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7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341335 | |
005 | 20100805112251 | |
007 | ta | |
008 | 070316s200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8914204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0835130 | |
040 | ▼a 248003 ▼d 211009 | |
082 | 0 4 | ▼a 370.78 ▼2 22 |
090 | ▼a 370.78 ▼b 2007 | |
245 | 2 0 | ▼a (교사를 위한)현장연구의 이론과 실제 / ▼d 김석우 외 공저. |
246 | 1 1 | ▼a School-based action research.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07. | |
300 | ▼a 247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부록: 현장연구 논문 사례(중등사례포함). | |
504 | ▼a 참고문헌(p. 177-178)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석우. ▼0 AUTH(211009)16905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78 2007 | 등록번호 1114096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78 2007 | 등록번호 1114096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장연구는 교육 실천가들이 교실이나 학교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 협동적, 과학적으로 해결방안을 찾고, 그 결과를 교육이나 사회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다. 책에서는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가 교육적인 임무를 수행하면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이나 문제를 연구자의 눈으로 살피고 기록하여 문제의 해결방안을 연구하는 실천적인 의미의 현장연구를 다룬다.
책은 교육현장과 관련한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려 할 때 겪을 수 있는 초보 연구자의 어려움을 좀 더 쉽게 극복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었다. 처음 연구를 시도하는 초보연구자 및 각종 연구대회를 준비하는 교사, 순수한 교육현장에 대한 관심으로 연구하려는 교사에 이르기까지 연구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쉽게 연구를 진행해 갈 수 있도록 했다.
제 1부에서는 현장연구의 기초 부분으로 현장연구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소개했다. 현장연구의 역사와 목적, 현장연구와 교육연구, 현장연구의 윤리적 근거, 현장연구의 특징과 유형, 현장연구의 방법을 서술하여 현장연구를 시작하려는 일선의 교사와 교육 연구자에게 현장연구에 대한 초보적이며 포괄적인 기초 지식을 제공했다. 제 2 부 에서는 현장연구의 실제로서 연구 단계별로 서술하여 단계에 따라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현장연구의 기초 제1장 현장연구의 역사와 목적 = 10 1. 현장연구의 역사 = 12 2. 현장연구의 목적 = 15 제2장 현장연구와 교육연구 = 22 1. 현장연구의 개념 = 24 2. 현장연구와 교육연구의 비교 = 26 제3장 현장연구의 연구 윤리 = 29 1. 연구의 윤리적 문제 = 30 2. 연구 과정에서 윤리적 문제 = 32 제4장 현장연구의 특징 및 유형 = 36 1. 현장연구의 특징 = 38 2. 현장연구의 유형 = 43 제5장 현장연구의 방법 = 54 1. 사례연구 = 56 2. 조사연구 = 60 3. 실험연구 = 65 4. 상관연구 = 74 참고문헌 = 78 제2부 현장연구의 실제 제6장 현장연구의 단계적 실천 = 82 1단계. 연구 초점 잡기 = 84 2단계. 연구 주제 및 문제 선정하기 = 86 3단계.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하기 = 93 4단계. 연구 설계하기 = 98 5단계. 연구 대상 선정 및 도구 제작하기 = 103 6단계. 연구 실천하기 = 118 7단계. 연구 보고서 작성하기 = 123 8단계. 연구 평가하기 = 167 참고문헌 = 177 부록: 현장연구 논문 사례 = 179 찾아보기 =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