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4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344132 | |
005 | 20100806121151 | |
007 | ta | |
008 | 070424s2007 ulka b 001a kor | |
020 | ▼a 9788971895313 ▼g 93320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336 ▼2 22 |
090 | ▼a 336 ▼b 2007a | |
100 | 1 | ▼a 나성린 ▼0 AUTH(211009)117458 |
245 | 1 0 | ▼a 공공경제학 = ▼x Public economics / ▼d 나성린 , ▼e 전영섭. |
250 | ▼a 제3판 | |
260 | ▼a 서울 : ▼b 博英社 , ▼c 2007. | |
300 | ▼a xvii, 451 p. : ▼b 삽도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전영섭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6 2007a | Accession No. 1114143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6 2007a | Accession No. 1114143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개정판 발행 이후로도 우리나라의 재정여건은 많이 변했다. 무엇보다 참여정부가 들어선 이후 국가부채가 2배 이상 늘어났고 사회복지제도가 많이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조세제도와 예산제도도 대폭 개편되었다. 그리고 종합부동산세가 도입되면서 지방세인 재산세가 대폭 개편되었고, 지방양여금이 폐지되고 균형발전특별회계가 도입되면서 지방재정제도도 많이 바뀌었다.
이 밖에도 개정판의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공공경제학의 흐름이 완전경쟁시장분석에서 불완전경쟁시장분석으로, 부분균형분석에서 일반균형분석으로 바뀌고 있다. 그리고 불완전정보를 상정하여 게임이론을 사용하는 분석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그동안 학부과정에서 어렵다고 느껴졌던 최적조세이론도 몇 년 전 행정고시에서 문제가 출제된 이후 학부 재정학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쳐야할 주제로 되었다. 그리고 사회복지제도가 강화되면서 사회복지의 경제적 이론을 더 깊이 다루어야 할 필요도 생겼고 국가부채가 급증하면서 공채이론을 다시 공공경제학에서 가르쳐야 할 필요가 생겼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나성린(지은이)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경제학과 졸업 영국 University of Essex 경제학석사 영국 University of Oxford 경제학박사 영국 University of Wales 경제학과 연구 조교수 영국 University of Essex 경제학과 조교수 미국 Washington University 경제학과 초빙 부교수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초빙연구위원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회장 행정고등고시, 외무고등고시, 입법고등고시 위원 제18, 19대 국회의원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전영섭(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석사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경제학박사 미국 남일리노이 주립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경제학과 초빙교수 행정고등고시, 입법고등고시 위원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한국자원경제학회 회장

Table of Contents
제1편 공공경제학의 기초 제1장 공공경제학의 소개 제2장 정부개입의 필요성 제3장 소득분배이론 제2편 정부지출이론 제4장 공공재이론 제5장 외부성과 환경정책 제6장 공공선택이론 제7장 공기업과 공공요금의 결정 제8장 비용-편익분석 제9장 예산제도 제3편 조세이론 제10장 조세의 기본원리 제11장 조세와 소득분배 제12장 조세와 효율성 제13장 최적조세이론 제14장 개별조세이론 제15장 우리나라의 조세제도 제4편 사회보장제도 제16장 사회보장제도의 이론 제17장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제5편 지방재정 제18장 지방재정의 이론 제19장 우리나라의 지방재정 국문색인 영문색인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