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보육학개론

보육학개론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연진 한성심 서지영 김현자
Title Statement
보육학개론 = Introduction to child care & education / 김연진 [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태영출판사 ,   2007.  
Physical Medium
329 p. : 삽도 ; 25 cm.
ISBN
9788991777668
General Note
공저자: 한성심, 서지영, 김현자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11-321) 및 색인수록
000 00704namccc200253 k 4500
001 000045347949
005 20100806012058
007 ta
008 070510s2007 ulka b 001a kor
020 ▼a 9788991777668 ▼g 93370
040 ▼a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7d
245 0 0 ▼a 보육학개론 = ▼x Introduction to child care & education / ▼d 김연진 [외저].
260 ▼a 서울 : ▼b 태영출판사 , ▼c 2007.
300 ▼a 329 p. : ▼b 삽도 ; ▼c 25 cm.
500 ▼a 공저자: 한성심, 서지영, 김현자
504 ▼a 참고문헌(p. 311-321) 및 색인수록
700 1 ▼a 김연진 ▼0 AUTH(211009)124518
700 1 ▼a 한성심 ▼0 AUTH(211009)125161
700 1 ▼a 서지영 ▼0 AUTH(211009)52814
700 1 ▼a 김현자 ▼0 AUTH(211009)133132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7d Accession No. 1114130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7d Accession No. 1114130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연진(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이학 박사, 아동복지 전공) 현, 상지 영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저서ㆍ역서 및 논문] 유아교육개론(공저, 2004, 창지사) 아동복지(공저, 2008, 동문사) 유아건강교육(공저, 2008, 동문사) 특수아동교육(공저, 2008, 동문사) 부모교육(공저, 2009, 학지사)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 및 교사변인에 관한 연구(논문) 외 다수

한성심(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졸업(학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우너 아동복지학과 졸업(석사, 박사) 현, 그리스도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 보육교사교육원장

서지영(지은이)

동원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

김현자(지은이)

두원공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문학박사 보육과정(2019, 공저) 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01 보육의 이해 = 13
 1. 보육의 개념 = 15
  1) 보육 패러다임의 변화 = 15
  2) 보육의 의미 = 17
 2. 보육의 필요성 = 18
  1) 사회변화와 보육 욕구 = 18
  2) 아동권리와 보육 욕구 = 20
 3. 보육의 의의 = 21
  1) 아동의 차원 = 21
  2) 부모 및 가족의 차원 = 22
  3) 사회적ㆍ국가적 차원 = 22
 4. 보육의 유형 = 23
  1) 설립 및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 23
  2) 보육장소에 따른 유형 = 25
  3) 보육대상에 따른 유형 = 26
  4) 운영시간에 따른 유형 = 27
 5. 보육시설과 유치원의 비교 = 28
  1) 우리 나라 보육시설과 유치원의 이원화 체제 = 28
  2) 보육과 유아교육의 인식 차이 = 30
  3) 보육개념의 본질적 접근 = 30
CHAPTER 02 보육사업의 역사 = 33
 1. 우리 나라 보육사업의 역사 = 35
  1) 법 제정 이전 시기 : 1960년 이전 시기 = 35
  2) 아동복리법 시기 : 1961년~1982년 = 35
  3) 유아교육진흥법 시기 : 1982년~1990년 = 37
  4) 아동복지법 시기 : 1989년~1990년 = 39
  5) 영유아보육법 제1시기 : 1991년~2003년 = 40
  6) 영유아보육법 제2시기 : 2004년~현재 = 41
 2. 외국 보육사업의 역사 = 46
  1) 미국 = 46
  2) 영국 = 49
  3) 스웨덴 = 52
  4) 독일 = 55
  5) 일본 = 57
  6) 북한 = 59
CHAPTER 03 아동발달과 보육경험 = 65
 1. 아동의 발달특성 = 67
  1) 영아기의 발달특성 = 67
  2) 유아기의 발달특성 = 70
  3) 아동기의 발달특성 = 72
 2. 보육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 74
  1) 보육시설에서의 보육경험 내용 = 74
  2) 아동의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 76
  3) 발달시기별 보육경험의 중요성 = 79
CHAPTER 04 아동발달과 사회체계 = 83
 1. 생태학적 접근과 아동보육 = 85
  1) 동물행동학적 관점 = 85
  2) 생태학적 관점 = 85
  3) 생태학적 관점과 아동보육의 실천적 적용 = 88
 2. 생태학적 관점에서 아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 = 88
  1) 가족환경 = 89
  2) 또래관계 = 93
  3) 학교환경 = 95
  4) 대중매체의 영향 = 96
  5) 사회 문화환경 = 98
CHAPTER 05 표준보육과정 = 99
 1. 표준보육과정의 개발 배경 = 111
 2. 표준보육과정의 체계 = 102
  1)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 103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 103
 3. 표준보육과정의 내용 = 104
  1) 사회관계영역 = 104
  2) 의사소통영역 = 105
  3) 신체ㆍ운동영역 = 107
  4) 예술경험영역 = 107
  5) 자연과학탐구영역 = 108
  6) 기본생활영역 = 109
CHAPTER 06 아동의 건강ㆍ영양ㆍ안전 = 111
 1. 아동의 건강 = 113
  1) 아동 건강의 개념 = 113
  2) 아동 건강교육의 목적 = 113
  3) 아동 건강교육의 중요성 = 114
  4) 보육시설에서의 건강관리 = 114
  5) 보육시설에서의 건강지도 = 116
 2. 아동의 영양 = 120
  1) 영양의 의의와 중요성 = 120
  2) 보육시설에서의 영양관리 = 121
  3) 보육시설에서의 위생관리 = 123
  4) 유아기 영양장애 = 124
 3. 아동의 안전 = 128
  1) 아동 안전지도의 개념 및 내용 = 128
  2) 보육시설에서의 안전관리 = 129
CHAPTER 07 보육프로그램 = 133
 1. 영아기의 보육프로그램 = 135
  1) 영아반의 일과운영 = 135
  2) 치료놀이 프로그램 = 137
  3) 신입영아 적응 프로그램 = 142
 2. 유아기의 보육프로그램 = 144
  1) 유아반의 일과운영 = 144
  2) 포괄적 보육프로그램과 아동중심 프로그램 = 146
 3. 아동기의 보육프로그램 = 155
  1) 방과 후 교실의 일과운영 = 155
  2) 프로젝트 접근법 = 156
 4. 장애유아의 통합보육 프로그램 = 160
  1) 장애유아 통합반의 일과운영 = 160
  2) 통합보육 프로그램 = 162
 5. 장애전담 보육프로그램 = 167
  1) 장애유아 전담반의 일관운영 및 보육내용 = 167
  2) 진단 및 평가 = 170
  3) 어린이집 교육과정 절차 = 170
  4) 교사의 마음가짐 = 170
CHAPTER 08 보육제도 = 173
 1. 보육정책 = 175
  1) 보육정책의 중장기 발전 방향 = 176
  2) 보육정책의 주요 추진 내용 = 177
 2. 보육관계법 = 181
  1) 영유아보육법 = 181
  2) 아동복지법 = 183
  3) 모ㆍ부자복지법 = 185
  4) 국민기초생활보장법 = 187
  5) 장애인복지법 = 187
  6) 의료급여법 = 188
  7) 특수교육진흥법 = 189
 3. 보육서비스 전달체계 = 189
  1) 보육서비스의 행정체계 = 190
  2) 보육집행체계 = 192
  3) 보육지원체계 = 192
CHAPTER 09 사회변화에 따른 보육실천의 다양화 = 197
 1. 특수 보육서비스 실천의 다양화 = 199
  1) 영아전담 보육 = 199
  2) 방과후 아동보육 = 201
  3) 야간 및 24시간 보육 = 204
  4) 장애아전담 보육 = 205
  5) 통합보육 = 206
 2. 다문화 이해와 반편견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화 = 208
  1) 다문화/반편견 보육과정의 정의 = 208
  2) 다문화/반편견 보육의 필요성 = 210
  3) 다문화/반편견 보육활동의 목적 = 211
  4) 다문화/반편견 보육의 내용 = 212
  5) 다문화 보육의 교수방법 = 214
CHAPTER 10 보육종사자 = 217
 1. 보육종사자의 정의 = 219
 2. 보육종사자의 배치와 복무 = 220
 3. 보육종사자의 역할과 자질 = 222
  1) 보육시설장 = 223
  2) 보육교사 = 224
  3) 의사와 간호사 = 227
  4) 영양사 및 취사부 = 227
  5) 특수교사 = 228
  6) 방과후 교사 = 228
  7) 그 밖의 종사자 = 229
 4. 보육종사자의 자격 = 229
  1) 보육종사자의 자격 기준 = 229
  2) 보육교사 자격관리 = 232
  3) 특수교사 및 치료사의 자격기준 = 234
 5. 보육종사자의 교육과정 = 236
  1) 보육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 = 237
  2) 보육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보육실습 기준 = 240
  3) 보수 교육과정 = 242
CHAPTER 11 보육시설 운영관리 = 249
 1. 운영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 251
  1) 운영관리의 개념 = 251
  2) 운영관리의 필요성 = 251
  3) 표준보육행정시스템 = 252
 2. 인적자원관리 = 254
  1) 원아관리 = 254
  2) 보육시설 종사자 관리 = 256
  3) 보육실습생, 자원봉사자 및 견학생 관리 = 264
  4) 학부모 관리 = 267
 3. 시설ㆍ설비관리 = 269
 4. 재정관리 = 270
  1) 재정관리 체제 = 270
  2) 예결산 편성 = 272
  3) 연금 및 보험관리 = 276
 5. 문서관리 = 279
  1) 문서작성과 관리 = 279
  2) 보육시설에서 갖추어야 할 문서목록 = 280
CHAPTER 12 보육평가 = 281
 1. 아동 및 교사 평가 = 283
  1) 아동 평가 = 283
  2) 교사 평가 = 287
  3) 보육과정 및 프로그램 평가 = 288
  4) 보육시설 환경 평가 = 289
  5) 평가 결과의 적용 및 활용 = 291
 2.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 292
  1)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도입 배경 = 292
  2) 보육의 질과 평가 준거 = 293
  3)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 296
  4)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의 구성 = 298
  5) 보육시설 평가인증 절차 = 303
참고 문헌 = 311
찾아 보기 = 32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