 정보통신정책의 과제와 한계 = 110
註 = 113
제3장 情報와 體制의 의미
제1절 정보의 개념 및 특성 = 115
1. 정보의 개념 = 115
2. 정보의 특성 = 118
제2절 정보의 가치 = 121
1. 정보가치의 종류와 관계 = 121
2. 정보가치의 평가 = 124
제3절 체제의 개념 및 특성 = 141
1. 체제의 개념 = 141
2. 체제의 특성 = 145
제4절 정보체제의 유형 = 150
제5절 체제의 통제 = 152
1. 통제의 정의 = 152
2. 개방루프 체제와 폐쇄루프 체제 = 152
3. 환경통제체제 = 154
4. 체제의 다양성과 통제 = 156
註 = 157
제4장 행정정보체제의 本質과 行政情報管理 接近法
제1절 행정정보체제의 의미 = 159
1. 행정정보의 정의와 특성 = 159
2. 행정정보관리의 의의 및 중요성 = 161
3. 행정정보관리의 제약조건 = 165
4. 행정정보체제의 개념 = 167
제2절 행정정보체제의 특징과 기능 = 173
1. 행정정보체제의 특징 = 173
2. 행정정보체제의 기능 = 176
제3절 행정정보관리 접근법 = 180
1. 기존 접근법의 내용과 문제점 = 180
2. 체제접근법적 고찰과 본서의 구성 = 187
註 = 193
제Ⅱ편 행정정보체제의 開發과 評價
제5장 행정정보체제의 企劃과 開發
제1절 정보체제 기획 및 개발의 의미 = 199
제2절 정보체제 기획의 모형 = 200
1. Nolan의 정보체제 성장단계 모형 = 200
2. Kroeber와 Watson의 4단계 기획모형 = 205
3. Bowman-Davis-Wetherbe의 정보체제기획 3단계 모형 = 208
제3절 행정정보체제의 개발 = 234
1. 경영정보체제의 개발접근법 = 235
2. 행정정보체제의 개발접근법 = 250
註 = 262
제6장 행정정보체제의 實行과 評價
제1절 행정정보체제의 실행 = 266
1. 행정정보체제 실행의 개념 = 266
2. 정보체제의 실행과정 = 267
제2절 행정정보체제의 실행후 평가 = 292
1. 행정정보체제의 의의 및 유형 = 292
2. 평가상 제약요소 = 295
3. 평가의 유형 = 296
4. 행정정보체제의 실행과 평가의 관계 = 297
5. 행정정보체제의 평가대상 및 기준 = 298
6. 행정정보체제의 평가절차 및 방법 = 310
제3절 행정정보체제의 운영 = 315
1. 행정정보체제의 운영 = 315
2. 행정정보체제의 유지보수 = 317
3. 행정정보체제의 운영 및 유지보수와 평가 = 320
제4절 행정정보체제 평가의 개선방향 = 321
1. 행정정보체제 평가의 기본 가정과 문제점 = 321
2. 행정정보체제 평가의 개선방향 = 324
註 = 325
제Ⅲ편 행정정보 投入管理
제7장 정보자원관리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제1절 정보자원관리의 개념 = 331
1. 정보자원관리의 정의 = 331
2. 정보자원의 특징과 정보원관리의 기본원칙 = 333
3. 정보자원관리의 필요성 = 334
4. 정보자원관리의 대상 및 기능 = 337
5. 정보자원관리의 이점 및 문제점 = 339
제2절 정보자원관리의 경향 = 341
1. 정보자원의 집권적 관리 = 341
2. 정보자원의 분권적 관리 = 342
3. 통합적 정보자원관리 = 344
제3절 정보자원 관리체제(IRMS)의 주요내용 = 345
1. 정보자원 관리체제의 기능과 조직구조 = 345
2. 정보자원 운영체제 = 349
3. 정보자원 개발체제 = 354
4. 정보자원 분배체제 = 356
제4절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 361
1.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 361
2. 데이터베이스 관리체제(DBMS)의 필요성 = 364
3. 데이터베이스 관리체제(DBMS)의 구성요소 = 366
4. 데이터베이스 관리체제의 논리적 구조 = 371
5. 데이터베이스 관리체제의 장점과 단점 = 375
註 = 378
제8장 컴퓨터시스템과 行政情報管理
제1절 컴퓨터시스템의 의의 및 중요성 = 380
1. 컴퓨터시스템의 개념 = 380
2. 컴퓨터시스템의 기능 = 381
3. 컴퓨터시스템의 구성요소 = 383
4. 컴퓨터시스템의 중요성 = 387
제2절 컴퓨터시스템의 발달과정 = 389
1. 컴퓨터시스템의 연원 = 389
2. 범용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의 발달과정 = 391
제3절 컴퓨터시스템의 분류 = 397
1. 유형별 분류 = 397
2. 용도별 분류 = 398
3. 규모별 분류 = 399
제4절 행정정보관리에 있어서 컴퓨터시스템의 역할 = 404
1. 행정사무처리의 개선 = 404
2. 행정의사결정의 합리화 = 407
제5절 컴퓨터시스템의 활용조건 = 408
1. 컴퓨터시스템 활용의 선결조건 = 408
2. 컴퓨터시스템 활용시 고려사항 = 413
註 = 414
제9장 정보통신기술의 應用(Ⅰ) : 자동화와 뉴미디어 그리고 情報通信網
제1절 정보통신기술의 개념 = 416
1. 구성요소면에서의 개념적 정의 = 416
2. 이용 목적면에서의 개념적 정의 = 417
3. 종합적 정의 = 418
제2절 자동화와 뉴미디어 = 419
1. 행정사무자동화 = 419
2. 공장자동화 = 432
3. 가정자동화 = 437
4. 뉴미디어 = 440
제3절 LAN·VAN·ISDN = 448
1. 정보통신망의 개념 및 이점 = 448
2. 근거리통신망(LAN) = 449
3. 부가가치 통신망(VAN) = 459
4. 종합정보 통신망(ISDN) = 469
제4절 한국의 행정전산망과 초고속정보통신망 = 483
1. 행정전산망의 추진배경 및 의의 = 483
2. 행정전산망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486
3. 행정전산망사업의 평가 = 489
4. 초고속정보통신망 = 495
註 = 501
제10장 정보통신기술의 응용(Ⅱ) : 전자정부·전자주민카드·전자상거래
제1절 전자정부(Electronic Government : EG) = 505
1. 전자정부(EG)의 개념 및 유형 = 505
2. 전자정부의 국내·외 동향 = 509
3. 전자정부 구현과정상의 문제 = 512
4. 우리나라 전자정부구현을 위한 과제 = 517
5. 전자정부구현의 전망 = 520
제2절 전자주민카드(Electronic Identification Card : EIC) = 521
1. 전자주민카드(EIC)의 의의 및 기능 = 521
2. 우리나라의 현황 = 522
3. 외국의 동향 = 523
4. 문제점 및 개선방안 = 524
제3절 전자상거개(Electronic Commerce/Commerce at Light Speed : EC/CALS) = 527
1. 전자상거래(EC/CALS)의 등장배경 = 527
2. 전자상거래(EC/CALS)의 개념 및 유형 = 528
3. 국내외 전자상거래 추진현황 = 529
4. 전자거래상의 현안과제 및 기술동향 = 531
5. 전자상거래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 532
註 = 534
제Ⅳ편 행정정보 處理管理
제11장 意思決定과 정보지원체제
제1절 의사결정과정과 정보체제의 역할 = 539
1. 의사결정의 개념 = 539
2. 의사결정과정 = 540
3. 의사결정과정과 정보체제의 역할 = 543
제2절 의사결정계층과 정보체제의 역할 = 547
1. 최고관리층의 전략적 의사결정과 정보체제의 역할 = 548
2. 중간관리층의 관리통제적 의사결정과 정보체제의 역할 = 549
3. 하위관리층의 운영통제적 의사결정과 정보체제의 역할 = 550
4. 하위조직구성원들의 일상업무처리결정과 정보체제의 역할 = 551
5. 종합적 분석 = 551
제3절 컴퓨터에 의한 의사결정 지원체제(Decision Support System, DSS) = 552
1. 의사결정 지원체제의 역사 = 553
2. 의사결정 지원체제의 개념 = 554
3. 의사결정 지원체제의 특성 = 555
4. 의사결정 지원체제와 타하위정보체제와의 비교 = 560
5. 의사결정 지원체제의 수준 = 561
6. 의사결정 지원체제의 개발 = 563
7. 의사결정 지원체제의 분석모형 = 566
8. 의사결정 지원체제의 유형별 특성 = 571
제4절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 ES) = 574
1. 전문가 시스템의 개념과 논리적 구성요소 = 574
2. 전문가 시스템의 필요성 = 575
3.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루트 = 575
4. 전문가 시스템의 기능 = 576
5. 전문가 시스템의 문제점과 활용사례 = 576
註 = 578
제12장 政策過程과 정보활동
제1절 정책과정의 개관 = 580
1. 정책의제 설정과정 = 581
2. 정책결정과정 = 581
3. 정책집행과정 = 581
4. 정책평가과정 = 582
제2절 정책의제 설정과정과 정보활동 = 583
1. 정책의제 설정과정의 의미 = 583
2. 정책의제 설정과정 = 583
3. 정책의제 설정과정에 관한 모형 = 584
4. 정책의제설정상 문제점 = 586
5. 정책의제설정과 정책정보의 기능 = 586
제3절 정책결정과정과 정보활동 = 589
1. 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정책정보의 기능 = 589
2. 정책결정모형별 정책정보의 기능 = 592
3. 정책결정을 위한 정보체제의 설계 = 596
제4절 정책집행과정과 정보활동 = 598
1. 정책지침 작성단계와 정책정보 = 598
2. 자료의 수집 및 배분의 단계와 정책정보 = 599
3. 실현활동단계와 정책정보 = 600
4. 감독 및 통제단계와 정책정보 = 600
제5절 정책평가과정과 정보활동 = 601
1. 정책평가 종류별 정책정보의 기능 = 601
2. 정책평가 단계별 정책정보의 기능 = 602
註 = 605
제13장 情報通信基盤 保安과 컴퓨터 범죄
제1절 정보통신기반 보안의 본질 = 607
1. 정보통신기반 보안의 의의 = 607
2. 정보통신기반 보안체계 = 608
3. 정보통신기반 보안관리 활동 현황 = 609
4. 정보통신기반 보안 실태 및 개선방안 = 610
제2절 컴퓨터 범죄의 개념과 특징 = 613
1. 컴퓨터 범죄의 정의 = 613
2. 컴퓨터 범죄와 컴퓨터시스템의 오류 및 사고와의 관계 = 618
3. 컴퓨터 범죄의 특징 = 619
제3절 컴퓨터 범죄의 유형 및 수단 = 625
1. 컴퓨터 범죄의 유형 = 625
2. 컴퓨터 범죄의 대표적인 수법 = 634
제4절 컴퓨터 범죄 방지대책 = 638
1.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대책 = 639
2. 법적·제도적 측면에서의 대책 = 640
3. 관리·기술적 측면에서의 대책 = 644
註 = 648
제Ⅴ편 행정정보 産出管理
제14장 情報共同利用과 정보공개
제1절 정보 공동이용과 정보공개 = 651
1. 정보 공동이용의 의미와 효과 = 651
2. 정보 공동이용의 현황과 문제점 = 652
3. 정보 공동이용의 정보공개 = 656
제2절 정보공개의 의의 및 원칙 = 657
1. 정보공개의 의의 = 657
2. 정보공개의 필요성 = 659
3. 정보공개의 원칙 = 666
제3절 주요 선진국의 정보공개제도 = 671
1. 스웨덴의 정보공개제도 = 671
2. 독일의 정보공개제도 = 674
3. 미국의 정보공개제도 = 676
4. 정보공개제도의 구성요소 = 683
제4절 정보공개의 문제점 = 693
1. 정보공개와 국가기밀 = 693
2. 정보공개와 기업정보 보호 = 694
3. 정보공개와 프라이버시 보호 = 695
제5절 우리나라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 696
1. 정보공개제도의 도입배경과 주요관련법규 = 696
2.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 = 700
3. 우리나라 정보공개제도의 개선방향 = 706
註 = 712
제15장 行政情報管理와 프라이버시 保護
제1절 프라이버시 보호의 의의 = 717
1. 프라이버시의 의미 = 717
2. 프라이버시 개념과 유사개념간의 비교 = 718
3. 프라이버시 보호의 의의 = 719
제2절 프라이버시 침해유형과 보호원칙 = 722
1. 프라이버시 침해유형 = 722
2. 프라이버시 보호원칙 = 727
제3절 주요 선진국의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728
1. 미국의 프라이버시 보호 = 728
2. 일본의 프라이버시 보호 = 729
3. EU의 프라이버시 보호 = 730
제4절 한국의 프라이버시 보호법규 실태와 개선방향 = 733
1. 프라이버시 보호 관련 법규 = 733
2.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과 특징 = 737
3.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향 = 743
註 = 749
제16장 行政情報管理와 지적재산권보호 : 컴퓨터소프트웨어의 法的 保護
제1절 지적재산권 보호의 의의 및 동향 = 751
1. 지적재산권의 의의 = 751
2. 지적재산권 보호의 동향 = 752
제2절 컴퓨터소프트웨어의 개념과 법적 보호의 발달배경 = 753
1.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개념 = 753
2.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법적 보호 및 발달배경 = 754
제3절 컴퓨터소프트웨어의 법적 보호에 관한 세계의 동향 = 755
1. 미국 = 755
2. 영국 = 757
3. 독일 = 758
4. 일본 = 759
5. WIPO = 761
제4절 컴퓨터 소프트웨어 법적 보호의 유형 = 766
제5절 우리나라에 있어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법적 보호 = 769
1. 컴퓨터 소프트웨어 보호를 위한 법 제정의 전개과정 = 769
2. 「컴퓨터 프로그램보호법」의 구성내용 및 특징 = 770
3. 프로그램법에 의한 컴퓨터소프트웨어 보호상 문제점 = 771
註 = 774
제Ⅵ편 행정정보체제의 發展方向
제17장 民主化와 행정정보체제
제1절 정보화사회에서의 민주주의 = 777
제2절 민주화 모형 = 778
1. 민주주의와 민주화 = 778
2. 민주화 모형의 구성요소 = 781
3. 구성요소의 우선순위 = 786
제3절 행정정보체제의 문제점 = 787
1. 문제의 정의 = 787
2. 문제의 본질 및 체제접근법적 고찰 = 787
제4절 행정정보체제의 민주화 방안 = 798
註 = 802
제18장 地方化와 행정정보체제(지방행정정보체제)
제1절 지방화의 의미 및 특성 = 804
1. 지방화의 의미 = 804
2. 지방화의 특성 = 806
제2절 지역정보화의 의미와 필요성 = 811
1. 지역정보화의 개념과 구성요소 = 811
2. 지역정보화의 필요성 = 814
제3절 외국의 지역정보화 정책 = 815
1. 일본의 지역정보화 정책 = 815
2. 유럽의 지역정보화 정책 = 819
3. 미국의 지역정보화 정책 = 822
제4절 우리나라의 지역정보화 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 = 824
1. 지역정보화정책 추진현황 = 824
2. 지역정보화정책 추진상 문제점과 개선방향 = 830
제5절 지방행정정보체제의 구축방향 = 836
1. 지방행정정보체제의 개념 및 특성 = 836
2. 기본모형 = 837
3. 구축절차 = 839
4. 정보체제 구축시의 고려사항 및 정책적 과제 = 840
註 = 842
참고문헌 = 845
사항색인 = 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