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79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341054 | |
005 | 20100805111729 | |
007 | ta | |
008 | 070410s2007 ulk 000ae kor | |
020 | ▼a 8956581436 ▼g 03810 | |
020 | ▼a 9788956581439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45 ▼a 808.4 ▼2 22 |
085 | ▼a 897.47 ▼2 DDCK | |
090 | ▼a 897.47 ▼b 배정인 참 | |
100 | 1 | ▼a 배정인 |
245 | 1 0 | ▼a 참수필 짓는 이야기 : ▼b 배정인 에세이 / ▼d 지은이: 배정인. |
260 | ▼a 서울 : ▼b 선우미디어 , ▼c 2007. | |
300 | ▼a 319 p. ; ▼c 23 cm.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47 배정인 참 | 등록번호 1114097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47 배정인 참 | 등록번호 1114097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97.47 배정인 참 | 등록번호 1211433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97.47 배정인 참 | 등록번호 1211433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47 배정인 참 | 등록번호 1114097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47 배정인 참 | 등록번호 1114097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97.47 배정인 참 | 등록번호 1211433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97.47 배정인 참 | 등록번호 1211433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찾아가기 문을 열며 = 4 마당 1. 어떻게 읽을까 어떻게 읽을까 = 12 첫째. 멀어짐, 그 아름다움 = 15 인연 둘째. 휘임의 미학 = 33 방망이 깎던 노인 마당 2. 참수필 짓는 길 참수필 짓는 길 = 50 첫째. 가슴 그물로 = 52 가. 영감을 지피자 = 52 나. 읽자 = 55 다. 쓰다듬자 = 56 라. 제사랑 하자 = 59 마. 외로워지자 = 60 바. 깊이 헤아리자 = 61 사. 마음에다 그리자 = 64 아. 불을 머금은 물로 = 66 자. 한 몸이 되자 = 68 둘째. 수필 창조의 틀 = 75 가. 무엇을 말할까? = 79 나. 무엇이라 말할까? = 80 다. 무엇으로 말할까? = 83 라. 어떻게 말할까? = 87 셋째. 참수필 빚는 핵 = 156 가. 아름다움이라는 것 = 156 나. 감동의 샘 = 157 다. 빈방에 사람이 산다 = 161 라. 새벽이 어린 눈동자로 = 165 마. 오래 서 있게 = 167 바. 이름은 멋지게 = 169 사. 일백 번 고쳐 지어 = 180 아. 비유로 비유로 = 186 넷째. 짓기의 실제 = 188 가. 꿈을 꾸다 = 188 나. 묻고 답하고 = 190 다. 상황을 짓고 = 193 라. 쓴다 = 194 마당 3. 현대 수필의 생성 첫째. 수필 생성의 토양 = 200 가. 한글사고(思考)의 열림 = 200 나. 시ㆍ소설의 성장 = 201 다. 에세이의 유입 = 205 둘째. 용어, '수필'의 탄생 = 208 셋째. 그 어의와 개념 = 215 가. 용재(容齋)의 '수필(隨筆)' = 216 나. 몽테뉴의 영향 = 220 다. 에세이의 그늘 = 224 라. 한국의 사전(辭典)에 적힌 수필의 정의 = 231 넷째. 바람에 휩쓸린 수필 = 234 마당 4. 수필, 이렇게 이해하자 첫째. 신변잡기인가? = 244 둘째. 고백인가? = 245 셋째. 보고 느낀 것을 생각나는 대로 쓰는가? = 246 넷째. 사회성이 없는가? = 247 다섯째. 해석인가? = 250 여섯째. 계획 없이 써지는가? = 251 일곱째. 형식이 없는가? = 251 여덟째. 산문인가? = 253 아홉째. 에세이인가? = 254 열째. 수필의 상상, 허구인가? = 256 열하나째. 수필, 허구로 창작되는가? = 259 마당 5. 수필의 본성 수필의 본성 = 264 첫째. 언어성 = 265 둘째. 상상성 = 268 셋째. 사색성 = 274 넷째. 경험성 = 279 마당 6. 수필지이의 요건 수필지이의 요건 = 284 첫째. 한길 사람 속 = 286 둘째. 태초에 말씀이 계셨다 = 292 셋째. 말이라는 것 = 296 넷째. 글자 = 302 다섯째. 아, 한글!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