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4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357242 | |
005 | 20100806022134 | |
007 | ta | |
008 | 070502s200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0594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0882377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75 ▼a 371.26 ▼2 22 |
090 | ▼a 375 ▼b 2007 | |
100 | 1 | ▼a 조승제 ▼0 AUTH(211009)16922 |
245 | 1 0 | ▼a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 ▼b 삶과 앎 / ▼d 조승제. |
246 | 1 1 | ▼a Curriculum & evaluation : toward new indentities |
260 |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7. | |
300 | ▼a 422 p. : ▼b 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401-418),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7 | 등록번호 1114173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7 | 등록번호 1114173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조승제(지은이)
경기도 여주 출생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이성호, 한종철, 김란수, 김인회, 이종성, 한준상 교수님 등의 지도를 받으며 조교를 하면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강원대학교 대학원에서 김수천, 이칭찬, 피정만, 이종각, 안범희 교수님 등의 지도를 받으면서 교사교육원, 교육연구소 등에서 연구하면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아주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였다. 여주대학에서 대학발전기획위원장, 평생교육원장, 산학협력처/단장, 인재개발 본부장, 취ㆍ창업지원처장,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교수학습 연구대회 교양ㆍ예체능계열 평가위원장, 그리고 국정홍보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교육학 개론과 교육과정 등을 가르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국회 교육문화관광체육분과 입법지원 위원 등 [저 서] 교육학 개론(공저, 도서출판 하우, 1996) 정보화시대의 실기교육 방법론(여주대학교 출판부, 1996) 교육의 이해(여주대학교 출판부, 1997) 직업교육중심의 교육학 개론(삼광출판사, 2000) 직업교육과정과 실기교육방법론(삼광출판사, 2001) 교육과정과 평가(교육과학사, 2002) 전문직을 위한 교육학 개론(삼광출판사, 2004) 교과교육과 교수ㆍ학습 방법론(양서원, 2006)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삶과 앎(교육과학사, 2007) 2007년 문화관광부 학술부문 우수도서 선정 교육학과 삶의 쟁점: 생애개발(교육과학사, 2010) 역량기반교육과정과 실기교육방법의 쟁점(교육과학사, 2011) 교육과정과 삶의 쟁점: 인간관계론(교육과학사, 2013) NCS 의사소통과 지도성의 쟁점(삼광출판사, 2014) 취업과 창업 및 진로지도: NCS 기반 생애개발과 직무역량(양서원, 2017)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의 쟁점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 = 13 제1절 교육과정의 본질 = 14 1. 교육과정의 의미 = 14 2. 교육과정의 기능 = 21 제2절 교육과정의 정의 = 26 1. 정의와 연관된 논쟁 = 26 2. 전통적 입장의 오류 = 28 3. 새로운 입장과 교육과정 재개념화 = 30 제3절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 32 1. 이분법적 논의와 일원론 = 32 2. 이분법적 논의 이외의 견해 = 34 3. 교육과정 선택의 과제 = 36 4. 교육과정 적용의 과제 = 38 제2장 교육과정 연구의 방법과 실제 = 43 제1절 교육과정 연구방법의 관점 = 44 1. 인간사에 관한 연구방법의 관심 = 44 2. 교육과정 연구의 성격과 방향 = 49 3. 교육과정 연구의 패러다임 논쟁 = 51 제2절 교육과정 연구의 내용 = 53 1. 과학주의 연구방법 = 53 2. 인본주의 연구방법 = 57 제3절 교육과정 연구의 특징과 과제 = 63 1. 교육과정 연구의 특징 = 63 2. 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논쟁 = 67 3. 교육과정 연구의 과제와 전망 = 70 제3장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과 원리 = 75 제1절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 = 76 1. 교육과정 이론의 주요 과제 = 76 2. 교육과정 이론의 구조 = 79 제2절 교육과정 이론의 정의와 형식 = 81 1. 교육과정 이론 연구의 근거 = 81 2. 교육과정 이론의 정의 = 83 3. 교육과정 이론의 기능 = 88 제3절 교육과정 이론의 원리 = 93 1. 타일러의 교육과정 이론 = 93 2. 듀이의 교육과정 이론 = 96 3.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 = 99 4. 문화재생산론의 교육과정 이론 = 102 제2부 교육과정 결정 문제의 쟁점 제4장 교육과정 결정 준거와 유형 = 109 제1절 교육과정 결정 문제와 교육적 인간상 = 110 1. 인류의 역사와 교육과정 결정 문제 = 110 2. 교육적 인간상과 자유교육의 쟁점 = 114 3. 교과의 특성과 교육의 사회적 책무 = 118 제2절 교육과정 결정 준거의 현황과 과제 = 122 1.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 = 122 2. 교육과정 결정 준거의 보수와 진보 논쟁 = 126 3. 교육과정 결정 준거의 교류 전망 = 130 제3절 교육과정의 유형과 학습이론 = 134 1.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형식도야 이론 = 134 2. 경험중심 교육과정과 동일요소설 = 136 3.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일반전이설 = 138 4. 인간중심 교육과정과 대뇌기능이론 = 140 제5장 교육과정의 결정 구조와 철학적 이해 = 143 제1절 교육과정 결정 구조와 개념 = 144 1. 교육과정 결정의 철학적 구조 = 144 2. 교육과정 결정의 행정적 구조 = 150 3. 교육과정의 편제와 결정 구조 = 151 제2절 교육과정 계획과 상담가 = 155 1. 교육과정 계획과 변화 요인 = 155 2. 사회적 가치와 교과서 편찬 체제 = 160 3. 교육과정 상담가의 책무 = 162 제3절 철학적 태도 유형과 철학사조 = 167 1. 철학적 태도 유형의 점검 = 167 2. 다섯 가지 철학사조의 내용 = 170 제6장 교육과정 개발과 학교중심 교육과정 = 175 제1절 교육과정 개발 전략과 모형 = 176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특성 = 176 2. 교육과정 개발 참여자와 기관 = 180 3. 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모형 = 183 제2절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 = 188 1. 교육목표의 설정 = 188 2. 학습자의 필요 = 191 3. 현대사회의 요구와 교육철학적 근거 = 193 4. 학습경험과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 196 제3절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 199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역사 = 199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환경과 전략 = 201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구조와 특징 = 203 제3부 교육과정 시행과 교과운영 및 평가의 쟁점 제7장 교육과정 시행의 연구 관점과 실제 = 211 제1절 교육과정 시행의 연구 관점 = 212 1. 교육목표 충실성 관점 = 212 2. 사회적 맥락의 상호적응 관점 = 216 3. 교사와 학생의 형성 관점 = 219 제2절 교육과정 시행의 개념 = 224 1. 시행의 개념적 정의와 기본 가정 = 224 2. 시행 요소와 연구방법론의 가정 = 227 3. 3가지 관점 시행의 과제와 전망 = 229 제3절 교육과정 시행의 실제 = 231 1. 교육과정 시행의 유형 = 231 2. 교과 편제의 조직과 시행 = 235 제8장 교과교육과 교과서 개발 = 241 제1절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 242 1. 교육내용의 두 유형 = 242 2. 교육방법의 두 유형 = 246 제2절 교과목의 운영 실태와 문제 = 249 1. 언어학과 외국어 = 249 2. 수학과 과학 = 254 3. 사회와 예ㆍ체능 및 다중지능의 교과지도 = 257 제3절 교과서 개발과 활용의 과제 = 263 1. 교과 연구를 위한 기본 틀 = 263 2. 교과서의 가치와 내용 통제 = 267 3. 흥미분야 별 교과계열 측정 = 270 제9장 교육평가의 원리와 실제 = 273 제1절 교육평가의 시각과 유형 = 274 1. 교육평가의 의미와 시각 = 274 2. 교육평가의 기능과 모형 = 277 3. 교육평가 유형의 특징 = 280 제2절 교육평가 도구와 교육목표의 평가 = 283 1. 교육평가의 시기와 도구의 측정학적 특징 = 283 2. 교육목표의 분류와 진술 = 288 3. 객관식평가와 주관식평가 = 292 제3절 정의적 교육의 의미와 실제 = 295 1. 정의적 교육의 의미와 강화 방안 = 295 2. EQ의 특성과 예시적 측정 = 300 제4부 교육과정 평가와 교육개혁의 쟁점 제10장 교육과정 평가와 교육과정 정책 = 311 제1절 교육과정 평가의 역사와 구성요소 = 312 1. 교육과정 평가의 역사 = 312 2.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과 사정활동 = 315 3. 교육과정 평가의 구성요소와 범위 = 318 제2절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과 영향 = 321 1.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과 정치적 기능 = 321 2.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계 = 323 3. 교육과정 평가의 영향력과 전망 = 325 제3절 교육과정 정책의 기능과 특성 = 329 1. 교육과정 정책의 정의와 목표 = 329 2. 교육과정 결정 참여자와 주도 집단 = 332 3. 교육과정 결정 절차와 상호작용 모형 = 335 제11장 교육과정 개정과 교원업적평가 = 341 제1절 교육과정 개정의 특성과 운영 현황 = 342 1. 교육과정 정책의 기본 방향 = 342 2.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 주요 사항과 특징 = 344 3. 교육과정 개정의 목적과 운영의 실제 = 347 제2절 교육과정 개정의 영향 요인 = 350 1. 교육과정 개정의 종교, 정치, 실용주의 = 350 2. 교육과정 개정의 평등성과 수월성 = 356 제3절 교직의 특성과 교원업적평가 = 362 1. 교직의 특성과 교직관의 유형 = 362 2. 교원업적평가의 목적과 사례 = 366 제12장 포스트모더니즘과 열린교육 = 373 제1절 신세대와 열린 교육의 이해 = 374 1. 신세대의 주장과 수요자중심 교육 = 374 2. 신세대의 특성과 포스트모더니즘 = 376 3. 신세대의 사고와 생활의 열린교육 = 379 4. 지식기반사회의 업무 특성 = 381 제2절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경험과 열린교육 = 384 1. 과학적 합리성과 절대성의 부정 = 384 2. 창의성과 다원성의 추구 = 386 3. 의사소통과 문화의 상대성 = 389 제3절 열린교육의 특성과 교육개혁의 과제 = 391 1. 열린교육의 의미와 특성 = 391 2. 열린교육의 교육개혁 방향 = 394 3. 열린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과제 = 398 참고문헌 = 401 찾아보기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