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문학의 이해 제3판

문학의 이해 제3판 (2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서명 / 저자사항
문학의 이해 /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판사항
제3판
발행사항
서울 :   三知院 ,   2007.  
형태사항
382 p. : 색채삽도 ; 24 cm.
ISBN
9788974900014
일반주기
색인수록  
서지주기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000 00634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41519
005 20100805112601
007 ta
008 070307s2007 ulka b 001c kor
020 ▼a 9788974900014 ▼g 93800
035 ▼a (KERIS)BIB000010837341
040 ▼a 241002 ▼b 241002 ▼d 211009
082 0 4 ▼a 801 ▼2 22
090 ▼a 801 ▼b 2007
110 ▼a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245 1 0 ▼a 문학의 이해 / ▼d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三知院 , ▼c 2007.
300 ▼a 382 p. : ▼b 색채삽도 ; ▼c 24 cm.
500 ▼a 색인수록
504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7 등록번호 1114124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7 등록번호 1114124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지은이)

<문학독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文學과 讀書
 제1장 문학을 읽는 이유 = 22
  Ⅰ. 인문 정신의 본질과 문학 읽기 = 22
  Ⅱ. 자아와 세계가 교호(交互) 작용하는 구조 = 25
  Ⅲ. 감정이입과 비평적 거리두기의 상승 과정 = 28
  Ⅳ.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상상력의 공간 = 31
  Ⅴ. 문학 읽기의 의의 = 35
  Ⅵ. 문학 읽기의 지표 = 37
  〈연구 과제〉 = 39
제2부 文學과 社會
 제2장 미메시스, 리얼리즘, 문학 = 44
  Ⅰ. 문학과 현실 = 44
  Ⅱ. 세부적 충실성, 묘사 = 46
  Ⅲ. 전형, 내포적 총체성 = 54
  〈연구 과제〉 = 61
  〈참고문헌〉 = 62
 제3장 기억으로서의 문학 = 63
  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63
  Ⅱ. 서사 장르에서의 기억, 혹은 소설의 역사성 = 65
  Ⅲ. 한국 현대소설에서 작가의 체험과 기억 = 68
   1. 집단적 경험을 상징하는 기억의 반추 = 68
   2. 개인사적 사소한 경험을 통한 자기존재의 추구 = 75
  Ⅳ. 되찾은 시간, 기억으로서의 소설 = 82
  〈연구 과제〉 = 83
  〈참고문헌〉 = 84
 제4장 문학과 이데올로기 = 86
  Ⅰ. 드라마의 이데올로기 = 86
  Ⅱ. 대중 문화의 이데올로기 = 88
  Ⅲ. 문학과 이데올로기의 관련양상 = 91
   1. 담론 속의 이데올로기 = 91
   2. 문학 속의 이데올로기 양상 = 93
  Ⅳ. 이데올로기와 리얼리즘 문학 = 99
  〈연구 과제〉 = 103
  〈참고문헌〉 = 103
제3부 文學과 言語
 제5장 문학언어의 논리와 아름다움 = 106
  Ⅰ. 문학의 존재조건 = 106
  Ⅱ. 언어의 본질과 문학언어 = 107
   1. 언어의 본질 = 107
   2. 문학의 언어 = 109
  Ⅲ. 문학언어의 분화 양상 = 115
   1. 문학언어의 속성 = 115
   2. 수필의 언어 = 118
   3. 시의 언어 = 119
   4. 소설의 언어 = 121
   5. 문학과 말과 글 = 124
  Ⅳ. 언어적 형상화와 가치평가 = 125
   1. 언어적 형상화의 반복 = 125
   2. 신선한 언어 = 127
   3. 소설언어 형상화의 다양성 = 130
  Ⅴ. 문학언어에 대한 독자의 몫 = 131
  〈연구 과제〉 = 134
  〈참고문헌〉 = 134
 제6장 문학언어와 일상언어 = 136
  Ⅰ. 문학언어와 일상언어의 성격 = 136
  Ⅱ. 일상언어의 문학적 운용 방식 = 138
   1. 일상담론의 직접 차용 = 138
   2. 수사학적 변용 = 142
   3. 낯설게 하기 = 146
  Ⅲ. 일상언어의 문학적 운용의 의의 = 148
  〈연구 과제〉 = 150
  〈참고문헌〉 = 150
 제7장 언어적 조형물로서의 시 = 151
  Ⅰ. 시를 왜 읽는가 = 151
  Ⅱ. 언어예술로서의 시 = 153
   1. 언어형식의 의미화 = 153
   2. 언어의 병치 = 157
   3. 언어의 시행걸침 = 162
  Ⅲ. 어떻게 읽을 것인가 = 164
  〈연구 과제〉 = 168
  〈참고문헌〉 = 172
제4부 文學과 다른 藝術
 제8장 문학과 미술 = 174
  Ⅰ. 논의의 배경 = 174
  Ⅱ. 쉽게 혹은 간단하게 이야기 만들기 : 신학철의 李相和 = 177
  Ⅲ. 관점을 바꾸어 새로운 이야기 만들기 : 손장섭의 韓龍雲 = 184
  Ⅳ. 이야기하기의 거부, 혹은 보여주기 : 윤명로의 李箱 = 187
  Ⅴ. 시간 초월하기, 혹은 영원한 이야기를 발견하기 : 李陸史의 패러독스 = 190
  Ⅵ. 서사화 도식의 극복 = 195
  〈연구 과제〉 = 196
 제9장 문학과 영화 = 198
  Ⅰ. 문학과 영화의 상호 관련성 = 198
  Ⅱ. 소설에 수용된 영화기법 = 199
   1. 소설과 영화의 상호 교류근거 = 199
   2. 소설과 영화의 교섭양상 = 202
  Ⅲ. 소설 영화화의 사회적 의미 = 212
   1. 소설 영화화와 대중사회 = 212
   2. 소설 각색의 정치학 = 213
  〈연구 과제〉 = 217
  〈참고문헌〉 = 218
 제10장 문학과 음악 = 219
  Ⅰ. 문학과 음악의 기원 = 219
   1. 예술로서의 문학과 음악 = 219
   2. 문학과 음악의 분리 = 220
  Ⅱ. 문학과 음악 사이의 거리 = 223
   1. 문학과 음악의 매재 = 223
   2. 문학과 음악의 시간 = 226
   3. 문학과 음악의 주체 = 228
   4. 문학과 음악에서의 복제와 변용 = 229
  Ⅲ. 문학과 음악의 구조 상동성 = 229
   1. 문학작품과 음악에서의 리듬 = 230
   2. 문학과 음악에서의 멜로디 = 231
   3. 문학과 음악에서의 화성 = 233
   4. 문학과 음악에서의 구성 = 234
   5. 문학과 음악에서의 반복과 변주 = 236
  Ⅳ. 문학과 음악의 상호 교섭 = 240
   1. 문학과 음악의 형이상학적 배경 = 241
   2. 문학과 음악의 내용과 형식 = 242
   3. 문학과 음악의 복합적 교섭 = 245
  Ⅴ. 문학과 음악의 종합적 이해 = 246
  〈연구 과제〉 = 247
  〈참고문헌〉 = 247
제5부 文學과 文化
 제11장 문학이해의 문화론적 시각 = 250
  Ⅰ. 문학과 문화의 관계 = 250
   1. 문학을 보는 관점 = 250
   2. 문화를 보는 관점 = 252
   3. 문학과 문화의 연관 = 255
  Ⅱ. 문화실천으로서의 문학 = 258
   1. 주체들의 대화 = 258
   2. 삶의 총체적 체험추구 = 261
   3. 다양한 인간 삶의 형상화 = 263
   4. 무한한 상상력의 고양 = 266
   5. 주체의 이념실천 = 270
  Ⅲ. 문학현상의 문화 = 274
  Ⅳ. 문학적 문화를 위하여 = 275
  〈연구 과제〉 = 276
  〈참고문헌〉 = 277
 제12장 대중문학과 대중문화 = 278
  Ⅰ.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개념 = 278
   1.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의미 = 278
   2. 대중문학ㆍ문화와 다른 문학ㆍ문화의 관련 = 279
   3.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형성 = 280
   4.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특색 = 281
  Ⅱ. 대중문학ㆍ대중문화론의 방향 = 282
   1.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비판 = 282
   2.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옹호 = 283
   3.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객관론 = 285
   4.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영역 = 285
  Ⅲ. 한국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역사 = 286
   1. 대중문학ㆍ대중문화의 기원 = 286
   2. 상업성과 대중문학ㆍ대중문화 = 287
   3. 산업화와 대중문학ㆍ대중문화 = 288
   4. 전자매체와 대중문학ㆍ대중문화 = 289
   5. 지배ㆍ소비의 문화 속에서 대중문학ㆍ대중문화 = 290
  Ⅳ. 대중문학ㆍ대중문화에 대한 전망 = 291
  〈연구 과제〉 = 292
  〈참고문헌〉 = 299
 제13장 문학과 풍속 = 300
  Ⅰ. 문학과 풍속 그리고 에로티시즘 = 300
  Ⅱ. 에로티시즘의 근거 - 예술성과 상업성 = 301
  Ⅲ. 포르노의 변명 - 리얼리즘과 전위 = 305
  Ⅳ. 에로스인가 포르노인가 = 308
   1. 〈叛奴〉 = 309
   2. 〈즐거운 사라〉 = 310
   3. 〈내게 거짓말을 해봐〉 = 311
  Ⅴ. 예술과 외설의 판단 기준 = 320
  Ⅵ. 현실을 상징 차원으로 이끌어 올리기 = 323
  〈연구 과제〉 = 325
  〈참고문헌〉 = 325
제6부 文學의 흐름과 理解의 方向
 제14장 디지털 문화시대의 사이버 문학 = 328
  Ⅰ. 사이버 문학의 정의 = 328
  Ⅱ. 사이버 문학의 형성 배경 = 330
  Ⅲ. 사이버 문학의 생산과 수용 환경 = 335
   1. 새로운 소설 쓰기 = 335
   2. 소설 영토의 확장 = 337
   3. 소통 양식의 변화 = 338
   4. 다매체 기반의 문화 양식 = 340
  Ⅳ. 사이버 문학의 표현상 특징 = 341
   1. 사이버 시의 특징 = 341
   2. 사이버 소설의 특징 = 346
  Ⅴ. 사이버 문학의 문화적 의미와 전망 = 348
  〈연구 과제〉 = 350
  〈참고문헌〉 = 352
 제15장 문학의 현재와 전망 = 353
  Ⅰ. 문학의 힘 = 353
  Ⅱ. 근대문학의 형성 = 355
  Ⅲ. 현대문학의 양상 = 357
  Ⅳ. 위기시대의 문학 = 359
  Ⅴ. 현대 문학의 전망과 교육 = 365
  〈연구 과제〉 = 368
인명색인 = 369
작품색인 = 374
사항색인 = 37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