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08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346424 | |
005 | 20100806125429 | |
007 | ta | |
008 | 031113s1999 ulka b AT 000c kor | |
020 | ▼a 8972071080 ▼g 93340 : ▼c \25,000 | |
024 | 3 | ▼a 9788972071082 |
035 | ▼a (KERIS)BIB000007956811 | |
040 | ▼a 211032 ▼c 211032 ▼d 248003 ▼d 244002 | |
056 | ▼a 346.11 ▼2 4 | |
082 | 0 4 | ▼a 324.209519 ▼2 22 |
090 | ▼a 324.20953 ▼b 1999 | |
100 | 1 | ▼a 김민하. |
245 | 1 0 | ▼a 韓國革新正黨論 / ▼d 金玟河 著. |
260 | ▼a 서울 : ▼b 中央大學校 出版部, ▼c 1999. | |
300 | ▼a 906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권말부록 : 한국정당계보...외 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p. 863-906 | |
653 | ▼a 정당. ▼a 한국정당론.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20953 1999 | Accession No. 1512313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의 혁신계 정당 및 혁신 정치세력들의 분화와 발전, 좌절의 역사를 이해하고 특징과 과제 등을 살핀 책. 혁신정당이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원인을 정당 외적 요인인 정치환경과 정당 내적 요인인 조직, 이념, 정강, 정책 등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1부는 혁신정당 운동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 배경과 외국 사례, 2부는 시기별 주요 혁신계 정당의 발전과정, 3부는 민주화시대에 이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전개되는 신혁신주의와 이들의 정치참여를 살폈다. 외국과 한국의 혁신정당 정강·정책을 덧붙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革新政黨運動의 理解 제1장 近代社會에서 政黨政治의 發展 = 17 제1절 정당성립의 제이론 = 19 제2절 정당과 계급, 이데올로기 = 28 제2장 革新理念과 革新政黨運動 = 48 제1절 보수주의와 혁신주의의 역사 = 48 제2절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적 발전 = 55 1. 사회주의의 일반적 유형 = 55 1) 초기 사회주의 = 56 2) 인도적 사회주의 = 61 3) 마르크스적 사회주의 = 62 2. 사회민주주의의 등장과 발전 = 64 1) 사회민주주의 의미 = 64 2) 프랑크푸르트선언과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69 제3절 주요 사회민주주의 정당사 = 75 1. 페이비언주의와 영국노동당 = 75 2. 독일의 사회민주당 = 80 3. 스칸디나비아 사회민주주의 정당 = 85 4. 일본 사회당 = 91 5. 최근 유럽 사민당의 동향 = 113 제2부 韓國革新政黨運動의 胎動과 發展 제1장 韓國革新政黨의 理解 = 123 제1절 보수와 혁신의 한국적 의미 = 123 제2절 한국정당의 기원 = 142 1. 붕당과 붕당정치 = 142 1) 조선조 붕당정치발생 배경 = 143 2) 붕당정치의 성격과 당쟁 = 151 제3절 근대정당의 등장과 발전 = 162 1. 정당정치의 발전 = 163 2. 혁신정당의 의미 = 170 제2장 獨立運動과 革新思想의 接木 = 176 제1절 정당운동의 태동 = 176 제2절 민족독립운동과 사회주의사상의 접목 = 178 제3절 사회주의세력의 발전 = 183 1. 초기 국내 사회주의운동 = 184 1) 사회주의단체의 형성 = 184 2) 서울청년회 = 187 3) 북풍회 = 190 4) 화요회 = 192 2. 조선공산당의 창당 = 198 1) 조선공산당의 결성과정 = 198 2) 민족협동전선과 신간회 = 202 3) 조선공산당의 쇠퇴 = 206 3. 국외 사회주의운동사 = 208 1) 조선사회당 = 209 2) 상해파 및 이르쿠츠크파 공산당 = 210 3) 독립운동진영의 이념적 분화와 통합 = 216 4) 민족국가 건설의 방향 = 223 제3장 解放과 革新政治勢力의 形成 = 231 제1절 미군정과 정치세력의 갈등 = 231 1. 미군의 점령정책과 정치갈등 구조 = 231 2. 건국준비위원회의 결성과 성격 = 241 제2절 신탁통치정국과 정치세력의 분화 = 257 1. 반탁운동과 주도권 갈등 = 257 2. 반탁세력과 결정지지세력의 대립 = 264 3. 좌우합작위원회와 조직과 이념 = 291 제3절 중간과 정당의 조직과 이념 = 291 1. 조선인민당 = 291 2. 사회노동당 = 296 3. 근로인민당 = 302 제4절 주요 혁신계 정치인의 사상과 활동 = 306 1. 여운형의 진보적 민주주의 = 306 2. 조소앙과 삼균주의 = 316 3. 백남운의 신민주주의 = 323 4.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 338 5. 김원봉의 민족적 사회주의 = 353 제4장 第1共和國과 革新政黨運動 = 364 제1절 혁신정당운동의 정치·사회적 배경 = 364 1. 제1공화국 시대의 정당정치 = 364 2. 국내외 정치상황 = 369 3. 사회·경제적 상황 = 375 제2절 진보당의 결성과 주요 활동 = 381 1. 진보당의 결성과정 = 381 1) 호헌동지회 = 381 2) 혁신대동운동 = 383 3) 진보당의 결성 = 385 2. 진보당의 조직과 강령·정책 = 386 1) 진보당의 조직 = 386 2) 이념과 정책 = 390 3) 주요활동 = 400 3. 조봉암의 정치노선과 진보당사건 = 402 1) 해방전 활동 = 402 2) 해방정국과 조봉암 = 403 3) 의정활동 = 406 4) 진보당 사건 = 409 제3절 노동당과 민주혁신당 = 411 1. 노동당(민족주의민주사회당) = 412 2. 민주혁신당의 기본노선과 정책 = 415 제4절 평가 = 421 제5장 第2共和國時代의 革新政黨運動 = 425 제1절 보수와 혁신정치의 실험 = 425 제2절 제2공화국시대의 이해 = 427 1. 4.19 혁명전후의 정치상황 = 427 2. 사회·경제적 상황 = 431 1) 노동·농민운동 = 433 2) 학생운동 = 437 제3절 혁신정치세력의 결집과 활동 = 438 1. 정치상황 = 438 2. 정세인식 = 441 3. 혁신정당의 이념적 정향 = 443 제4절 혁신계 정당의 결성과 주요 활동 = 447 1. 정치세력의 결집과정 = 447 2. 7.29 총선과 혁신계의 분열 = 453 제5절 혁신정당의 재정비와 대중투쟁 = 460 1. 조직정비와 재분화 = 460 2. 혁신정당의 조직과 정강·정책 = 467 1) 사회대중당 = 467 2) 혁신동지총연맹 = 469 3) 통일사회당 = 470 3. 혁신정당의 통일운동 = 473 제6절 평가 = 477 제3부 新革新主義의 登場과 展望 제1장 革新政治政堂運動의 沈滯 = 483 1. 대중당 = 484 2. 통일사회당 = 491 제2절 유신체제의 붕괴와 정치사회의 변화 = 494 1. 정치적 측면 = 494 2. 사회·경제적 측면 = 495 제3절 제5공화국에서의 혁신정당 활동 = 497 1. 혁신정당의 부활 = 497 2. 혁신정당의 이념과 정책 = 499 1) 민주사회당 = 501 2) 사회당 = 504 3) 신정사회당 = 504 3. 혁신정당의 활동 = 505 제2장 民衆運動의 成長과 革新勢力의 分化 = 508 제1절 신혁신주의의 등장과 발전 = 508 1. 체제논쟁의 배경 = 508 2. 민중운동의 이념과 내용 = 513 제2절 민중운동세력의 구성 = 516 1. 민중세력의 활동과 분화 = 516 2. 신혁신주의의 가능성 = 524 제3장 新革新主義 勢力의 政治參與 = 526 제1절 민중운동세력의 정치세력화 = 526 제2절 민중운동세력의 정당결성과 성격 = 530 1. 한겨레민주당 = 530 1) 강령과 정책 = 530 2) 조직과 구성 = 532 2. 민중의 당 = 534 1) 강령과 정책 = 535 2) 조직과 구성 = 536 3. 평민당 입당파 = 537 제3절 4.26 총선과 혁신정당 = 539 제4장 民主化時代의 革新政黨 = 544 제1절 재야세력의 합법정당운동 = 544 1. 합법정당운동의 성격과 방향 = 548 1) 전략적 단위로서의 합법정당 = 548 2) 전술적 단위로서의 합법정당 = 548 3) 국민적 대중정당 = 549 4) 계급연합정당 = 549 2. 합법적 노동자정당 추진운동 = 550 제2절 민중당의 정책과 이념 = 552 1. 민중당 창당과정 = 552 2. 민중당의 조직과 활동 = 560 1) 광역의회선거에서의 활동 = 561 2) 한국노동당추진세력과 민중당의 통합 = 565 3) 14대총선과 민중당 = 567 제5장 韓國 革新政黨의 統一政策 = 573 1. 혁신계 정당의 기본적 통일관 = 573 2. 혁신계 정당의 통일정책 = 577 3. 통일정책 평가 = 593 제6장 맺음말 : 평가와 전망 = 597 1. 평화통일의 구현 = 604 2. 사회·경제적 형평의 실현 = 605 3. 정치적 민주화의 추구 = 607 부록 = 615 한국정당계보 = 616 한국혁신정당의 정강·정책 = 625 외국의 주요 혁신정당의 정강·정책 = 713 사회주의인터내셔널 현황 = 807 참고문헌 = 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