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이론
Ⅰ. 국가와 사회와의 관계 : 3모형의 비교 = 15
1. 硏究目的 = 15
2. 3모형의 비교 = 17
3. 各 模型에서 脫落된 論點 = 20
4. 3모형의 相互批判 = 22
5. 結論 = 23
Ⅱ. 유교의 정치이념과 정치발전 = 25
1. 緖 : 問題의 提起 = 25
2. 儒敎의 政治理念 = 26
3. 發展論的 視角 = 30
4. 結語 = 33
Ⅲ. 행정연구와 가치 = 36
1. 行政學硏究의 志向과 判斷基準 = 36
2. 行政哲學의 硏究對象으로서의 價値 = 39
3. 行政哲學的 思考의 必要性 = 46
Ⅳ. 민주사회의 바람직한 행정상 : 자율성을 중심으로 = 50
1. 서론 = 50
2. 理念으로서의 民主主義 原理 = 51
3. 民主主義의 權力構造 = 59
4. 決論 = 65
제2장 방법론
Ⅰ. 정책결정요인론의 전개와 정책비교의 분석틀 = 71
1. 硏究目的 = 71
2. 政策決定要因에 관한 旣存硏究의 檢討 = 72
3. 環境, 政治體制 및 政策과의 關係模型 = 78
4. 分析틀 = 87
5. 要約 및 結論 = 90
Ⅱ. 비교정책연구의 기본논리와 적용 = 96
1. 緖言 : 問題의 槪觀 = 96
2. 比較硏究와 社會科學理論 = 103
3. 硏究設計(Research Designs) = 110
4. 體制水準 變數들 : 分析水準의 변경 = 115
5. 一般理論의 構成 = 122
Ⅲ. 정책분석에 있어서의 가치와 사실 : 방법론적 문제 = 135
Ⅳ. 정책기획 패러다임의 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 과학적 연구의 논리를 중심으로 = 148
1. 序論 = 148
2. 合理的 企劃과 檢證主義 = 150
3. 단절적 漸增主義와 反證 = 160
4. 混合走査와 檢證主義/反證主義의 結合 = 168
5. 結論 = 175
Ⅴ. 정책기획 패러다임의 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Ⅱ = 178
1. 序論 = 178
2. 人間主義的 學習 패러다임(교류적 기획 모형) = 182
3. 解釋學的 企劃 패러다임 = 189
4. 批判的 企劃 패러다임 = 194
5. 結論 = 201
Ⅵ. 정책분석에 있어서의 질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Qualitative Method in Policy Analysis) = 209
1. 序論 = 209
2. 構成主義 方法論의 哲學的 基礎 = 210
3. 構成主義的 方法論 = 217
4. 政策評價에의 適用 = 224
5. 結論 = 227
제3장 외국어 논문
Ⅰ. STATE AND SOCIETY - THREE MODELS REVISITED = 231
1. INTRODUCTION = 231
2. WEBER : A MODIFICATION OF THE OTHER TWO MODELS = 232
3. CLASS CONCEPT = 235
4. THE CENTRALIZATION OF POWER = 238
5. CONCLUDING REMARKS = 240
Ⅱ. Political System and Policy Output : A Comparison of the Third and Fourth Republics of Korea = 242
Ⅲ. 韓國の地方自治制度の槪要と問題點 : 權力構造を中心に = 266
1. 序言 = 266
Ⅳ. The Impacts of Socio-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on Hazardous Waste Facility Siting in Korea : An Application of Hamilton's Model = 277
1. Introduction = 278
2. Theoretical Considerations = 282
3. Methodology, extraction of factors, and data = 284
4. Findings = 292
5. Conclusions = 295
Ⅴ. Poverty and Environment : The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 301
1. Introduction = 302
2. Theoretical Framework = 302
3. Policies and Actions for the Urban Poor : An assessment = 304
4.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 a need for Action Research = 309
Ⅵ. Korea's Division as a World Issue : Discourses and Prospects = 311
1. Introduction = 312
2. The Rational Choice Model :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North-South Talks = 313
3.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 315
4. A Long-range "Developmental Construct" for North Korea = 319
5. Prospects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 323
Ⅶ. 1. ASEM-DUO MISSION REPORT = 329
2. ASEM-DUO FELLOWSHIP : Essay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