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차례 = 5
책을 읽기 전에 = 11
제1장 C언어의 개요 = 21
1.1 C언어의 역사 = 22
1.2 C언어의 특징 = 23
1.3 C언어 프로그래밍 기초 = 24
1.3.1 main() 함수 = 24
1.3.2 주석문(comments) = 28
1.3.3 들여쓰기(indentation) = 29
1.4 C언어에서 사용되는 각종 문자 = 30
1.4.1 C언어 사용 가능한 문자 = 30
1.4.2 예약어 = 31
1.4.3 선언자(identiser) = 32
제1장 종합문제 = 33
제2장 C언의 처음 = 35
2.1 변수의 선언 = 36
2.2 입출력 함수 = 37
2.2.1 출력 함수 : printf() 함수 = 37
2.2.2 입력 함수 : scanf() 함수 = 41
2.2.3 문자 한자 입력 : getchar() 함수 = 43
2.2.4 문자 한자 출력 : putchar () = 44
2.3 함수 = 45
제2장 종합문제 = 47
제3장 상수와 변수 = 49
3.1 상수란? = 50
3.2 상수의 종류 = 50
3.2.1 문자형 상수 = 50
3.2.2 정수형 상수 = 52
3.2.3 실수형 상수 = 53
3.3 변수 = 56
3.4 변수의 형선언 = 56
3.4.1 데이터형(data type)의 종류 = 56
3.4.2 문자형(character type)의 종류 = 58
3.4.3 정수형(integer type)의 종류 = 60
3.4.4 실수형(real type)의 종류 = 63
3.5 데이터형의 변환 = 64
3.5.1 데이터형의 자동 변환 = 64
3.5.2 데이터형의 강제 변환 = 65
제3장 종합문제 = 67
제4장 연산자 = 69
4.1 연산자의 종류 = 70
4.2 대입 연산자(assignment operator) = 70
4.2.1 단순 및 다중 대입 연산자 = 71
4.2.2 복합 대입 연산자 = 73
4.3 산술 연산자(arithmentic operator) = 74
4.3.1 이항 연산자(binary operator) = 75
4.3.2 단항 연산자(unary operator) = 76
4.4 관계 연산자(relational operator) = 82
4.5 논리 연산자(logical operator) = 84
4.6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 = 86
4.6.1 쉬프트 연산자(shift operator) = 87
4.6.2 비트 논리 연산자(bitwise logical operator) = 90
4.7 기타 연산자 = 92
4.7.1 콤마 연산자(comma operator) = 92
4.7.2 sizeof 연산자 = 92
4.7.3 형변환 연산자(cast operator) = 94
4.7.4 열거형 연산자 = 95
4.7.5 조건 연산자(conditional operator) = 97
4.7.6 주소 및 포인터 연산자 = 98
4.8 연산자의 우선 순위와 연산 방향 = 100
제4장 종합문제 = 107
제5장 제어문 = 113
5.1 선택 제어문 = 114
5.1.1 단일 if문 = 114
5.1.2 if~else문 = 117
5.1.3 다중 if문 = 120
5.1.4 중첩 if문 = 124
5.2 switch문 = 127
5.3 반복문 = 131
5.3.1 while문 = 131
5.3.2 for문 = 137
5.3.3 do~while문 = 144
5.4 분기문 = 146
5.5 continue문과 break문 = 148
제5장 종합문제 = 152
제6장 배열 = 155
6.1 배열이란 = 156
6.1.1 배열의 사용 = 157
6.1.2 배열의 초기화 = 159
6.2 다차원 배열 = 168
6.3 문자 배열과 문자열 배열 = 175
제6장 종합문제 = 183
제7장 함수문 = 187
7.1 함수문(function statements)이란 = 188
7.2 함수의 사용 = 194
7.3 함수 호출 = 199
7.4 함수간의 데이터 전달 방법 = 200
7.4.1 값에 의한 전달(call by value) = 205
7.4.2 주소에 의한 전달(call by address) = 208
7.4.3 void형 함수 = 212
7.5 재귀 호출 = 214
제7장 종합문제 = 216
제8장 기억 클래스 = 221
8.1 기억 클래스에 대하여 = 222
8.2 자동 변수(automatic variable) = 223
8.3 정적 변수(static variable) = 227
8.4 레지스터 변수(register variable) = 231
8.5 외부 변수(external variable) = 233
제8장 종합문제 = 235
제9장 선행 처리기 = 237
9.1 #define문 = 239
9.2 #include문 = 249
9.3 #undef문 = 252
9.4 #if, #elif, #else, #endif, #ifdef, #ifndef문 = 254
9.5 프리프로세서를 위한 연산자 = 255
9.6 기타 전처리기 = 257
9.7 volatile과 const 지시어 = 262
제9장 종합문제 = 264
제10장 포인터 = 267
10.1 포인터의 개념 = 268
10.1.1 주소 연산자(&) = 271
10.1.2 포인터 연산자 (*) = 274
10.2 포인터 변수의 선언 = 275
10.3 포인터의 사용 = 278
10.4 배열과 포인터 = 285
10.4.1 1차원 배열과 포인터 = 286
10.4.2 2차원 배열과 포인터 = 288
10.4.3 포인터와 문자열 = 290
10.4.4 문자열의 입력 = 294
10.4.5 포인터 배열 변수 = 298
10.4.6 이중 포인터 변수 = 302
10.4.7 포인터와 함수 = 305
10.5 포인터 연산 = 309
제10장 종합문제 = 311
제11장 구조체와 공용체 = 315
11.1 구조체(structure) = 316
11.1.1 구조체의 선언 = 319
11.1.2 구조체 변수의 사용 = 321
11.1.3 구조체 멤버의 참조 = 325
11.1.4 구조체 변수의 초기화 = 333
11.1.5 구조체 배열 변수의 사용 = 338
11.1.6 구조체 포인터 변수의 사용 = 344
11.1.7 비트 필드 구조체 = 352
11 1.8 구조체와 함수 = 356
11.2 공용체(union) = 361
11.2.1 공용체의 선언 = 361
11.2.2 공용체 변수 멤버 참조 = 363
11.3 열거형(enum) = 368
제11장 종합문제 = 372
제12장 표준 입출력 함수와 파일 처리 함수 = 379
12.1 표준 입출력 함수 = 380
12.1.1 단일 문자 입력 함수 = 380
12.1.2 단일 문자 출력 함수 = 381
12.1.3 문자열 입력 함수 = 383
12.1.4 문자열 출력 함수 = 385
12.2 고수준 파일 입출력 파일 = 387
12.2.1 표준 입출력 파일 = 387
12.2.2 고수준 파일 입출력 함수 = 390
12.3 랜덤 파일 함수 = 416
12.3.1 fseek() 함수 = 416
제12장 종합문제 = 426
부록 : ASCII 표 = 429
찾아보기 =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