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대조언어학 / 개정판

대조언어학 / 개정판 (9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石綿敏雄 高田誠, 1942- 오미영 吳美寧, 역
서명 / 저자사항
대조언어학 / 石綿敏雄, 高田誠 저 ; 오미영 역.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제이앤씨,   2007.  
형태사항
250 p. ; 23 cm.
원표제
對照言語學
ISBN
9788956684611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59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343552
005 20211027141929
007 ta
008 070420s2007 ulk b 000a kor
020 ▼a 9788956684611 ▼g 9373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410 ▼2 22
090 ▼a 410 ▼b 2007a
100 1 ▼a 石綿敏雄 ▼0 AUTH(211009)119889
245 1 0 ▼a 대조언어학 / ▼d 石綿敏雄, ▼e 高田誠 저 ; ▼e 오미영 역.
246 1 9 ▼a 對照言語學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제이앤씨, ▼c 2007.
300 ▼a 250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高田誠, ▼d 1942- ▼0 AUTH(211009)15505
700 1 ▼a 오미영 ▼g 吳美寧, ▼e▼0 AUTH(211009)96583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7a 등록번호 11141328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8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7a 등록번호 1114132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석금민웅(지은이)

<대조 언어학>

오미영(옮긴이)

<대조 언어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1
역자서문 = 3
제1장 대조언어학이란
 들어가는 말 = 11
  (1) 대조언어학과 인접 분야 = 13
  (2) 이론언어학인가 응용언어학인가 = 14
 1. 방법론에 대하여 = 17
  (1) 등가와 비교 제3항(tertium comparationis) = 17
  (2) 간섭과 오용 분석 = 21
   1) 치환 = 23
   2) 과도 구별ㆍ구별의 부족 = 25
   3) 모어 규칙의 과도(과소) 적용 = 26
   4) 과도 규칙화 = 27
   5) 과도 교정 = 29
  (3) 오용 분석 = 30
제2장 음성ㆍ음운
 1. 닫힌 체계 = 33
 2. 대조의 순서 = 34
 3. 음운 체계간의 대조 = 35
  (1) 두 체계가 대응하는 경우 = 37
  (2) 두 체계가 잘 대응하지 않는 경우 = 41
 4. 음 연쇄 분포에 대한 대조 = 45
  (1) 음절 구조 = 46
  (2) 개음절 구조 = 47
  (3) 폐음절 구조 = 49
  (4) 모음 부분 = 50
  (5) 음운 연쇄의 특징 = 52
 5. 초분절 요소 = 54
제3장 문법
 들어가는 말 = 57
 1. 형태론 = 58
  (1) 성(gender) = 59
  (2) 수(number) = 60
  (3) 격(case) = 61
  (4) 인칭(person) = 63
  (5) 시제(tense) = 66
  (6) 상(aspect) = 69
  (7) 서법(mood) = 73
  (8) 태(voice) = 75
 2. 통사론 = 86
  (1) 문장 구조 모델 = 86
  (2) 의존문법ㆍ결합가이론ㆍ격문법 = 90
  (3) 명사구ㆍ전치사구 = 94
  (4) 동사의 유형 = 98
  (5) 동사의 발상 = 102
  (6) 동사구 표현의 차이 = 104
  (7) 모두스(modus) = 109
  (8) 어순 = 110
제4장 표현
 1. 상황 중심의 표현과 인간 중심의 표현 = 119
 2. 인간 전체와 인간의 부분 = 127
 3. 비생물 주어 타동 표현 = 130
 4.「하다」와「되다」 = 142
 5. 추상적 표현과 구체적 표현 = 150
 6. 명사 표현과 동사 표현 = 157
 7. 동작의 실제 = 164
 8. 신정보와 구정보 = 170
 9. 지시 표현 = 174
 10. 주고받기(授受) 표현 = 182
 11. 문장 연결법 = 186
제5장 어휘
 1. 어휘 대조 = 195
 2. 어휘 체계 = 196
 3. 의미 구조 = 198
  (1) 단어장 이론(Wortfeldtheorie) = 198
  (2) 구조적 의미론 = 202
 4. 대조 분석 = 206
  (1) 변별적 자질 = 207
  (2) 변별적 자질의 유형 = 213
제6장 언어행동
 1. 언어행동이란 = 219
 2. 언어행동 모델 = 223
  (1) 하임즈의 모델 = 223
  (2) 南不二男의 모델 = 228
 3. 언어행동 모델과 대조 연구 = 231
 4. 언어행동의 대조 = 232
제7장 연구 동향
 1. 미국 = 239
 2. 유럽 = 240
 3. 일본 = 245
담당한 부분 및 저자 약력 = 25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