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서양음악통론
1. 음의 성질과 음의요소 = 3
2. 기보법과 악기 = 9
3. 음정(interval) = 25
4. 음계(scale)와 조(key) = 30
5. 이조와 이조악기 = 37
6. 음악의 형식 및 연주 형태 = 42
chapter 2 화성법과 대위법
Ⅰ. 기출문제 유형분석 = 55
Ⅱ. 화성법 = 64
1. 화음의 성격 = 64
2. 화음의 진행의 원리 = 66
3. 3화음의 제 2전위 = 70
4. 여러 가지 7화음과 전위 = 72
5. 부속화음 및 부감7화음 = 73
6. 비화성음 = 74
7. 변화화음과 변성화음 = 77
8. 전조 = 79
9. 화성실습 = 80
Ⅲ. 대위법 = 83
chapter 3 서양음악사
1. 고대음악 = 91
2. 중세(4~14세기) = 91
3. 르네상스 = 97
4. 바로크 = 102
5. 고전 = 111
6. 낭만주의 = 121
7. 국민악파 = 131
8. 근대 및 현대 = 135
시대별 종합문제 = 145
chapter 4 국악통론
1. 국악의 율과 조율법 = 153
2. 기보법 = 156
3. 선법 = 166
4. 장단 = 173
5. 국악의 형식과 종지 = 182
6. 국악기 = 185
chapter 5 국악악곡
1. 국악의 분류 = 201
2. 정악 = 204
3. 의식음악 = 223
4. 민속악 = 228
5. 국악사 = 241
chapter 6 음악교육 철학ㆍ미학ㆍ심리학
Ⅰ. 음악교육철학 = 259
1. 음악교육 철학의 필요성 = 261
2. 서양의 전통적 음악교육 철학들의 비교 = 261
3. 현대 음악교육 철학 = 264
4. 우리나라 전통적 음악교육 철학 = 275
Ⅱ. 음악교육의 미학 기초 = 277
1. 음악교육에서 미학적 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 = 280
2. 기본적 미학적 관점 = 280
Ⅲ. 음악교육 심리학 = 281
1. 교육심리학과 음악교육 = 283
2. 음악과 능력의 발달단계 및 위계이론 = 287
chapter 7 현대음악교육의 제 방법론
1. 쟈크 달크로즈 = 303
2. 코다이 = 308
3. 오르프 = 314
4. 스즈키 = 322
5. 고든 음악학습 이론 = 323
6. 통합적 음악학습 이론과 교수방법 = 327
7. 포괄적 음악 교육 = 328
8. 구성주의적 교수원리 = 332
9. 생성적 교수이론 = 335
10. 이해를 이한 교수 = 338
11. 협동학습 = 340
chapter 8 7차 교과과정 및 수업지도법
Ⅰ. 음악과 7차 교과과정의 체제 = 345
1. 음악 교과목의 성격 = 345
2. 음악 교과목의 목표 = 345
3. 7차 교과과정의 개정 중심 사항 = 347
4. '음악과 생활' 의 목표 = 349
5. 전문교과목 = 349
Ⅱ. 음악 교과목의 내용과 교수방법 = 350
1. 7차 음악과 교과과정 내용 영역 = 356
2. 음악지도를 위한 접근 유형 = 359
3. 경험적 접근 방법 = 361
4. 경험적 접근 방법 = 363
Ⅲ. 음악교과의 평가 = 366
1. 7차 교과과정의 평가의 원칙 = 368
2. 음악교육 평가의 구체적 문제점 = 368
3. 음악과 학습평가의 기능 = 369
4. 음악검사의 유형 = 373
5. 수행평가 = 375
6. 아츠 프로펠 = 382
Ⅳ. 음악교육 공학 =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