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45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347603 | |
005 | 20100806011537 | |
007 | ta | |
008 | 020523s2001 ulka b 001c kor | |
020 | ▼a 8975484858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07970504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8 ▼d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2 |
090 | ▼a 375 ▼b 2006i | |
100 | 1 | ▼a 김경배 |
245 | 1 0 | ▼a 교과교육론 / ▼d 김경배 ; ▼e 김재건 ; ▼e 이홍숙 공저.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06. | |
300 | ▼a 334 p. : ▼b 삽도 ; ▼c 24 cm. | |
500 | ▼a 부록으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수록 | |
500 | ▼a 찾아보기: p. 331-334 | |
504 | ▼a 참고문헌: p. 327-330 | |
700 | 1 | ▼a 김재건 |
700 | 1 | ▼a 이홍숙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375 2006i | 등록번호 1310270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목차
목차 CHAPTER 1. 교과교육이란 무엇인가 = 11 제1절 학교와 교과교육 = 13 제2절 교과교육학의 본질 = 16 1. 교과교육학의 발달 = 16 2. 교과교육학의 성격 = 18 3. 교과교육학과 일반교육학 = 22 제3절 교과교육학의 탐구내용 = 25 1. 교과에 대한 이해 = 26 2. 교과에 대한 정당화 = 32 3. 교과의 운영에 관한 원리 = 32 CHAPTER 2. 교과란 무엇인가 = 35 제1절 교과의 본질 = 37 1. 교과의 정의 = 37 2. 교과의 특성 = 39 3. 교과와 지식 = 45 제2절 교과의 분류 = 54 1. 교과 분류의 기준 = 55 2. 우리 나라의 교과 분류 = 56 3. 학문적 특성에 의한 분류 = 58 제3절 교과의 발달 = 62 1. 서양에서의 교과의 발달 = 63 2. 우리 나라의 교과 변천 = 67 CHAPTER 3. 교과교육의 목적 = 77 제1절 개별 교과교육의 목적 = 80 제2절 교과교육의 정당화 = 82 1. 외재적 정당화 = 83 2. 내재적 정당화 = 84 제3절 교육과정 이론들의 교과교육 목적 = 86 1.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목적 = 87 2.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목적 = 89 3.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목적 = 96 4. 통합 교육과정의 목적 = 106 CHAPTER 4. 교과내용의 선정 = 111 제1절 내용선정의 기준 = 113 1. 내용선정의 일반원리 = 113 2. 내재적 기준과 외재적 기준 = 117 3.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유용성 = 119 제2절 유용한 지식 = 121 1. 생활에 유용한 지식 = 121 2. 지적 능력의 개발에 유용한 지식 = 125 3. 교육과정 사회학자의 지식 = 137 제3절 내재적 가치를 지니는 지식 = 140 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 141 2. 피터즈와 허스트의 지식의 형식 = 144 CHAPTER 5. 교과내용의 조직 = 145 제1절 조직의 일반 원리 = 147 1. 계속성 = 148 2. 계열성 = 149 3. 통합성 = 151 4. 수준별 조직 = 152 제2절 논리적 조직과 심리적 조직 = 155 1. 논리적 조직 = 157 2. 심리적 조직 = 161 제3절 교과의 통합적 조직 = 166 1. 통합적 조직의 의미 = 166 2. 통합적 조직의 역사적 배경 = 168 3. 통합적 조직의 유형 = 169 제4절 단원의 구성 = 175 1. 단원의 개념 = 175 2. 단원의 유형 = 176 CHAPTER 6. 교과교육에서의 교수-학습방법 = 185 제1절 교과와 교수-학습방법과의 관계 = 187 제2절 탐구식 수업 = 190 1. 교과교육 목적으로서의 탐구의 태도 = 191 2. 브루너의 발견학습 = 194 3. 마시알라스의 사회과 탐구수업 = 198 4. 구안학습 = 201 5. 문제해결학습 = 203 제3절 토의학습 = 206 1. 토의학습의 성격 = 206 2. 토의학습의 종류 = 208 3. 토의의 절차 = 213 제4절 역할놀이와 시뮬레이션 = 213 1. 역할놀이 = 214 2. 시뮬레이션 = 215 제5절 시범 = 217 제6절 설명식 수업 = 218 1. 강의법 = 218 2. 의사소통의 과정과 피드백 = 221 3. 오수벨의 선행조직자 = 227 4. 강의계획 = 231 CHAPTER 7. 교과교육의 평가 = 235 제1절 평가의 기능 = 237 제2절 평가의 종류 = 239 1.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 239 2. 측정과 평가 = 245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 247 제3절 평가를 위한 수업목표 진술 = 249 1. 관찰 가능한 행동에 대한 평가 = 249 2. 숨겨진 행동에 대한 평가 = 254 3. 이원분류표의 작성 = 255 제4절 평가문항의 제작 = 257 1. 평가문항의 조건 = 258 2. 문항의 유형과 제작 = 260 제5절 수행평가 = 266 1. 수행평가의 개념 = 268 2. 수행평가의 특성 = 270 3. 수행평가의 종류 = 273 제6절 평가도구의 조건 = 276 1. 타당도 = 276 2. 신뢰도 = 277 3. 객관도 = 278 부록 = 281 참고문헌 = 327 찾아보기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