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
역자서문 = 3
제1장 대조언어학이란
들어가는 말 = 11
(1) 대조언어학과 인접 분야 = 13
(2) 이론언어학인가 응용언어학인가 = 14
1. 방법론에 대하여 = 17
(1) 등가와 비교 제3항(tertium comparationis) = 17
(2) 간섭과 오용 분석 = 21
1) 치환 = 23
2) 과도 구별ㆍ구별의 부족 = 25
3) 모어 규칙의 과도(과소) 적용 = 26
4) 과도 규칙화 = 27
5) 과도 교정 = 29
(3) 오용 분석 = 30
제2장 음성ㆍ음운
1. 닫힌 체계 = 33
2. 대조의 순서 = 34
3. 음운 체계간의 대조 = 35
(1) 두 체계가 대응하는 경우 = 37
(2) 두 체계가 잘 대응하지 않는 경우 = 41
4. 음 연쇄 분포에 대한 대조 = 45
(1) 음절 구조 = 46
(2) 개음절 구조 = 47
(3) 폐음절 구조 = 49
(4) 모음 부분 = 50
(5) 음운 연쇄의 특징 = 52
5. 초분절 요소 = 54
제3장 문법
들어가는 말 = 57
1. 형태론 = 58
(1) 성(gender) = 59
(2) 수(number) = 60
(3) 격(case) = 61
(4) 인칭(person) = 63
(5) 시제(tense) = 66
(6) 상(aspect) = 69
(7) 서법(mood) = 73
(8) 태(voice) = 75
2. 통사론 = 86
(1) 문장 구조 모델 = 86
(2) 의존문법ㆍ결합가이론ㆍ격문법 = 90
(3) 명사구ㆍ전치사구 = 94
(4) 동사의 유형 = 98
(5) 동사의 발상 = 102
(6) 동사구 표현의 차이 = 104
(7) 모두스(modus) = 109
(8) 어순 = 110
제4장 표현
1. 상황 중심의 표현과 인간 중심의 표현 = 119
2. 인간 전체와 인간의 부분 = 127
3. 비생물 주어 타동 표현 = 130
4.「하다」와「되다」 = 142
5. 추상적 표현과 구체적 표현 = 150
6. 명사 표현과 동사 표현 = 157
7. 동작의 실제 = 164
8. 신정보와 구정보 = 170
9. 지시 표현 = 174
10. 주고받기(授受) 표현 = 182
11. 문장 연결법 = 186
제5장 어휘
1. 어휘 대조 = 195
2. 어휘 체계 = 196
3. 의미 구조 = 198
(1) 단어장 이론(Wortfeldtheorie) = 198
(2) 구조적 의미론 = 202
4. 대조 분석 = 206
(1) 변별적 자질 = 207
(2) 변별적 자질의 유형 = 213
제6장 언어행동
1. 언어행동이란 = 219
2. 언어행동 모델 = 223
(1) 하임즈의 모델 = 223
(2) 南不二男의 모델 = 228
3. 언어행동 모델과 대조 연구 = 231
4. 언어행동의 대조 = 232
제7장 연구 동향
1. 미국 = 239
2. 유럽 = 240
3. 일본 = 245
담당한 부분 및 저자 약력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