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학습의 의미
1장 학습의 개념 = 1
1. 학습상황 = 1
2. 학습의 정의 = 6
2장 학습의 역사 = 13
1. 인식론 = 14
2. 초기 심리학 = 21
3. 학습이론에 대한 두 가지 견해 = 30
2부 행동주의 학습이론
3장 Thorndike의 S-R 결합이론 = 37
1. 실험상황 = 38
2. 세 가지 기본 법칙 = 40
3. 후속법칙 = 44
4장 Pavlov의 조건 반사 = 49
1. 실험상황 = 49
2.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 = 51
3. 자극과 반응 = 53
4. 그 외 주요개념들 = 56
5. 학습장면에서의 조건화 = 60
5장 Skinner의 조작 조건화 = 65
1. 실험상황 = 66
2. 후속적 자극의 종류 = 69
3. 새로운 행동의 학습 = 81
4. 학습활동의 적용 = 87
6장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95
1. 상호 결정주의 = 96
2. 관찰학습 = 99
3. 관찰학습의 기본 가정 = 106
3부 인지주의 학습이론
7장 형태주의 이론 = 111
1. 형태주의 의미 = 111
2. 지각적 조직 = 113
3. 전경과 배경 = 117
4. 맥락효과 = 118
8장 통찰학습 = 121
1. K$$\ddot o$$hler의 실험 = 121
2. 통찰 = 123
3. 통찰에 필요한 조건 = 126
4. 통찰학습의 특징 = 128
9장 Kurt Lewin의 장이론 = 133
1. 장의 의미 = 134
2. 장이론의 특징 = 139
3. 장이론에서의 학습 = 142
10장 정보처리이론 = 147
1. 정보처리과정의 기본적 개념 = 147
2. 정보기억체계 = l49
11장 Piaget의 인지발달 = 173
1. 기본개념 = 174
2. 인지발달단계 = 181
12장 개념, 전이, 문제해결학습 = 209
1. 개념학습 = 209
2. 전이학습 = 216
3. 문제해결학습 = 221
4부 동기와 개인차
13장 동기이론 = 229
1. 동기의 개념 = 230
2. 동기이론 = 236
14장 학습동기 = 257
1. 성취동기 = 257
2. 학습목표와 수행목표 = 261
3. 완성지향과 학습된 무기력 = 269
4. 불안 = 272
5. 교사의 기대 = 275
15장 개인차 = 281
1. 자아개념 = 281
2. 인지양식 = 286
3. 창의성 = 291
4. 지능 = 300
찾아보기 =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