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서론 = 1
제1장 세계경제 여행 = 3
1-1 미국 = 4
1-2 유럽연합 = 9
1-3 일본 = 14
1-4 앞으로의 논의에 대한 조망 = 18
부록 : 어디에서 거시경제 자료를 얻을 수 있는가 = 22
제2장 책으로의 여행 = 25
2-1 총산출 = 26
2-2 기타 주요 거시경제 변수 = 34
2-3 단기, 중기, 장기 = 42
2-4 책으로의 여행 = 43
부록 : 실질 GDP의 구축, 연쇄 지수 = 50
제2부 단기 = 53
제3장 재화시장 = 55
3-1 GDP의 구성 = 56
3-2 재화에 대한 수요 = 58
3-3 균형 산출의 결정 = 62
3-4 투자와 저축의 일치 : 재화시장의 균형에 대한 또다른 사고방법 = 69
3-5 정부는 전능한가 = 73
제4장 금융시장 = 79
4-1 화폐에 대한 수요 = 80
4-2 이자율의 결정Ⅰ = 86
4-3 이자율의 결정Ⅱ = 92
4-4 균형을 살펴보는 두 가지 방법 = 100
제5장 재화 및 금융시장 : IS-LM 모형 = 107
5-1 재화시장과 IS 관계 = 108
5-2 금융시장과 LM 관계 = 113
5-3 IS 관계와 LM 관계의 결합 = 117
5-4 정책조합의 활용 = 123
5-5 IS-LM 모형은 현실을 얼마나 잘 설명할까 = 128
제3부 중기 = 135
제6장 노동시장 = 137
6-1 노동시장의 개관 = 138
6-2 실업률의 변화 = 141
6-3 임금의 결정 = 145
6-4 가격결정 = 150
6-5 자연실업률 = 151
6-6 어디로 가는가 = 156
부록 : 임금 및 가격 설정관계와 노동수요 및 공급 = 161
제7장 재화ㆍ금융ㆍ노동시장의 통합 : AS-AD 모형 = 163
7-1 총공급 = 164
7-2 총수요 = 167
7-3 단기 균형과 중기 균형 = 170
7-4 통화팽창의 파급효과 = 173
7-5 재정적자의 감소 = 178
7-6 유가의 변화 = 182
7-7 결론 = 186
제8장 자연실업률과 필립스 곡선 = 193
8-1 인플레이션, 기대인플레이션, 실업 = 194
8-2 필립스 곡선 = 196
8-3 요약과 다양한 경고 = 203
부록 : 총공급 관계에서 인플레이션, 기대인플레이션, 실업 간의 관계 = 214
제9장 인플레이션, 경제활동, 그리고 통화증가 = 217
9-1 산출, 실업, 그리고 인플레이션 = 218
9-2 통화증가율 변화의 효과 = 223
9-3 디스인플레이션 = 227
제4부 장기 = 239
제10장 경제성장에 관한 사실들 = 241
10-1 1950년 이래 부국에 있어서의 경제성장 = 242
10-2 시간과 공간의 범위를 넓혀서 본 결과 = 247
10-3 성장에 대한 사고법 : 입문 = 253
제11장 저축, 자본축적, 그리고 산출 = 263
11-1 산출과 자본의 상호작용 = 264
11-2 저축률의 변화의 효과 = 268
11-3 현실적인 감 잡기 = 279
11-4 물적자본과 인적자본 = 284
부록 : 콥-더글러스 생산함수와 정상상태 = 290
제12장 기술진보와 성장 = 293
12-1 기술진보와 성장률 = 294
12-2 기술진보율의 결정요인 = 302
12-3 성장의 사실에 대한 재검토 = 306
12-4 제도와 성장 = 309
부록 : 기술진보 측정치의 구축 = 317
제13장 기술진보, 임금, 실업 = 319
13-1 단기에 있어 생산성, 산출, 실업 = 320
13-2 생산성과 자연실업률 = 325
13-3 기술진보와 분배효과 = 332
제5부 기대 = 343
제14장 기대 : 기초적 수단 = 345
14-1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346
14-2 기대현재 할인가치 = 350
14-3 명목 및 실질이자율과 IS-LM 모형 = 356
14-4 통화증가율, 인플레이션, 명목 및 실질이자율 = 357
부록 :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을 이용한 기대현재 할인가치의 유도 = 368
제15장 금융시장과 기대 = 371
15-1 채권가격과 채권수익률 = 372
15-2 주식시장과 주가의 변화 = 381
15-3 거품, 패드, 주가 = 388
부록 : 재정과 주가 = 394
제16장 기대, 소비, 투자 = 397
16-1 소비 = 398
16-2 투자 = 405
16-3 소비와 투자의 변동성 = 414
부록 : 정태적 기대하에서 이윤의 기대현재가치의 유도 = 420
제17장 기대, 산출 그리고 정책 = 421
17-1 기대와 의사결정 : 전체적 개요 = 422
17-2 통화정책, 기대, 그리고 산출 = 427
17-3 재정적자 감축, 기대 그리고 산출 = 432
제6부 개방경제 = 441
제18장 재화시장과 금융시장의 개방 = 443
18-1 재화시장의 개방 = 444
18-2 금융시장의 개방 = 454
18-3 결론과 조망 = 462
제19장 개방경제에서의 재화시장 = 467
19-1 게방경제에서의 IS 관계 = 468
19-2 균형 산출과 무역수지 = 472
19-4 절하, 무역수지 그리고 산출 = 479
19-5 동학의 검토 : J-곡선 = 483
19-6 저축, 투자, 그리고 무역수지 = 488
부록 1 : 승수-벨기에 대 미국 = 493
부록 2 : 마샬-러너 조건의 유도 = 494
제20장 산출, 이자율 그리고 환율 = 497
20-1 재화시장의 균형 = 498
20-2 금융시장의 균형 = 499
20-3 재화시장과 금융시장의 통합 = 503
20-4 개방경제에서 정책의 파급효과 = 505
20-5 고정환율 = 507
부록 : 고정환율, 이자율 그리고 자본 이동성 = 517
제21장 환율체제 = 519
21-1 중기 = 520
21-2 고정환율제에서의 환율 위기 = 526
21-3 변동환율제하에서의 환율 변동 = 529
21-4 환율체제의 선택 = 534
부록 1 : 실질환율과 국내외 실질이자율 = 545
부록 2 : 고정환율제도하에서의 총수요의 유도 = 546
제7부 이례적 경제 상황 = 547
제22장 공황과 불황 = 549
22-1 디스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그리고 유동성 함정 = 550
22-2 대공황 = 559
22-3 일본의 경제불황 = 566
제23장 과도한 인플레이션 = 579
23-1 재정적자와 통화 증발 = 580
23-2 인플레이션과 실질화폐잔고 = 583
23-3 재정적자, 시뇨라지, 그리고 인플레이션 = 585
23-4 초인플레이션은 어떻게 종결되나? = 591
23-5 결론 = 596
제8부 정책의 재검토 = 601
제24장 정책당국자에 대한 제약 = 603
24-1 불확실성과 정책 = 604
24-2 기대와 정책 = 609
24-3 정치와 정책 = 614
제25장 통화정책 : 통합 = 627
25-1 최적 인플레이션율 = 628
25-2 통화정책의 설계 = 635
25-3 실제 중앙은행의 운영 : 미국의 Fed = 643
제26장 재정정책 : 통합 = 653
26-1 정부의 예산제약 = 654
26-2 재정정책에 있어서의 네 가지 주제 = 663
26-3 미국의 예산 : 현재의 수치와 미래 전망 = 671
에필로그 = 681
제27장 후기 : 거시경제학 이야기 = 681
27-1 케인즈와 대공황 = 682
27-2 신고전파 종합 = 682
27-3 합리적 기대가설 비판 = 687
27-4 현재의 발전 상황 = 691
27-5 공통된 믿음 = 694
부록 1 국민소득 및 생산계정에 대한 소개 = 699
부록 2 수학 기초 = 705
부록 3 계량경제학의 소개 = 711
용어 = 717
찾아보기 = 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