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어음운론의 이해 제2판

영어음운론의 이해 제2판 (4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명호
서명 / 저자사항
영어음운론의 이해 = English phonology : an introduction / 김명호 저.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마산 :   경남대학교 출판부 ,   2002.  
형태사항
420 p. : 삽도 ; 23 cm.
ISBN
8984210358
서지주기
참고문헌(p. 390-403), 색인수록
000 00672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57875
005 20100806023404
007 ta
008 060112s2002 gnka b VF 001c kor
020 ▼a 8984210358 ▼g 93740
035 ▼a (KERIS)BIB000010658126
040 ▼a 211035 ▼d 211035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21.5 ▼2 22
090 ▼a 421.5 ▼b 2002a
100 1 ▼a 김명호
245 1 0 ▼a 영어음운론의 이해 = ▼x English phonology : an introduction / ▼d 김명호 저.
250 ▼a 제2판.
260 ▼a 마산 : ▼b 경남대학교 출판부 , ▼c 2002.
300 ▼a 420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90-403),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5 2002a 등록번호 1114182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5 2002a 등록번호 1114182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영어음운론의 이해 / 김명호 저

머리말

제1장 발화음과 그 생산

 1.1 기관 및 과정 = 11

  1.1.1 시동과정 = 12

  1.1.2 발성과정 = 13

  1.1.3 구비강과정 = 14

  1.1.4 조음과정 = 16

 1.2 세부 조음 = 19

  1.2.1 자음 : 조음위치 = 19

  1.2.2 모음 = 23

  1.2.3 조음방법 = 31

  1.2.4 세부 접근음 : 모음 재검토 = 37

 1.3 결론 = 42

제2장 영어의 음체계 : 자음음소

 2.1 음성학과 음운론, 또는 영어발화음들의 수 = 44

 2.2 단음, 음소 그리고 이음 = 47

 2.3 영어의 자음음소 = 51

  2.3.1 기본목록 = 51

  2.3.2 몇 가지 지역적 변형 = 54

  2.3.3 음소표기와 정보 = 56

  2.3.4 음소의 음성적 내용 = 59

제3장 영어의 몇 가지 모음체계

 3.1 참조악센트들의 선택 = 64

 3.2 세 가지 목록 = 66

  3.2.1 영국남부의 표준모음음소 = 66

  3.2.2 스코틀랜드표준영어의 모음음소 = 68

  3.2.3 일반미국어의 모음음소 = 69

 3.3 세 가지 기본 모음체계 = 71

  3.3.1 음소쌍 = 71

  3.3.2 영국 = 75

  3.3.3 스코틀랜드 = 78

  3.3.4 미국 = 83

 3.4 모음과 /r/ = 87

  3.4.1 r음색과 비r음색 악센트 = 87

  3.4.2 스코틀랜드표준영어 = 90

  3.4.3 일반미국어 = 90

  3.4.4 용인발음 = 91

 3.5 비강세와 저강세 음절 : 슈와 그리고 몇 가지 다른 모음 = 93

 3.6 음소기호와 음성내용 = 96

제4장 음운자질들 1부 : 영어모음음소들의 분류

 4.1 음운론에서 자질들의 역할 = 104

 4.2 음운자질들과 기본 모음체계 = 108

  4.2.1 주요 부류들 : [공명성], [계속성] 그리고 [자음성] = 108 

  4.2.2 모음쌍 재검토 : 자질 [긴장성] = 112

  4.2.3 긴장성과 길이 = 115

  4.2.4 혓몸 자질들 : [후설성], [고설성] 그리고 [저설성] = 118

  4.2.5 자질 [원순성], 그리고 잉여성에 대한 추기 = 124

제5장 음운자질들 2부 : 자음체계

 5.1 왜 새로운 자질들이 필요한가? = 128

  5.1.1 자질의 과다 = 129

  5.1.2 '모음자질들' 그리고 '자음자질들' = 132

 5.2 위치자질들 대체 : [전방성], [설정성] 그리고 [조찰성] = 133

 5.3 [원순성], [고설성], [저설성] 그리고 [후설성] 재검토 = 137

 5.4 저해음쌍 : [유성음성]과 [긴장성] = 139

 5.5 [비음성]과[설측성] = 141

제6장 음절

 6.1 음성단위와 음운단위 = 146

 6.2 음절이란 무엇인가? = 148

 6.3 몇 가지 미해결 문제 = 152

 6.4 단음절단어의 구조 = 156

  6.4.1 음절두부 = 157

  6.4.2 음절미부 = 159

  6.4.3 음절정점 = 160

  6.4.4 음절각운 = 162

  6.4.5 부가소 = 167

 6.5 음절형판과 음소배열론 = 172

  6.5.1 음절두부 음소배열론 = 174

  6.5.2 음절각운 음소배열론 = 182

  6.5.3 음절정점 : 모음과 자음 재검토 = 187

 6.6 다음절단어의 음절화 = 191

제7장 단어강세

 7.1 강세의 본질에 관하여 = 200

 7.2 강세와 음절구조 = 204

  7.2.1 말강세 = 206

  7.7.2 비말강세 = 210

 7.3 강세와 비음운구조 = 214

 7.4 강세와 음운구조 : 운율음운론 = 218

  7.4.1 표기법 = 218

  7.4.2 몇 가지 일반화 = 225

 7.5 영어단어강세의 (비)예측성 = 234

제8장 음성표시들 : 음소실현들

 8.1 음성층위표시 = 237

 8.2 이음성 : 원칙들 = 240

  8.2.1 이음의 상보적 분포 : 밝은 /l/과 어두운 /l/ = 241

  8.2.2 동화 : 수의성 대 비이원성 그리고 자연부류들 = 244

  8.2.3 이음의 평행적 분포 : 비개방폐쇄음 = 249

 8.3 저해음체계에서의 이음성 = 251

  8.3.1 무성폐쇄음의 이음성 : 기음화와 성문음화 = 251

  8.3.2 유성저해음의 이음성 : 무성음화 = 255

  8.3.3 요약: 유성음화대조의 음성적 상관관계 = 258

  8.3.4 성문폐쇄음, 단전동음 그리고 몇 가지 문제 = 260

 8.4 모음길이 = 262

  8.4.1 요점반복 = 262

  8.4.2 모음길이 이음성 = 265

 8.5 규칙, 음성표시 그리고 이원적 자질들 = 267

  8.5.1 음성표시의 비이원성 = 268

  8.5.2 규칙, 자질 그리고 자연부류들 = 271

 8.6 대조정지 : 원음소 = 274

제9장 구, 문장 그리고 연결발화음운론

 9.1 단일단어 영역 밖의 강세 = 282

  9.1.1 구강세 = 284

  9.1.2 복합어강세 = 288

 9.2 리듬음운론 = 292

  9.2.1 영어에서의 강세박자 = 292

  9.2.2 운율구조와 음보 = 295

  9.2.3 조화리듬 : 강세형의 리듬조정 = 311

 9.3 연결발화에서의 음절 = 320

  9.3.1 연음 = 321

  9.3.2 연음의 몇 가지 결과 = 323

 9.4 연결발화에서의 구조단순화 = 328

  9.4.1 모음축소와 약형 = 329

  9.4.2 축소, 생략, 동화 = 332

제10장 억양

 10.1 정의, 지각 그리고 분석차원 = 337

 10.2 억양의 체계 = 339

  10.2.1 성조단위의 내부구조 = 340

  10.2.2 핵성조 = 347

 10.3 억양의 기능들 = 353

  10.3.1 억양과 의미대조 = 353

  10.3.2 정보적 기능 = 354

  10.3.3 문법적 기능 = 355

  10.3.4 발화수반적 기능 = 356

  10.3.5 태도적 기능 = 357

  10.3.6 본문/담화 기능 = 358

 10.4 억양과 정보 = 359

  10.4.1 정보단위와 성조단위 = 359

  10.4.2 정보초점과 핵 = 361

  10.4.3 정보형과 고저높이 = 362

  10.4.4 정보의 분포와 핵위치 = 364

 10.5 억양과 문법 = 366

  10.5.1 성조단위경계의 위치 = 367

  10.5.2 핵의 배치 = 369

  10.5.3 핵형 = 371

 10.6 억양과 발화수반행위 = 375

  10.6.1 발화행위-발화수반행위-발화효과행위 = 375

  10.6.2 발화수반력과 억양 = 377

 10.7 억양과 태도 = 379

  10.7.1 태도 대 문법 = 381

  10.7.2 태도 대 어휘론 = 381

 10.8 억양과 본문/담화 = 383

  10.8.1 본문과 담화의 개념에 대하여 = 383

  10.8.2 본문에서의 억양역할 = 385

  10.8.3 담화에서의 억양역할 = 386

참고문헌 = 390

찾아보기(한영) = 405

찾아보기(영한) =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