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310camccc200397 k 4500 | |
001 | 000045358609 | |
005 | 20100806024602 | |
007 | ta | |
008 | 070529s2007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42610747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0888689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2.21 ▼2 22 |
090 | ▼a 372.21 ▼b 2007g | |
100 | 1 | ▼a Dahlberg, Gunilla , ▼d 1945- ▼0 AUTH(211009)116449 |
245 | 1 0 | ▼a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 ▼b 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 / ▼d Gunilla Dahlberg, ▼e Peter Moss, ▼e Alan Pence ; ▼e 김희연 [외]옮김. |
246 | 1 9 | ▼a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postmodern perspectives |
260 | ▼a 서울 : ▼b 창지사 , ▼c 2007. | |
300 | ▼a 389 p. ; ▼c 23 cm. | |
440 | 0 0 | ▼a 유아 교육의 재개념화 ; ▼v 6 |
500 | ▼a 공역자: 신옥순, 염지숙, 유혜령, 정선아. | |
504 | ▼a 참고문헌(p. 353-37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Early childhood education ▼x Philosophy. |
650 | 0 | ▼a Child care services. |
650 | 0 | ▼a Postmodernism and education. |
650 | 0 | ▼a Critical pedagogy. |
700 | 1 | ▼a Moss, Peter , ▼d 1945- ▼0 AUTH(211009)97085 |
700 | 1 | ▼a Pence, Alan , ▼d 1948- ▼0 AUTH(211009)12034 |
700 | 1 | ▼a 김희연 , ▼e 역 ▼0 AUTH(211009)2275 |
700 | 1 | ▼a 신옥순 , ▼e 역 |
700 | 1 | ▼a 염지숙 , ▼e 역 ▼0 AUTH(211009)57385 |
700 | 1 | ▼a 유혜령 , ▼e 역 ▼0 AUTH(211009)85002 |
700 | 1 | ▼a 정선아 , ▼e 역 ▼0 AUTH(211009)106383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21 2007g | Accession No. 1114175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21 2007g | Accession No. 1114175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00년 유아교육의 재개념화 시리즈의 첫 역서인 『유아교육 과정의 재개념화: 그 대화의 시작』이 출간된 이래 총 다섯 권의 책이 번역되었다. 이 시리즈 번역서들은 해석적 접근, 비판적 접근, 포스트모던 관점에 속하는 저서들을 국내에 소개함으로써 유아교육·보육의 다원적·다층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했던 애초의 취지에 따라 선별된 것들이었다. 여섯 번째로 소개될 이 책은 굳이 구별한다면 포스트모던 관점에 해당한다. 저자들은 영어와 미국이라는 지배 권력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계의 획일적이며 확증적인 사고를 확산시켜 온 '질'(quality)에 대한 담론에 이유 있는 질문을 던진다. 우리가 '양질'의 유아교육·보육 서비스라는 불문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표준화된 평가 기준 마련을 향해 일제히 기울였던 학문적·실천적 노력들이 과연 우리가 해야 하는 또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방향이었던가에 대해 되묻는다. 얼핏 생각하면 너무나 당연한 명제에 대해, 당연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것은 위험한 일임을 강조한다. 당연한 것처럼 보이는 객관화되고 보편화된 실제로서의 '질'의 개념을 넘어 주관적이고 맥락적인 의미창조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접근한다.
이것은 우리가 속한 사회와 우리 자신의 삶에 대해 이해하는 방식에 있어서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객관성, 예측가능성, 제일성의 가치 아래 실증주의 과학을 진리의 잣대로 삼았던 모더니즘을 넘어, 주관성, 개연성, 다양성의 가치 아래 진리의 허구성을 드러내고 지식의 구성 과정에 주목하여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변화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중반 이후 제 분야에서 이미 겹겹이 쌓여 온 시대정신이자 인문사회과학의 중요한 한 방법론을 차지하고 있고, 해체적 질주로부터 생산적 대안을 모색하며 계속 발전 중에 있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유아교육이란 지식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인식을 통해, 아동기와 유아교육·보육기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넓혀 가는 일련의 진행형의 노력들이다. 새로운 해답과 당장 시작할 처방을 기대하는 사람들에게는 당황스럽고 답답할 수 있지만, 포스트모던 유아교육은 그 성격상 '대화하고 또 대화하는' 가운데 만들어져 가는 것일 뿐이다. 이 책은 그 대화 자체이자 대화를 이끌어 가는 요소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이 책에 대하여 = 7 제2장 이론적 관점: 모더니티와 포스트 모더니티, 권력과 윤리 = 43 제3장 아동기의 의미구성: 아동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 91 제4장 유아교육ㆍ보육기관의 의미구성: 유아교육ㆍ보육기관은 어떠한 곳인가? = 125 제5장 질(質)에 관한 담론을 넘어 의미창조의 담론을 향하여 = 165 제6장 스톡홀름 프로젝트: 어린이, 교육자, 그리고 부모의 목소리가 살아 있는 페다고지의 구축 = 237 제7장 교육적 기록작업: 반성과 민주주의를 위한 실천 = 273 제8장 다수세계에서의 지배소수의 움직임: 위협과 가능성 = 301 참고문헌 = 353 인명색인 = 376 내용색인 =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