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터넷시대의) 미국 인사행정론

(인터넷시대의) 미국 인사행정론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일재
서명 / 저자사항
(인터넷시대의) 미국 인사행정론 / 김일재 저.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03.  
형태사항
706 p. : 삽도 ; 23 cm.
ISBN
8930309003:
일반주기
부록: 연방공무원제도 연구에 참고되는 주요 웹사이트.  
000 00726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342855
005 20100805114757
007 ta
008 030715s2003 ulka 000c kor
020 ▼a 8930309003: ▼g 93300 : ▼c \35,000
024 3 ▼a 9788930309004
035 ▼a (KERIS)BIB000008839579
040 ▼a 211040 ▼c 211040 ▼d 211048 ▼d 244002
082 0 4 ▼a 352.60973 ▼2 22
090 ▼a 352.60973 ▼b 2003
100 1 ▼a 김일재
245 2 0 ▼a (인터넷시대의) 미국 인사행정론 / ▼d 김일재 저.
260 ▼a 서울 : ▼b 집문당, ▼c 2003.
300 ▼a 706 p. : ▼b 삽도 ; ▼c 23 cm.
500 ▼a 부록: 연방공무원제도 연구에 참고되는 주요 웹사이트.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0973 2003 등록번호 1512297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0973 2003 등록번호 1512715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9회(2003)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오늘날 거대한 미국을 움직이는 파워엘리트의 축은 연방공무원들이라 할 수 있다. 지금 미국은 성과 및 실적지향형의 정부목표에 따라 인사행정도 꾸준히 변화하고 있다. 이 책은 미국 연방공무원의 채용, 능력개발, 복무관리, 퇴직 등 공무원의 '탄생'에서 '사망'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면서 정부의 실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사제도가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한국 행정제도 개선 시 참고가 될 수 있도록 미국 공무원제도의 운영현황뿐 아니라 문제점에 대해서도 균형 있는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다.
미국 인사행정의 분권화·자율화 경향, 장기적인 치밀한 계획 없이 추진된 인력감축으로 겪게 된 위기와 그 극복과정, 인사청문회, 정권 인수·인계 절차, 9.11 테러사건과 같은 대형재난이 발생했을 때의 대응과정 등 시사성 있는 인사행정 내용도 생동감 있게 가미되어 있다.
아울러, 인터넷 시대에 부응하여 미국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자인사행정의 내용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는 각 부처에서 생산하는 많은 중요한 자료들을 대부분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해 최신자료를 체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방법과 함께 독자들이 원어로 된 자료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풍부한 웹사이트들을 싣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일재(지은이)

<인터넷시대의 미국 인사행정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서론
 e-Gov 시대의 미국 공무원제도 = 21
 제1절 서론 = 21
 제2절 인사행정 전산화의 기본 구도 = 24
 제3절 인사행정 전산화의 구체적인 내용 = 25
 제4절 IT전문가의 공직유치를 위한 노력 = 35
제2편 총론
 제1장 개혁, 위기, 그리고 극복 = 39
  제1절 서설 = 39
  제2절 1990년대의 정부개혁 = 39
  제3절 21세기의 핫이슈(hot issue) : 인력관리 위기와 대응 = 45
 제2장 인력관리의 추세 = 55
  제1절 정부행정관리의 이론적 동향 = 55
  제2절 전략적 인력관리론(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 64
  제3절 미래 인사행정의 방향 = 68
 제3장 미국 연방공무원제도 연구방법론 = 75
  제1절 개요 = 75
  제2절 연방공무원제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접근법 = 76
  제3절 연구관련 참고사항 = 85
제3편 연방공무원제도의 기본구조
 제1장 연방공무원의 종류 및 직급 = 95
  제1절 연방공무원의 종류 = 95
  제2절 공무원의 직급 구분 = 102
  제3절 한국과 미국의 공무원 직위 비교 = 104
  제4절 외무공무원 = 105
 제2장 고위공무원단제도(Senior Executive Service) = 109
  제1절 설립배경 및 목적 = 109
  제2절 범위 및 구조 = 111
  제3절 고위공무원단의 임명방법 = 112
  제4절 고위공무원단의 규모 및 부처별 인원할당 = 114
  제5절 충원절차 = 117
  제6절 전보 및 전출(Reassignments and Transfers) = 124
  제7절 파견(Details) = 124
  제8절 능력개발(Executive Development) = 125
  제9절 보수 = 126
  제10절 기타 혜택 = 130
  제11절 실적평가 = 131
  제12절 자격재심사(Recertification) = 132
  제13절 해직 = 132
  제14절 징계처분 = 134
  제15절 고위공무원단과 관련된 이슈 = 134
 제3장 정무직 공무원과 인사청문회 = 143
  제1절 개요 = 143
  제2절 정무직 공무원의 종류, 규모 및 감축문제 = 144
  제3절 상원의 인준을 요하는 정무직 공무원 임명절차 = 149
  제4절 인사청문회 절차의 문제점 = 160
  제5절 정무직 공무원 임명절차 개선논의 = 162
  제6절 정무직 공무원의 경력직으로의 신분전환 = 163
 제4장 직위분류제도(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 169
  제1절 개요 = 169
  제2절 인사관리처와 각 부처의 역할 = 171
  제3절 직위분류기준 = 172
  제4절 직위기술(position description or job description) = 173
  제5절 보수체계(pay system)의 결정 = 175
  제6절 직렬(series) 및 직급(grade)의 결정 = 176
  제7절 직위분류에 대한 소청제기 = 177
  제8절 직위분류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 = 178
 제5장 공무원 인사업무 관련기관 = 183
  제1절 행정부 = 183
  제2절 입법부 = 189
제4편 충원제도
 제1장 채용제도(Employment System) = 195
  제1절 개요 = 195
  제2절 분권화된 채용체제에서 인사관리처와 각 부처의 역할 = 196
  제3절 채용자격요건 = 199
  제4절 경쟁적 채용 = 200
  제5절 특별채용(비경쟁적 채용) = 215
  제6절 제대군인 우대(Veterans' Preference) = 226
  제7절 채용제도상의 문제점과 개선의 노력 = 231
  제8절 기타 채용제도관련 참고사항 = 234
 제2장 승진(Promotion) = 241
  제1절 개요 = 241
  제2절 승진자격요건 = 243
  제3절 승진심사절차 = 245
  제4절 공개경쟁 없이 승진임용되는 경우 = 248
  제5절 승진심사관련 고충제기 = 248
  제6절 승진제도 운영과 관련된 쟁점 = 249
 제3장 기관간 전보(Transfer) = 251
  제1절 개요 = 251
  제2절 기관간 전보의 유형 = 252
 제4장 공석시 직무대리(Acting Officer) = 255
  제1절 개요 = 255
  제2절 새로운 공석법 제정의 배경 = 256
  제3절 새로운 공석법의 주요 내용 = 257
 제5장 파견제도(Details) = 261
  제1절 개요 = 261
  제2절 연방정부 내의 파견(Details within Executive Departments) = 262
  제3절 연방정부와 비연방기관간의 이동근무 = 263
  제4절 국제기구에의 파견(Details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270
제5편 능력발전
 제1장 교육훈련제도(Training) = 275
  제1절 서론 = 275
  제2절 미연방공무원 교육훈련의 특색과 새로운 시책들 = 277
  제3절 교육훈련의 종류 = 281
  제4절 교육훈련수요와 교육훈련성과의 측정 = 283
  제5절 교육훈련기관 = 287
  제6절 고위공무원 양성의 기본 구도 = 288
  제7절 참고할 만한 교육훈련제도 소개 = 291
  제8절 한국과 미국의 교육훈련제도 비교 = 296
 제2장 안식년제도(Sabbaticals) = 303
  제1절 개요 = 303
  제2절 고위공무원단에 대한 안식년 = 304
  제3절 경력개발 프로그램(Career Development Program) = 306
 제3장 제안제도(Federal Suggestion Programs) = 309
  제1절 역사적 배경 = 309
  제2절 제안제도의 운영 = 310
  제3절 정책적, 운영적 고려사항 = 312
  제4절 지속적인 판촉과 홍보 = 317
  제5절 제안자와 평가자에 대한 포상 = 319
  제6절 훈련 = 320
제6편 실적관리 및 포상제도
 제1장 근무성적평정(Performance Appraisal) = 325
  제1절 근무성적평정제도의 특색 및 발전역사 = 325
  제2절 각 부처와 인사관리처의 역할 = 328
  제3절 각 기관의 근무성적평정제도 운영체계 = 329
  제4절 평정요소와 평정기준(performance elements and standard) = 332
  제5절 평정방법 = 334
  제6절 근무성적평정제도와 관련된 주요 이슈 = 335
  제7절 근무성적평정과 다른 인사관리와의 관계 = 341
 제2장 포상제도(Incentive Awards) = 343
  제1절 개요 = 343
  제2절 포상의 종류 = 343
  제3절 포상의 제한 = 350
  제4절 포상제도 운영시 각 부처와 인사관리처(OPM)의 역할 = 351
  제5절 성공적인 포상제도 운영의 요점 = 352
  제6절 포상제도 운영상의 문제점과 최근의 주요 이슈 = 355
제7편 복무관리
 제1장 공직윤리(Ethics) = 363
  제1절 공직윤리와 정부의 생산성 = 363
  제2절 정부윤리처(Office of Government Ethics : OGE) = 364
  제3절 공직윤리의 법령적 근거 = 369
  제4절 윤리기준(Standards of Ethical Conduct)의 내용 = 371
  제5절 퇴직 후의 민간분야 취업제한 = 382
  제6절 기타 관련 규정 = 385
  제7절 의회관계자에 대한 취업제한 = 386
  제8절 공직자 재산공개(Financial Disclosure) = 387
 제2장 공무원노조(Labor Unions) = 389
  제1절 역사적 배경 = 389
  제2절 관계법령 및 적용범위 = 391
  제3절 연방공무원 노사관계 담당기관 = 392
  제4절 연방공무원 노조의 특성 = 394
  제5절 공무원의 노조활동 권리 = 396
  제6절 각 기관과 노조의 권리·의무 = 400
  제7절 협상장애물 발생시 처리기관 = 403
  제8절 노사관계 고충처리(Labor relations grievances) = 404
  제9절 행정사항 = 405
  제10절 건설적인 노사관계 수범사례 = 407
  제11절 공무원노조와 관련된 정치적 쟁점 = 411
 제3장 공무원의 정치적 행위(Political Activity) = 419
  제1절 개요 = 419
  제2절 적용범위 = 420
  제3절 당파적인 정치활동이 금지된 공무원 = 421
  제4절 일반적인 연방공무원의 정치활동 허용범위 = 423
  제5절 해치법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 = 424
  제6절 특정지역 거주자에 대한 부분적 예외 = 425
  제7절 주정부 및 지방정부 공무원에 대한 정치적 행위의 제한 = 425
 제4장 근무시간(Work Schedule) = 427
  제1절 대안적 근무시간표(Alternative Work Schedule : AWS) = 427
  제2절 유동적인 근무장소(Flexible Workplace : Telecommuting) = 433
 제5장 서머타임제(Daylight Saving Time) = 437
  제1절 개요 = 437
  제2절 역사적 배경 = 438
  제3절 일광시간 절약제에 대한 찬반론 = 440
 제6장 휴가제도(Leave) = 443
  제1절 휴가제도의 종류 = 443
  제2절 휴가제도의 특수한 프로그램 = 455
 제7장 연방공휴일(Federal Holidays) = 459
  제1절 연방공무원의 공휴일 종류 = 459
  제2절 공무원신분별 법정공휴일 적용방법 = 462
제8편 징계처분 및 권리구제
 제1장 징계처분 등 불이익처분 = 467
  제1절 불이익처분의 유형 = 467
  제2절 처분절차 = 468
  제3절 처분에 대한 구제절차 = 469
  제4절 대안적인 징계처분(Alternative discipline) = 469
 제2장 소청심사청구(Appeals) = 471
  제1절 개요 = 471
  제2절 실적제도보호위원회에 청구하는 소청 = 472
  제3절 인사관리처에 청구하는 소청 = 475
  제4절 특별변호사실에 청구하는 소청 = 476
  제5절 균등고용기회위원회에 청구하는 소청 = 477
  제6절 연방노동관계청에 제기하는 소청 = 478
 제3장 고충심사청구(Grievances) = 479
  제1절 개요 = 479
  제2절 고충제기대상 = 480
  제3절 고충심사청구절차 = 480
 제4장 대안적 분쟁해결(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 481
  제1절 개요 = 481
  제2절 대안적 분쟁해결의 유형 = 482
제9편 후생복지
 제1장 보수제도(Pay System) = 487
  제1절 보수체계 = 487
  제2절 일반보수표(General Schedule) = 489
  제3절 기본급의 인상방법 = 491
  제4절 할증급여(Premium Pay) = 492
  제5절 보수의 융통성(Pay flexibilities) = 498
  제6절 보수제도의 새로운 이슈 = 500
  제7절 기타 보수제도상의 참고사항 = 513
 제2장 상해보상(Injury Compensation) = 521
  제1절 개요 = 521
  제2절 연방공무원보상법에 의한 보상 = 522
  제3절 연방공무원퇴직제도(Federal Employees Retirement System)에 의한 혜택 = 526
 제3장 교육 및 재정지원(Education and Assistance) = 533
  제1절 개요 = 533
  제2절 긴급사태시의 지원프로그램 = 534
  제3절 학자금 지원 = 535
  제4절 퇴직공무원에 대한 지원 = 536
  제5절 재원조달 = 537
  제6절 행정인력 = 538
 제4장 출장 여비(Travel Allowances) = 539
  제1절 개요 = 539
  제2절 출장 여비 = 539
  제3절 출장카드(travel charge card) = 540
  제4절 대중교통 보조비(Public Transportation Subsidy) = 542
  제5절 연방특별숙박프로그램(Federal Premier Lodging Program : FPLP) = 543
 제5장 생명보험(Life Insurance) = 545
  제1절 개요 = 545
  제2절 생명보험의 종류 = 546
  제3절 보험의 변경 = 547
  제4절 생명보험의 종료시기 = 548
  제5절 퇴직 후의 생명보험지속 여부 = 549
  제6절 기타 = 549
 제6장 의료보험(Health Benefits Program) = 553
  제1절 개요 = 553
  제2절 자격요건 = 554
  제3절 의료보험프로그램의 유형 = 555
  제4절 의료보험료 = 557
  제5절 행정사항 = 557
 제7장 퇴직제도(Retirement System) = 559
  제1절 개요 = 559
  제2절 사회보장(Social Security) = 560
  제3절 기본연금계획(Basic Annuity Plan or Basic Benefit Plan) = 562
  제4절 절약저축계획(Thrift Savings Plan) = 571
  제5절 비자발적 퇴직과 조기 명예퇴직(Involuntary Retirement and "Early-Out" Retirement) = 578
  제6절 연방공무원퇴직제도(FERS)의 장단점 = 578
  제7절 기타 참고사항 = 580
 제8장 기타 후생복지제도 = 583
  제1절 장기요양보험(Long-term care insurance) = 583
  제2절 아동탁아비 보조 = 584
 제9장 연방공무원과 민간분야의 보수 및 후생복지 비교 = 585
  제1절 의회예산실의 분석 = 585
  제2절 고위공무원단협회의 분석 = 586
제10편 기타
 제1장 인력감축(Downsizing) = 591
  제1절 서설 = 591
  제2절 미국 공무원 인력감축의 역사적 배경 = 592
  제3절 주요 인력감축 방법 = 594
  제4절 민영화 및 민간위탁 = 604
  제5절 인력감축과 관련된 주요 이슈 = 607
 제2장 가정과 직장의 조화를 위한 정책(Family Friendly Policies) = 617
  제1절 도입배경 = 617
  제2절 가정과 직장을 조화하기 위한 인사제도 내용 = 618
  제3절 인사관리처의 포상을 통한 정책장려 = 622
 제3장 여성공무원 지원정책 = 623
  제1절 개요 = 623
  제2절 여성공무원의 고위직 참여비율 변화 = 624
  제3절 여성공무원에 대한 지원정책 = 626
  제4절 여성의 공직참여와 관련된 단체 = 630
  제5절 기타 참고사항 = 631
 제4장 자선기금모금(Charitable Fundraising) = 633
  제1절 개요 = 633
  제2절 역사적 배경 = 634
  제3절 모금기간 및 모금액 = 635
  제4절 인사관리처와 각 기관의 역할 = 636
 제5장 재난발생시의 공무원 지원 = 637
  제1절 서론 = 637
  제2절 국민적 "영웅(heroes)" 만들기 = 637
  제3절 정부기관 및 공무원관련 단체의 조치 = 639
 제6장 공무원의 자원봉사 = 645
  제1절 서론 = 645
  제2절 연방공무원의 자원봉사를 위한 제도적 지원 = 647
 제7장 정권교체기의 몇 가지 쟁점(Presidential Transition) = 649
  제1절 개요 = 649
  제2절 대통령직 인수인계 지원내용 = 650
  제3절 정권교체기의 인사운영 제한 = 655
  제4절 정권교체기에 있어서 공석인 고위직의 직무대행 = 656
  제5절 대선과 정권인수의 준비 = 662
 제8장 전직 대통령 및 의회의장에 대한 예우 = 671
  제1절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 = 671
  제2절 전직 하원의장에 대한 예우 = 676
 제9장 기타 참고할 만한 제도와 시책 = 679
  제1절 시범프로젝트(Demonstration Project) = 679
  제2절 실적형 조직(Performance Based Organizations : PBOs) = 680
  제3절 인적자원 능력모델(Human Resource Competency Model) = 681
  제4절 연방공무원제도 관련 설문조사 = 682
  제5절 대통령 인사자문위원회의 재정비 = 683
부록 연방공무원제도 연구에 참고되는 주요 웹사이트 = 68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