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5
서장 : 문제제기와 연구방법 = 15
1. 문제제기 = 15
2. 연구방법과 자료 = 24
제1장 보수적 노동운동의 형성 = 29
1. 해방 후 노동상황과 진보적 노동운동 = 29
1) 노동상황 = 29
2)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 33
2.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의 결성 = 40
1) 우익세력과 노동자 조직화 = 40
2)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결성과 초기 조직 = 53
3) 9월총파업과 전진한체제 = 66
3.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의 조직체계 = 84
1) 조직확장과 조직현황 = 84
2) 조직체계 = 93
4.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와해 = 100
1) 후원세력 = 100
2) 행동대원들 = 106
3) 사례 = 111
〈소결〉 = 133
제2장 대한민국 정부와 대한노동총연맹 = 137
1. 정부수립 이후 보수적 노동운동의 내부갈등 = 137
1) 유임지지파와 유임반대파 = 137
2) 전국혁신위원회 = 142
3) 3월파와 4월파 = 148
4) 전진한체제의 확립 = 157
2. 한국전쟁기 조직변화 = 160
1) 조직파괴와 조직변화 = 160
2) 내부갈등과 대립 = 164
3) 전국통일대회 = 168
3. 조직체계 = 175
1) 조직 재정비 = 175
2) 조직체계 = 179
3) 조직현황 = 182
4. 대한노동총연맹의 활동상 = 185
1) 노동계를 압박하는 요인들 = 185
2) 입법활동과 대한노동총연맹 = 193
3) 5ㆍ10선거, 5ㆍ30선거 참여와 자유당 창당 = 201
4) 이승만과 대한노동총연맹 = 211
〈소결〉 = 217
제3장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의 자유당 예속화 = 221
1. 1953년 노동관계법 제정과 대한노총 조직변화 = 221
1) 노동조합법 제정 과정 = 221
2) 노동관계법 내용과 운용실태 = 238
3) 대한노총의 조직변화 = 248
2. 1950년대 중ㆍ후반 파벌대립의 양상 = 258
1) 1950년대 중반기 파벌대립 = 258
2) 1950년대 후반기 규약개정운동과 김기옥체제 = 274
3) 파벌대립의 성격 = 282
3. 조직체계 = 287
1) 조직체계 = 287
2) 조직현황 = 296
4.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의 활동상 = 303
1) 사이비 노동활동 = 303
2)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와 정당관계 = 310
3) 자유당을 위한 정치활동 = 319
〈소결〉 = 327
제4장 노동운동의 새로운 희망과 좌절 = 331
1. 새로운 노동운동의 전개 = 331
2.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 = 336
1)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설립준비위원회 = 336
2)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 = 343
3)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 의의 = 348
3. 4월혁명기 노동계의 변화 = 352
1) 대한노총 과도체제 = 352
2) 전국노동조합협의회와 제3세력 = 357
3)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련) 결성 = 361
4)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련) 조직체계 = 370
4. 진보적 노동운동의 고양 = 373
1) 어용노동조합 개편과 규탄운동 = 373
2) 노동운동의 고양과 노동조합 결성 = 377
5. 좌절 = 380
1) 5ㆍ16군부쿠데타와 노동단체 해산 = 380
2)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결성 = 386
〈소결〉 = 397
종장 = 401
참고문헌 = 411
찾아보기 =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