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정부관료제의 연구와 변화
제1장 정부관료제 연구의 특성과 과제 = 17
1.1 서언 = 17
1.2 논의의 초점 = 18
1.3 관리적 관점의 연구 특성 = 19
1. 종래의 연구 흐름 = 19
2. 최근의 연구 흐름 = 24
1.4 정치적 관점의 연구 특성 = 26
1. 종래의 연구 흐름 = 26
2. 최근의 연구 흐름 = 30
1.5 양 관점의 차이와 접점 = 33
1. 연구 관점의 차이 = 33
2. 연구 관점의 한계와 접점 = 36
1.6 결어 = 39
제2편 정부관료제의 인적 구성과 행태
제2장 정책과정에서의 공무원 계층별 역할과 행태 = 43
2.1 서언 = 43
2.2 정무직 공무원 = 44
2.3 사무직 직업관료 = 50
2.4 일선관료 = 58
2.5 한국의 공무원 집단 = 62
2.6 결어 = 64
제3장 한국 장관임면 관행과 개선방안 = 66
3.1 서언 = 66
3.2 장관임면 관행의 실태와 형성 원인 = 67
1. 장관임면 관행의 실태 = 67
2. 장관임면 관행의 일반적 형성 원인 = 72
3.3 기존 장관임면 관행의 근본적 배경 = 74
1. 장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 = 75
2. 장관의 업무수행 여건에 대한 몰이해 = 75
3. 장관의 자질에 대한 미흡한 고려 = 79
3.4 장관임면 관행의 정책ㆍ행정상 폐단 = 80
1. 거시적ㆍ장기적 정책문제의 회피 = 80
2. 정책ㆍ행정상 과도기의 영속화 = 81
3. 정책과 행정의 표류 = 81
4. 장관의 정책ㆍ행정에 대한 "노하우" 축적 저해 = 82
5. 장관과 관료들 간의 공동체적 신뢰 결여 = 82
6. 일선관료에 대한 장관의 영향력 감퇴 = 83
7. 유관 행정기관들 및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연쇄적 파급효과 = 83
8. 장관들 상호간의 팀워크 부재 = 84
3.5 기본 개선방향 = 84
1. 임명절차의 체계화 = 84
2. 교육과정 운영 = 87
3. 재임기간의 적정화 = 88
4. 인계인수의 제도적 장치 마련 = 89
5. 정치권과 사회일반의 인식전환 = 90
3.6 결어 = 90
제4장 한국의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 정책성향과 상호관계 = 91
4.1 서언 = 91
4.2 한국 정부관료제의 특성과 연구의 필요성 = 92
4.3 조사의 이론적 기초 = 93
1.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 간의 정책성향 차이 = 94
2.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 간의 상호작용 = 96
4.4 조사의 범위와 방법 = 99
4.5 분석 및 논의 = 100
1.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의 정책성향 = 100
2.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 간의 상호작용 = 104
4.6 결어 = 109
제3편 행정문화와 조직문화
제5장 한국 사회문화와 행정행태 = 113
5.1 서언 = 113
5.2 사회문화와 인간행태 = 114
5.3 한국 사회구조의 변동과 한국전통문화 = 116
1. 거시적 사회구조의 변동과 사회문화의 변화 = 116
2. 한국 사회구조 변동의 전통문화에 대한 영향 = 117
5.4 사회문화의 변화와 행정행태: K-S이론 = 119
1. 사회문화의 행정행태에 대한 영향 = 119
2. Kluckhohn & Strodtbeck의 가치관 변동이론 = 120
3. K-S 이론의 5가치정향, 행정행태, 한국 전통문화 = 121
5.5 한국 사회문화와 행정행태의 변화에 관한 실증조사 = 126
1. 조사방법 및 조사대상 = 126
2. 조사결과의 분석 = 128
3. 분석결과의 요약 = 133
5.6 결어 = 135
제6장 한국 행정문화 연구의 방향과 과제 = 136
6.1 서언 = 136
6.2 행정문화의 테두리와 고유성 = 137
6.3 한국행정문화의 실상: 전통적 행정문화의 변화 = 141
6.4 한국행정문화의 바람직한 전환방향 = 143
1. 바람직한 행정문화 = 143
2. 바람직한 행정문화의 이론적 준거 = 146
3. 바람직한 한국의 행정문화 = 147
6.5 행정문화의 전환방안 = 148
1. 행정문화 전환의 상황요인 = 149
2. 행정문화의 전환방안 = 150
6.6 상향적 접근방법의 제안 = 152
6.7 결어 = 155
제7장 조직문화의 특성과 관리 = 157
7.1 서언 = 157
7.2 조직문화의 형성과 구성요소 = 158
1. 조직문화의 형성 = 158
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 160
7.3 관리대상으로서의 조직문화 = 162
1. 조직문화에 대한 시각 = 162
2. 관리대상으로서의 구체적 조직문화 = 164
7.4 조직문화 관리의 필요성과 유용성 = 168
1. 관리도구로서의 조직문화 = 168
2. 조직문화의 인위적 변화 = 169
3. 조직문화의 영향 = 171
7.5 조직문화 개혁의 전략 = 173
1. 조직문화 변화의 접근방법 = 174
2. 조직문화 개혁의 전략 = 175
3. 조직문화 형성과 변화의 선도 = 178
7.6 결어 = 179
제4편 조직으로서의 정부관료제
제8장 행정기관의 조직 특성과 현실적 함의 = 183
8.1 서언 = 183
8.2 공조직과 민간조직의 경계 = 184
8.3 행정기관의 조직 환경적 특성 = 186
8.4 행정기관의 조직 내적 특징 = 189
8.5 행정기관의 성과요인 = 191
1. 행정기관의 성과 = 191
2. 행정기관의 성과요인 = 193
8.6 결어 = 199
제9장 관료제 조직의 속성과 역기능 = 202
9.1 서언 = 202
9.2 관료제 조직의 속성 = 203
9.3 관료제 조직의 역기능 양상 = 206
1. 사회학적 관점의 역기능 양상 = 206
2. 인간관계학파의 지적 = 212
3. 시민과 관료의 인식 = 213
9.4 관료제 조직의 역기능 원인 = 215
1. 조직구성원의 인식 능력 한계 = 215
2. 조직구성원의 합리적 전략 = 217
9.5 결어: 관료제 조직에 대한 재평가 = 218
제10장 한국 공무원의 성별 직무관련 태도 = 222
10.1 서언 = 222
10.2 선행연구의 검토 = 223
10.3 실증조사의 설계와 방법 = 225
1. 조사의 핵심 변수 = 225
2. 조사대상과 조사방법 = 228
10.4 조사결과의 분석 = 229
1. 남녀 공무원의 직무관련 태도 차이 = 229
2. 직무태도관련 태도에 대한 성별의 영향력 = 234
10.5 결어 = 237
제11장 정부조직개편의 정치ㆍ행정적 함의 = 239
11.1 서언 = 239
11.2 논의의 틀 = 240
11.3 정부조직개편 목적의 성격과 실현가능성 = 242
1. 경제성과 능률성 목적 = 242
2. 효과성 목적 = 244
3. 행정수반에 대한 책임성 확보 목적 = 246
4. 정치경제적 이해관계 조정 목적 = 248
5. 정책 우선순위의 재조정 목적 = 249
6. 전술적 편의 목적 = 251
11.4 근래의 정부조직개편 경향과 목적 = 252
1. 시장모형 = 253
2. 참여모형 = 254
3. 신축모형 = 256
4. 탈규제모형 = 257
5. 조직개편 목적과의 관계 = 258
11.5 결어: 현실적 함의 = 260
제5편 정부관료제와 정책과정
제12장 디원주의적 정치환경과 한국 관료 = 265
12.1 서언 = 265
12.2 연구의 기본 가정: 다원주의적 정치환경 형성 = 267
12.3 이론적 배경과 조사의 틀 = 270
1. 이론적 배경 = 270
2. 조사의 틀 = 272
12.4 실증조사 및 분석 = 274
1. 조사의 실시 = 274
2. 분석결과 = 276
12.5 결어 = 288
제13장 한국 정책과정상 부처간 권력관계 = 290
13.1 서언 = 290
13.2 부처간 상호작용과 네트워크 = 291
13.3 부처간 권력관계 = 293
1. 부처간 경쟁과 갈등 = 293
2. 부처간 조정과 권력관계 = 296
3. 부처간 권력분포와 환경변화 = 298
13.4 실증조사 = 300
1. 연구의 초점과 방법 = 300
2. 조사결과 = 301
13.5 결어 = 310
제14장 한국 이익집단과 정부관료제의 관계 = 313
14.1 서언 = 313
14.2 이익집단의 정치적 영향력 수준 = 314
1. 정부와 이익집단의 관계 = 314
2. 정부관료제와 이익집단 간의 상호작용 패턴 = 317
14.3 이익집단의 영향력 행사방식 및 행사단계 = 321
1. 영향력 행사방식 = 321
2. 영향력 행사단계 = 324
14.4 한국 이익집단의 정부관료제에 대한 영향력: 실증조사 = 325
1. 조사의 초점과 조사방법 = 325
2. 조사결과 = 326
14.5 결어 = 336
제6편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제15장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갈등과 조화 = 341
15.1 서언 = 341
15.2 정부관료제의 권력 = 343
15.3 정부관료제의 비민주적 속성 = 347
1. 정부관료제의 비민주적 속성과 활동 성향 = 347
2. 정부관료제의 내부 특성 = 349
15.4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 352
1. 정부관료제의 책임 = 352
2. 정부관료제에 대한 통제 = 354
15.5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조화 = 358
1. 관료제의 인적 구성을 통한 대표성 확보 = 358
2. 행정조직 편제를 통한 대표성 확보 = 360
3. 시민참여를 통한 대표성 확보 = 362
15.6 한국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 364
15.7 결어 = 366
제16장 고객지향적 행정과 한국 정부관료제의 대응성 = 370
16.1 서언 = 370
16.2 고객지향적 행정과 관료적 대응성 = 371
1. 실질적 의미의 고객지향적 행정 = 371
2. 소비자 모델의 관료적 대응성 = 372
16.3 관료적 대응성 조사의 이론적 준거 = 375
1. 관료적 대응방식 = 376
2. 관료적 대응수준 = 380
16.4 한국 정부관료제의 대응성에 관한 실증조사 = 383
1. 조사의 기본전제 = 383
2. 조사방법과 대상 = 383
3. 조사결과 및 해석 = 384
16.5 결어 = 390
제17장 고객지향적 행정의 실천과 한국관료 = 391
17.1 서언 = 391
17.2 고객지향적 행정의 의문점 = 392
1. 고객의 범위에 관한 모호성 = 392
2. 고객지향적 행정의 이원적 의미 = 395
3. 고객의 행정욕구 파악에 관한 불투명성 = 401
17.3 고객지향적 행정에 관한 한국 관료의 시각 = 404
1. 질문의 제기 = 404
2. 조사대상과 방법 = 405
3. 조사결과의 분석 = 405
17.4 결어 = 411
제18장 시민참여와 한국 정부관료제의 수용성 = 412
18.1 서언 = 412
18.2 시민참여의 유용성과 정부관료제의 시각 = 413
1. 시민참여의 유용성 = 413
2. 정부관료제의 시각 = 418
18.3 한국에서의 시민참여와 정부관료제 = 419
18.4 정부관료제의 시민참여 수용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 422
18.5 한국 정부관료제의 시민참여 수용성에 관한 실증조사 = 425
1. 조사방법 = 425
2. 분석결과 = 426
18.6 결어: 조사결과의 현실적 시사 = 435
제19장 한국 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 불신 = 437
19.1 서언 = 437
19.2 정부관료제에 대한 신뢰와 불신 = 438
19.3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 원인 = 441
1. 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의 부정적 인식 요인 = 443
2. 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의 기대 요인 = 448
19.3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의 객관성 여부 = 449
1. 부정적 인식의 객관적 근거 = 450
2. 기대의 주관성 = 453
19.4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의 해소 방안 = 454
1. 부정적 인식의 해소 = 455
2. 기대의 충족과 현실화 = 458
19.5 결어 = 459
참고문헌 = 461
찾아보기 =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