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부관료제 : 이론과 실제

정부관료제 : 이론과 실제 (5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천오 朴天悟
서명 / 저자사항
정부관료제 : 이론과 실제 = Government bureaucracy / 박천오 저.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   2007.  
형태사항
515 p. ; 27 cm.
총서사항
행정학총서
ISBN
서지주기
참고문헌(p. 461-511)과 색인수록
000 00648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340754
005 20100805111550
007 ta
008 070306s2007 ggk b 001c kor
020 ▼z 9788918022635 ▼g 93350: ▼c \25,000
035 ▼a (KERIS)BIB000010848285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46 ▼d 244002
082 0 4 ▼a 352.63 ▼2 22
090 ▼a 352.63 ▼b 2007
100 1 ▼a 박천오 ▼g 朴天悟 ▼0 AUTH(211009)52609
245 1 0 ▼a 정부관료제 : ▼b 이론과 실제 = ▼x Government bureaucracy / ▼d 박천오 저.
260 ▼a 파주 : ▼b 法文社 , ▼c 2007.
300 ▼a 515 p. ; ▼c 27 cm.
490 0 0 ▼a 행정학총서
504 ▼a 참고문헌(p. 461-511)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3 2007 등록번호 1114125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3 2007 등록번호 1114125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3 2007 등록번호 1512295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3 2007 등록번호 1512295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3 2007 등록번호 1114125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3 2007 등록번호 1114125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3 2007 등록번호 1512295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3 2007 등록번호 1512295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천오(지은이)

건국대학교 법학사, 법학석사 미국 오하이오대학 정치학석사 미국 워싱턴주립대학 정치학박사 명지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사회복지대학원장, 대학원장 역임 현재 명지대학교 명예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정부관료제의 연구와 변화
 제1장 정부관료제 연구의 특성과 과제 = 17
  1.1 서언 = 17
  1.2 논의의 초점 = 18
  1.3 관리적 관점의 연구 특성 = 19
   1. 종래의 연구 흐름 = 19
   2. 최근의 연구 흐름 = 24
  1.4 정치적 관점의 연구 특성 = 26
   1. 종래의 연구 흐름 = 26
   2. 최근의 연구 흐름 = 30
  1.5 양 관점의 차이와 접점 = 33
   1. 연구 관점의 차이 = 33
   2. 연구 관점의 한계와 접점 = 36
  1.6 결어 = 39
제2편 정부관료제의 인적 구성과 행태
 제2장 정책과정에서의 공무원 계층별 역할과 행태 = 43
  2.1 서언 = 43
  2.2 정무직 공무원 = 44
  2.3 사무직 직업관료 = 50
  2.4 일선관료 = 58
  2.5 한국의 공무원 집단 = 62
  2.6 결어 = 64
 제3장 한국 장관임면 관행과 개선방안 = 66
  3.1 서언 = 66
  3.2 장관임면 관행의 실태와 형성 원인 = 67
   1. 장관임면 관행의 실태 = 67
   2. 장관임면 관행의 일반적 형성 원인 = 72
  3.3 기존 장관임면 관행의 근본적 배경 = 74
   1. 장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 = 75
   2. 장관의 업무수행 여건에 대한 몰이해 = 75
   3. 장관의 자질에 대한 미흡한 고려 = 79
  3.4 장관임면 관행의 정책ㆍ행정상 폐단 = 80
   1. 거시적ㆍ장기적 정책문제의 회피 = 80
   2. 정책ㆍ행정상 과도기의 영속화 = 81
   3. 정책과 행정의 표류 = 81
   4. 장관의 정책ㆍ행정에 대한 "노하우" 축적 저해 = 82
   5. 장관과 관료들 간의 공동체적 신뢰 결여 = 82
   6. 일선관료에 대한 장관의 영향력 감퇴 = 83
   7. 유관 행정기관들 및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연쇄적 파급효과 = 83
   8. 장관들 상호간의 팀워크 부재 = 84
  3.5 기본 개선방향 = 84
   1. 임명절차의 체계화 = 84
   2. 교육과정 운영 = 87
   3. 재임기간의 적정화 = 88
   4. 인계인수의 제도적 장치 마련 = 89
   5. 정치권과 사회일반의 인식전환 = 90
  3.6 결어 = 90
 제4장 한국의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 정책성향과 상호관계 = 91
  4.1 서언 = 91
  4.2 한국 정부관료제의 특성과 연구의 필요성 = 92
  4.3 조사의 이론적 기초 = 93
   1.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 간의 정책성향 차이 = 94
   2.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 간의 상호작용 = 96
  4.4 조사의 범위와 방법 = 99
  4.5 분석 및 논의 = 100
   1.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의 정책성향 = 100
   2.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 직업관료 간의 상호작용 = 104
  4.6 결어 = 109
제3편 행정문화와 조직문화
 제5장 한국 사회문화와 행정행태 = 113
  5.1 서언 = 113
  5.2 사회문화와 인간행태 = 114
  5.3 한국 사회구조의 변동과 한국전통문화 = 116
   1. 거시적 사회구조의 변동과 사회문화의 변화 = 116
   2. 한국 사회구조 변동의 전통문화에 대한 영향 = 117
  5.4 사회문화의 변화와 행정행태: K-S이론 = 119
   1. 사회문화의 행정행태에 대한 영향 = 119
   2. Kluckhohn & Strodtbeck의 가치관 변동이론 = 120
   3. K-S 이론의 5가치정향, 행정행태, 한국 전통문화 = 121
  5.5 한국 사회문화와 행정행태의 변화에 관한 실증조사 = 126
   1. 조사방법 및 조사대상 = 126
   2. 조사결과의 분석 = 128
   3. 분석결과의 요약 = 133
  5.6 결어 = 135
 제6장 한국 행정문화 연구의 방향과 과제 = 136
  6.1 서언 = 136
  6.2 행정문화의 테두리와 고유성 = 137
  6.3 한국행정문화의 실상: 전통적 행정문화의 변화 = 141
  6.4 한국행정문화의 바람직한 전환방향 = 143
   1. 바람직한 행정문화 = 143
   2. 바람직한 행정문화의 이론적 준거 = 146
   3. 바람직한 한국의 행정문화 = 147
  6.5 행정문화의 전환방안 = 148
   1. 행정문화 전환의 상황요인 = 149
   2. 행정문화의 전환방안 = 150
  6.6 상향적 접근방법의 제안 = 152
  6.7 결어 = 155
 제7장 조직문화의 특성과 관리 = 157
  7.1 서언 = 157
  7.2 조직문화의 형성과 구성요소 = 158
   1. 조직문화의 형성 = 158
   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 160
  7.3 관리대상으로서의 조직문화 = 162
   1. 조직문화에 대한 시각 = 162
   2. 관리대상으로서의 구체적 조직문화 = 164
  7.4 조직문화 관리의 필요성과 유용성 = 168
   1. 관리도구로서의 조직문화 = 168
   2. 조직문화의 인위적 변화 = 169
   3. 조직문화의 영향 = 171
  7.5 조직문화 개혁의 전략 = 173
   1. 조직문화 변화의 접근방법 = 174
   2. 조직문화 개혁의 전략 = 175
   3. 조직문화 형성과 변화의 선도 = 178
  7.6 결어 = 179
제4편 조직으로서의 정부관료제
 제8장 행정기관의 조직 특성과 현실적 함의 = 183
  8.1 서언 = 183
  8.2 공조직과 민간조직의 경계 = 184
  8.3 행정기관의 조직 환경적 특성 = 186
  8.4 행정기관의 조직 내적 특징 = 189
  8.5 행정기관의 성과요인 = 191
   1. 행정기관의 성과 = 191
   2. 행정기관의 성과요인 = 193
  8.6 결어 = 199
 제9장 관료제 조직의 속성과 역기능 = 202
  9.1 서언 = 202
  9.2 관료제 조직의 속성 = 203
  9.3 관료제 조직의 역기능 양상 = 206
   1. 사회학적 관점의 역기능 양상 = 206
   2. 인간관계학파의 지적 = 212
   3. 시민과 관료의 인식 = 213
  9.4 관료제 조직의 역기능 원인 = 215
   1. 조직구성원의 인식 능력 한계 = 215
   2. 조직구성원의 합리적 전략 = 217
  9.5 결어: 관료제 조직에 대한 재평가 = 218
 제10장 한국 공무원의 성별 직무관련 태도 = 222
  10.1 서언 = 222
  10.2 선행연구의 검토 = 223
  10.3 실증조사의 설계와 방법 = 225
   1. 조사의 핵심 변수 = 225
   2. 조사대상과 조사방법 = 228
  10.4 조사결과의 분석 = 229
   1. 남녀 공무원의 직무관련 태도 차이 = 229
   2. 직무태도관련 태도에 대한 성별의 영향력 = 234
  10.5 결어 = 237
 제11장 정부조직개편의 정치ㆍ행정적 함의 = 239
  11.1 서언 = 239
  11.2 논의의 틀 = 240
  11.3 정부조직개편 목적의 성격과 실현가능성 = 242
   1. 경제성과 능률성 목적 = 242
   2. 효과성 목적 = 244
   3. 행정수반에 대한 책임성 확보 목적 = 246
   4. 정치경제적 이해관계 조정 목적 = 248
   5. 정책 우선순위의 재조정 목적 = 249
   6. 전술적 편의 목적 = 251
  11.4 근래의 정부조직개편 경향과 목적 = 252
   1. 시장모형 = 253
   2. 참여모형 = 254
   3. 신축모형 = 256
   4. 탈규제모형 = 257
   5. 조직개편 목적과의 관계 = 258
  11.5 결어: 현실적 함의 = 260
제5편 정부관료제와 정책과정
 제12장 디원주의적 정치환경과 한국 관료 = 265
  12.1 서언 = 265
  12.2 연구의 기본 가정: 다원주의적 정치환경 형성 = 267
  12.3 이론적 배경과 조사의 틀 = 270
   1. 이론적 배경 = 270
   2. 조사의 틀 = 272
  12.4 실증조사 및 분석 = 274
   1. 조사의 실시 = 274
   2. 분석결과 = 276
  12.5 결어 = 288
 제13장 한국 정책과정상 부처간 권력관계 = 290
  13.1 서언 = 290
  13.2 부처간 상호작용과 네트워크 = 291
  13.3 부처간 권력관계 = 293
   1. 부처간 경쟁과 갈등 = 293
   2. 부처간 조정과 권력관계 = 296
   3. 부처간 권력분포와 환경변화 = 298
  13.4 실증조사 = 300
   1. 연구의 초점과 방법 = 300
   2. 조사결과 = 301
  13.5 결어 = 310
 제14장 한국 이익집단과 정부관료제의 관계 = 313
  14.1 서언 = 313
  14.2 이익집단의 정치적 영향력 수준 = 314
   1. 정부와 이익집단의 관계 = 314
   2. 정부관료제와 이익집단 간의 상호작용 패턴 = 317
  14.3 이익집단의 영향력 행사방식 및 행사단계 = 321
   1. 영향력 행사방식 = 321
   2. 영향력 행사단계 = 324
  14.4 한국 이익집단의 정부관료제에 대한 영향력: 실증조사 = 325
   1. 조사의 초점과 조사방법 = 325
   2. 조사결과 = 326
  14.5 결어 = 336
제6편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제15장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갈등과 조화 = 341
  15.1 서언 = 341
  15.2 정부관료제의 권력 = 343
  15.3 정부관료제의 비민주적 속성 = 347
   1. 정부관료제의 비민주적 속성과 활동 성향 = 347
   2. 정부관료제의 내부 특성 = 349
  15.4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 352
   1. 정부관료제의 책임 = 352
   2. 정부관료제에 대한 통제 = 354
  15.5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조화 = 358
   1. 관료제의 인적 구성을 통한 대표성 확보 = 358
   2. 행정조직 편제를 통한 대표성 확보 = 360
   3. 시민참여를 통한 대표성 확보 = 362
  15.6 한국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 364
  15.7 결어 = 366
 제16장 고객지향적 행정과 한국 정부관료제의 대응성 = 370
  16.1 서언 = 370
  16.2 고객지향적 행정과 관료적 대응성 = 371
   1. 실질적 의미의 고객지향적 행정 = 371
   2. 소비자 모델의 관료적 대응성 = 372
  16.3 관료적 대응성 조사의 이론적 준거 = 375
   1. 관료적 대응방식 = 376
   2. 관료적 대응수준 = 380
  16.4 한국 정부관료제의 대응성에 관한 실증조사 = 383
   1. 조사의 기본전제 = 383
   2. 조사방법과 대상 = 383
   3. 조사결과 및 해석 = 384
  16.5 결어 = 390
 제17장 고객지향적 행정의 실천과 한국관료 = 391
  17.1 서언 = 391
  17.2 고객지향적 행정의 의문점 = 392
   1. 고객의 범위에 관한 모호성 = 392
   2. 고객지향적 행정의 이원적 의미 = 395
   3. 고객의 행정욕구 파악에 관한 불투명성 = 401
  17.3 고객지향적 행정에 관한 한국 관료의 시각 = 404
   1. 질문의 제기 = 404
   2. 조사대상과 방법 = 405
   3. 조사결과의 분석 = 405
  17.4 결어 = 411
 제18장 시민참여와 한국 정부관료제의 수용성 = 412
  18.1 서언 = 412
  18.2 시민참여의 유용성과 정부관료제의 시각 = 413
   1. 시민참여의 유용성 = 413
   2. 정부관료제의 시각 = 418
  18.3 한국에서의 시민참여와 정부관료제 = 419
  18.4 정부관료제의 시민참여 수용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 422
  18.5 한국 정부관료제의 시민참여 수용성에 관한 실증조사 = 425
   1. 조사방법 = 425
   2. 분석결과 = 426
  18.6 결어: 조사결과의 현실적 시사 = 435
 제19장 한국 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 불신 = 437
  19.1 서언 = 437
  19.2 정부관료제에 대한 신뢰와 불신 = 438
  19.3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 원인 = 441
   1. 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의 부정적 인식 요인 = 443
   2. 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의 기대 요인 = 448
  19.3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의 객관성 여부 = 449
   1. 부정적 인식의 객관적 근거 = 450
   2. 기대의 주관성 = 453
  19.4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의 해소 방안 = 454
   1. 부정적 인식의 해소 = 455
   2. 기대의 충족과 현실화 = 458
  19.5 결어 = 459
참고문헌 = 461
찾아보기 = 513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