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보수적 기원 : 1945년 해방 ~ 1961년까지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보수적 기원 : 1945년 해방 ~ 1961년까지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임송자 任松子
서명 / 저자사항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보수적 기원 : 1945년 해방 ~ 1961년까지 / 임송자.
발행사항
서울 :   선인 ,   2007.  
형태사항
438p ; cm.
총서사항
현대사총서 ; 016
ISBN
9788959330744
서지주기
참고문헌(p.411-425) 및 찾아보기수록
000 00604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348525
005 20100806013458
007 ta
008 070514s2007 ulk 001c kor
020 ▼a 9788959330744 ▼g 93900: ▼c \26,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331.8095195 ▼2 22
090 ▼a 331.80953 ▼b 2007
100 1 ▼a 임송자 ▼g 任松子
245 1 0 ▼a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보수적 기원 : ▼b 1945년 해방 ~ 1961년까지 / ▼d 임송자.
260 ▼a 서울 : ▼b 선인 , ▼c 2007.
300 ▼a 438p ; ▼c cm.
440 0 0 ▼a 현대사총서 ; ▼v 016
504 ▼a 참고문헌(p.411-425) 및 찾아보기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80953 2007 등록번호 1512314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80953 2007 등록번호 1512314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임송자(지은이)

순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한국현대사 전공,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순천대 HK연구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보수적 기원》, 《한국의 노동조합과 노동운동의 역사》, 논문으로 〈민주당 정권기 국토건설사업의 추진 과정〉, 〈1961년 5·16 이후 국토건설사업과 국토건설단 운영 실태〉, 〈미군정기 우익 정치 세력과 우익 학생 단체의 문해·계몽운동〉, 〈1950년대와 1960년대 전반기 노동운동의 좌절과 도전〉 등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5
서장 : 문제제기와 연구방법 = 15
 1. 문제제기 = 15
 2. 연구방법과 자료 = 24
제1장 보수적 노동운동의 형성 = 29
 1. 해방 후 노동상황과 진보적 노동운동 = 29
  1) 노동상황 = 29
  2)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 33
 2.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의 결성 = 40
  1) 우익세력과 노동자 조직화 = 40
  2)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결성과 초기 조직 = 53
  3) 9월총파업과 전진한체제 = 66
 3.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의 조직체계 = 84
  1) 조직확장과 조직현황 = 84
  2) 조직체계 = 93
 4.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와해 = 100
  1) 후원세력 = 100
  2) 행동대원들 = 106
  3) 사례 = 111
 〈소결〉 = 133
제2장 대한민국 정부와 대한노동총연맹 = 137
 1. 정부수립 이후 보수적 노동운동의 내부갈등 = 137
  1) 유임지지파와 유임반대파 = 137
  2) 전국혁신위원회 = 142
  3) 3월파와 4월파 = 148
  4) 전진한체제의 확립 = 157
 2. 한국전쟁기 조직변화 = 160
  1) 조직파괴와 조직변화 = 160
  2) 내부갈등과 대립 = 164
  3) 전국통일대회 = 168
 3. 조직체계 = 175
  1) 조직 재정비 = 175
  2) 조직체계 = 179
  3) 조직현황 = 182
 4. 대한노동총연맹의 활동상 = 185
  1) 노동계를 압박하는 요인들 = 185
  2) 입법활동과 대한노동총연맹 = 193
  3) 5ㆍ10선거, 5ㆍ30선거 참여와 자유당 창당 = 201
  4) 이승만과 대한노동총연맹 = 211
 〈소결〉 = 217
제3장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의 자유당 예속화 = 221
 1. 1953년 노동관계법 제정과 대한노총 조직변화 = 221
  1) 노동조합법 제정 과정 = 221
  2) 노동관계법 내용과 운용실태 = 238
  3) 대한노총의 조직변화 = 248
 2. 1950년대 중ㆍ후반 파벌대립의 양상 = 258
  1) 1950년대 중반기 파벌대립 = 258
  2) 1950년대 후반기 규약개정운동과 김기옥체제 = 274
  3) 파벌대립의 성격 = 282
 3. 조직체계 = 287
  1) 조직체계 = 287
  2) 조직현황 = 296
 4.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의 활동상 = 303
  1) 사이비 노동활동 = 303
  2)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와 정당관계 = 310
  3) 자유당을 위한 정치활동 = 319
 〈소결〉 = 327
제4장 노동운동의 새로운 희망과 좌절 = 331
 1. 새로운 노동운동의 전개 = 331
 2.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 = 336
  1)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설립준비위원회 = 336
  2)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 = 343
  3)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 의의 = 348
 3. 4월혁명기 노동계의 변화 = 352
  1) 대한노총 과도체제 = 352
  2) 전국노동조합협의회와 제3세력 = 357
  3)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련) 결성 = 361
  4)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련) 조직체계 = 370
 4. 진보적 노동운동의 고양 = 373
  1) 어용노동조합 개편과 규탄운동 = 373
  2) 노동운동의 고양과 노동조합 결성 = 377
 5. 좌절 = 380
  1) 5ㆍ16군부쿠데타와 노동단체 해산 = 380
  2)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결성 = 386
 〈소결〉 = 397
종장 = 401
참고문헌 = 411
찾아보기 = 427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영중 (2023)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2023)
한윤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