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1. 전기통신의 기술 = 3
1.1 통신의 개요 = 3
1.2 전신전화통신 = 5
1.2.1 모르스 전신기 = 5
1.2.2 유선전화 = 7
1.3 우리나라의 전기통신 = 8
2. 무선통신의 기술 = 10
2.1 무선통신의 개요 = 10
2.2 우리나라의 무선전화 = 12
3. 인터넷의 기술 = 14
3.1 인터넷의 개요 = 14
3.2 인터넷 기술 = 15
3.3 인터넷 서비스 = 18
3.4 우리나라의 인터넷 = 21
제2장 무선인터넷 서비스
1. 개요 = 27
2. 정보제공 서비스 = 27
2.1 문자형 서비스(단문메시지 서비스 : SMS) = 27
2.2 멀티미디어 서비스(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 MMS) = 27
2.2.1 국내 MMS 서비스 현황 = 27
2.2.2 국외 서비스 현황 = 28
2.3 방송형 서비스(DMB) = 29
2.3.1 위성DMB(S-DMB), 지상파DMB(T-DMB)의 기술적 차이 = 29
2.3.2 DMB의 도입 과정 = 30
3. 대화형 서비스 = 31
3.1 인터넷 전화 = 31
3.1.1 인터넷전화의 보급 = 31
3.1.2 인터넷전화 서비스 방식 = 32
3.2 화상전화 = 34
3.3 주문형 비디오 = 34
3.3.1 모바일 VoD의 실제적용 예 = 35
4. U-전자상거래 = 37
4.1 전자상거래 일반 = 37
4.1.1 B2B(Business to Business) = 37
4.1.2 B2C(Business to Customer) = 37
4.1.3 C2C(Customer to Customer) = 37
4.1.4 B2G(Business to Government) = 38
4.2 모바일 전자상거래(m-Commerce) = 38
4.2.1 모바일 비즈니스(m-Business) = 38
4.2.2 모바일 고객 관계 관리 = 38
4.2.3 모바일 공급망 관리 = 39
4.2.4 모바일 금융서비스 = 39
4.2.5 모바일 전사적자원 관리 = 39
4.2.6 모바일 지급결제 = 39
5. U-워크 = 40
6. 위치기반서비스(LBS) = 41
6.1 LBS의 정의 및 개념 = 41
6.2 LBS 제공을 위한 조건 = 42
6.3 LBS 구조 및 구성 = 45
6.4 LBS 응용 서비스의 종류 = 48
6.5 위치기반서비스 시장 동향 및 표준화 현황 = 56
6.5.1 국내 위치기반서비스 시장 동향 = 57
6.5.2 국외 위치기반서비스 시장 동향 = 58
6.5.3 국내외 위치기반서비스 표준화 동향 = 58
6.6 위치기반서비스의 향후 예측과 전망 = 59
6.6.1 정부 정책과 계획 = 59
6.6.2 다양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 창출 = 59
6.6.3 향후 전망 = 60
제3장 무선인터넷 네트워크
1. W-CDMA(HSDPA) = 67
1.1 네트워크 시스템 개요 = 67
1.1.1 셀룰러 통신 = 67
1.1.2 CDMA = 74
1.1.3 대역확산 통신방식 = 75
1.1.4 확산이득 = 79
1.1.6 확산코드 = 82
1.1.7 CDMA 방식의 기본 특성 = 83
1.1.8 근거리/원거리 문제 = 84
1.1.9 레이크(Rake) 수신기 = 85
1.1.10 소프트 핸드오버 = 87
1.2 무선접속기술 = 88
1.2.1 WCDMA = 88
1.2.2 동기-비동기 개념 = 89
1.2.3 통화링크 구성 = 91
1.2.3 동기방식 채녈 구조 = 92
1.3 W-CDMA 주요 기술 = 102
1.3.1 초기동기 = 102
1.3.2 가변 전송 속도 = 104
1.3.3 OVSF(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 104
1.3.4 송신 다이버시티 = 105
1.3.5 전력제어 = 107
1.3.6 핸드오버 = 107
1.3.7 압축모드(Compressed mode) = 108
1.3.8 패킷 데이터 전송 기능 = 108
1.3.9 대역 확산 코드(채널화 코드) = 110
1.4 CDMA 방식의 채널용량 = 110
1.4.1 단일셀의 채널용량(전력제어가 잘 되어 있다고 가정) = 110
1.4.2 다중셀 환경인 경우 채널용량 = 111
1.5 차세대 무선네트워크 = 113
2. 와이브로 = 116
2.1 와이브로 개요 = 116
2.1.1 와이브로의 출현 배경 = 116
2.1.2 와이브로의 개념 및 특징 = 117
2.1.3 와이브로의 일반적인 요구사항 = 118
2.2 와이브로 기술 동향 = 119
2.2.1 와이브로 관련 국제 표준화 동향 = 119
2.2.2 와이브로 관련 국내 표준화 동향 = 121
3. 와이브로 망 구성 및 구성요소 = 122
3.1 와이브로 망 구성 = 122
3.2 와이브로 망 구성요소 = 125
3.2.1 단말기 = 125
3.2.2 기지국 = 125
3.2.3 제어국 = 126
3.2.4 서버 = 127
3.3 와이브로 구성을 위한 요구사항 = 127
3.3.1 단말기 요구사항 = 127
3.3.2 기지국 요구사항 = 128
3.3.3 제어국 요청사항 = 129
3.4 와이브로 참조 모델 = 130
3.4.1 참조모델과 적용 범위 = 130
3.4.2 기본 참조 모델 = 131
4. 와이브로 전송 기술 = 134
4.1 와이브로 주파수 할당 현황 및 무선 기술 = 134
4.2 무선 전송기술 = 135
4.2.1 이중화 방식 = 135
4.2.2 다중접속 기술 = 136
4.2.3 적응변조 및 부호화 방식 = 143
4.3 매체접근제어 기술 = 145
4.3.1 MAC 부계층 소개 = 146
4.3.2 MAC 서비스의 정의 = 148
4.3.3 데이터 및 제어 평면 = 153
5. 차세대 네트워크와 와이브로 이동성 = 210
5.1 차세대 네트워크의 특징 = 210
5.2 차세대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지원 요구사항 = 213
5.2.1 NGN의 이동성 관리에 대한 고려사항 = 213
5.2.2 이동성 관리의 분류 = 216
5.2.3 이동성 관리를 위한 요구사항 = 218
5.2.4 네트워크 토폴로지 기반 이동성의 분류 = 222
5.3 와이브로에서의 이동성 지원 기술 = 223
5.3.1 네트워크 토폴로지 획득 = 223
5.3.2 핸드오버 과정 = 229
5.3.3 핸드오버의 선택적인 두 가지 모드 = 242
제4장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1.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개요 = 257
1.1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 257
1.1.1 센서 = 257
1.1.2 프로세서 = 258
1.1.3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페이스 = 259
1.1.4 보안 및 프라이버시 = 260
1.2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개념 = 260
1.2.1 기본개념 = 260
1.2.2 구조 및 응용 = 263
1.3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기술 동향 = 267
1.3.1 국내외 기술동향 = 267
1.3.2 국내외 표준화 동향 = 273
1.3.3 주파수 이용 동향 = 275
1.4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발전전망 = 276
1.4.1 응용현황 및 전망 = 276
1.4.2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 278
2. 무선 인터넷과 네트워킹 = 393
2.1 무선 인터넷 통신과 TinyOS 무선 스택 = 393
2.1.1 무선통신 기술의 특징 = 393
2.1.2 무선 스택 = 398
2.1.3 Zigbee = 402
2.1.4 IEEE 802.15.4 = 411
2.2 다중흡 메쉬 네트워킹 = 415
2.2.1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 415
2.2.2 에드혹 네트워크 = 416
2.2.3 에드혹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 420
2.2.4 무선 임베디드 네트워크의 특성 = 437
2.2.5 관련 프로토콜과 스택 = 499
제5장 무선 네트워크 보안
제1절. 무선 단말기 보안 = 457
1. 무선 단말기 구조 및 기능 = 457
1.1 단말기의 형태 = 457
1.2 단말기의 핵심 기술 = 461
2. 무선 단말기 구조 = 468
2.1 무선단말을 위한 자바플랫폼 = 468
2.2 JAM과 신개념 애플리케이션 = 488
2.3 CLDC/MIDP 패키지 = 490
2.4 콜롬부스 = 491
3. 무선 단말 보안 = 493
3.1 개요 = 493
3.2 스마트 카드 기술 = 494
3.3 스마트 카드 기반 단말 보안 기술 = 498
제2절. 무선 네트워크 보안 = 504
1. 무선 네트워크 보안 구조 = 505
1.1 무선 네트워크 중심의 정보통신 환경 변화 = 505
1.2 차세대 무선 정보보호 전망 = 510
2. AAA 구조 = 515
2.1 개요 = 515
2.2 AAA 프레임워크 = 516
2.3 RADIUS 프로토콜 = 517
2.4 TACACS+ = 520
2.5 로밍 = 521
2.6 DIAMETER 프로토콜 = 522
3. Diameter 프로토콜을 이용한 AAA 프레임워크 구현 = 524
3.1 개요 = 524
3.2 계정관리 = 527
3.3 상태관리 = 528
3.4 서비스 시나리오 = 530
4. 무선 네트워크 접속 보안 = 532
4.1 서비스 집합 확인자(SSID) = 532
4.2 IEEE802.1x = 533
4.3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535
4.4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 538
5. Mobile IP망내에서 핸드오프 = 546
5.1 개요 = 546
5.2 관련 연구 = 547
5.3 Mobile IP AAA 망 구조 = 550
5.4 도메인 기반 핸드오프 = 552
제6장 차세대통신망 구조와 서비스 제어기술
1. 차세대 네트워크 구조 = 561
1.1 ITU-T의 차세대 네트워크 구조 = 562
1.1.1 NGN 서비스 계층 기능 = 563
1.1.2 NGN 서비스 구조 = 563
1.1.3 NGN 기능 구조 = 564
1.1.4 서비스 제어 기증 개체 = 566
1.1.5 응용/서비스 지원 기능 = 570
1.1.6 차세대 네트워크의 전달 계층과 서비스 계층의 구성 = 571
1.1.7 구체적인 서비스 형상 = 573
1.2 멀티서비스 스위칭 구조 = 574
1.2.1 서비스 제공 구조 = 575
1.3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구조 = 579
1.3.1 개요 = 579
1.3.2 IMS의 서비스 제공 구조 = 580
1.3.3 IMS의 서비스 상호작용 = 582
1.4 개방형 모바일 서비스의 제어 구조 = 585
1.4.1 개요 = 585
1.4.2 OSE 구조 = 588
1.5 광대역 통합망 구조 = 590
1.5.1 광대역 통합망의 정의 = 590
1.5.2 광대역 통합망 기술개발 동향 = 592
2. 디지털 홈네트워크 = 604
2.1 홈 네트워크 개요 = 604
2.2 홈 네트워크 기술 분류 = 605
2.3 홈 네트워크 기술동향 = 606
2.3.1 홈 플랫폼 기술 = 606
2.3.2 유 무선 홈네트워킹 기술 = 608
2.3.3 정보가전 기술 = 608
2.3.4 지능형 미들웨어 기술 = 609
2.4 홈 네트워크를 위한 Open Services Framework = 611
2.4.1 개요 = 611
2.4.2 OSGi 프레임워크 기술 = 613
3. 개방형 서비스 기술 = 616
3.1 NGN 서비스 전망 = 616
3.2 서비스 활성화 방식 = 617
3.3 Parlay Group의 3rd Party 서비스 제공방식 = 618
3.3.1 Parlay/OSA API 정의 = 618
3.3.2 Parlay/OSA의 논리적 구조 = 619
3.3.3 서비스 제공방식 = 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