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340751 | |
005 | 20160421165329 | |
007 | ta | |
008 | 070410s200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0488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1.26 ▼2 22 |
085 | ▼a 371.26 ▼2 DDCK | |
090 | ▼a 371.26 ▼b 2007 | |
245 | 0 0 | ▼a 교육평가 : ▼b 이해와 적용 / ▼d 박도순 [외]저 |
260 | ▼a 서울 : ▼b 교육과학사, ▼c 2007 | |
300 | ▼a 508 p. : ▼b 삽화 ; ▼c 27 cm | |
500 | ▼a 공저자: 권순달, 김명화, 김석우, 김영애, 김옥남, 김종필, 김진규, 김진하, 김형주, 남명호, 남현우, 박완성, 백순근, 성태제, 양길석, 어윤경, 이기종, 이나현, 이원석, 이종승, 이현주, 장은아, 조지민, 최대호 | |
504 | ▼a 참고문헌(p. 487-500)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도순, ▼e 저 ▼0 AUTH(211009)124549 |
700 | 1 | ▼a 권순달, ▼e 저 ▼0 AUTH(211009)90981 |
700 | 1 | ▼a 김명화, ▼e 저 ▼0 AUTH(211009)102182 |
700 | 1 | ▼a 김석우, ▼e 저 ▼0 AUTH(211009)16905 |
700 | 1 | ▼a 김영애, ▼e 저 ▼0 AUTH(211009)24957 |
700 | 1 | ▼a 김옥남, ▼e 저 |
700 | 1 | ▼a 김종필, ▼e 저 |
700 | 1 | ▼a 김진규, ▼e 저 ▼0 AUTH(211009)124894 |
700 | 1 | ▼a 김진하, ▼e 저 |
700 | 1 | ▼a 김형주, ▼e 저 |
700 | 1 | ▼a 남명호, ▼e 저 ▼0 AUTH(211009)64506 |
700 | 1 | ▼a 남현우, ▼e 저 ▼0 AUTH(211009)98041 |
700 | 1 | ▼a 박완성, ▼e 저 ▼0 AUTH(211009)49564 |
700 | 1 | ▼a 백순근, ▼e 저 ▼0 AUTH(211009)94780 |
700 | 1 | ▼a 성태제, ▼e 저 ▼0 AUTH(211009)54721 |
700 | 1 | ▼a 양길석, ▼e 저 ▼0 AUTH(211009)26621 |
700 | 1 | ▼a 어윤경, ▼e 저 ▼0 AUTH(211009)123282 |
700 | 1 | ▼a 이기종, ▼e 저 ▼0 AUTH(211009)57138 |
700 | 1 | ▼a 이나현, ▼e 저 ▼0 AUTH(211009)49425 |
700 | 1 | ▼a 이원석, ▼e 저 |
700 | 1 | ▼a 이종승, ▼e 저 ▼0 AUTH(211009)139865 |
700 | 1 | ▼a 이현주, ▼e 저 ▼0 AUTH(211009)134841 |
700 | 1 | ▼a 장은아, ▼e 저 ▼0 AUTH(211009)80278 |
700 | 1 | ▼a 조지민, ▼e 저 ▼0 AUTH(211009)8126 |
700 | 1 | ▼a 최대호, ▼e 저 ▼0 AUTH(211009)138611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114125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114125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115463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117554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211438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211438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114125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114125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115463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117554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211438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1.26 2007 | 등록번호 1211438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평가의 이해 제1장 교육의 본질과 방향 = 13 1. 교육의 본질 = 13 2. 교육관 = 15 2.1 선발적 교육관 = 15 2.2 발달적 교육관 = 16 2.3 인본주의적 교육관 = 17 3. 학교교육의 방향 = 19 3.1 교육을 통한 핵심 가치의 추구 = 20 3.2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 20 3.3 학업세계와 직업세계간의 연계 강화 = 21 3.4 교육 운영의 자율화 = 23 제2장 교육평가의 의미 = 25 1. 교육평가의 개념과 기능 = 25 1.1 교육평가의 개념 = 25 1.2 교육평가의 재개념화 = 27 1.3 학교 교육평가의 기능 = 29 1.4 수행평가의 시대적 요청 = 31 1.5 교사의 평가권 회복 = 32 1.6 교육평가 영역의 확장 = 32 2. 교육평가관 = 35 2.1 측정관 = 36 2.2 평가관 = 37 2.3 총평관 = 38 2.4 교육평가관의 비교 = 39 3. 교육평가의 역사 = 41 3.1 개관 = 41 3.2 우리나라 교육평가의 역사 = 49 4. 교육평가의 유형 = 58 4.1 평가기능에 따른 평가의 유형 = 58 4.2 참조 유형에 따른 평가의 유형 = 64 5. 프로그램 평가의 모형 = 72 5.1 프로그램 평가 모형의 분류 = 73 5.2 고전적 평가모형 = 75 5.3 대안적 평가모형 = 79 제3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 87 1. 타당도 = 87 1.1 타당도의 정의 = 87 1.2 역사와 종류 = 88 1.3 타당도의 적용 = 100 2. 신뢰도 = 101 2.1 신뢰도의 정의 = 101 2.2 신뢰도 추정 방법 = 102 2.3 신뢰도와 타당도 = 107 2.4 측정의 표준오차 = 109 2.5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09 2.6 신뢰도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들 = 111 2.7 준거참조검사의 신뢰도 = 113 3. 객관도 및 실용도 = 114 3.1 객관도 = 115 3.2 실용도 = 129 제4장 검사 및 문항 제작 = 131 1. 문항 제작의 기초 = 131 1.1 좋은 문항 제작자의 조건 = 132 1.2 좋은 문항의 요건 = 133 1.3 문항의 유형 = 134 1.4 문항유형 선택의 준거 = 147 1.5 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 149 2. 선택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58 3. 서답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68 제5장 문항분석 및 점수 보고 = 177 1.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178 1.1 기본 개념과 가정 = 178 1.2 문항난이도 = 179 1.3 문항변별도 = 183 1.4 문항추측도 = 185 1.5 문항반응분포 = 186 1.6 오답지 매력도 = 187 1.7 교수 민감도 = 188 1.8 차별기능문항 = 189 2.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189 2.1 기본 개념과 가정 = 189 2.2 문항특성곡선 = 191 2.3 문항모수 = 194 2.4 문항반응 모형 = 195 2.5 정보함수 = 198 2.6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의 비교 = 200 3. 점수 보고 방법 = 201 3.1 원점수(原點數: raw score) = 202 3.2 규준점수 = 203 3.3 문항반응이론에서의 검사 점수 = 209 3.4 준거점수 = 210 제6장 표준화 검사와 컴퓨터화 검사 = 213 1. 표준화 검사 = 213 1.1 검사의 역사 = 214 1.2 표준화 검사의 개념 = 216 1.3 표준화 검사의 분류 = 216 1.4 표준화 검사의 제작 절차 = 221 1.5 표준화 검사의 활용 = 222 2. 컴퓨터화 검사 = 223 2.1 컴퓨터와 검사 = 224 2.2 컴퓨터화 검사의 발달 = 225 2.3 컴퓨터이용검사 = 227 2.4 컴퓨터개별적응검사 = 230 제7장 수행평가의 이해 = 237 1. 수행평가의 필요성 = 237 2. 수행평가의 의미 = 242 2.1 수행평가의 개념 = 242 2.2 유사 용어의 정리 = 244 2.3 수행평가의 특징 = 245 3. 수행평가의 방법 = 246 3.1 논술형 검사 = 247 3.2 포트폴리오법 = 248 3.3 관찰법 = 251 3.4 면접법 = 255 3.5 구술시험 = 260 3.6 연구보고서법 = 261 3.7 토론법 = 262 3.8 실기시험 = 263 3.9 실험ㆍ실습법 = 263 3.10 컴퓨터 시뮬레이션 = 263 3.11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보고서법 = 265 제8장 정의적 특성의 평가 = 267 1. 정의적 특성 평가의 이해 = 268 1.1 정의적 특성의 개념 = 268 1.2 정의적 특성 평가의 중요성 = 270 2. 정의적 특성 교육목표의 분류 = 272 2.1 Krathwohl, Bloom과 Masia의 분류 = 272 2.2 Anderson의 분류 = 273 2.3 Bloom의 분류 = 275 3. 정의적 특성의 조작적 정의 방법 = 275 3.1 영역준거식 접근법 = 276 3.2 문장도 접근법 = 277 4. 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 278 4.1 관찰법 = 279 4.2 자기 보고법 = 280 4.3 동료 평정법 = 283 5. 정의적 특성의 척도화 기법 = 284 5.1 유사동간척도 = 286 5.2 총합평정척도 = 288 5.3 Guttman 척도 = 291 5.4 의미변별척도 = 294 제2부 교육평가의 적용 제9장 학교생활기록 = 301 1. 학교생활기록의 의의 = 301 1.1 학교생활기록의 목적 = 302 1.2 학교생활기록의 역할 = 303 2. 학교생활기록제도의 도입 배경 = 304 2.1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에의 기여 = 304 2.2 과외 욕구의 경감 = 304 2.3 대학 입학 적격자 선발의 타당성 제고 = 304 2.4 고등학교 교육의 다양화 = 305 3. 학교생활기록제도의 변화 과정 = 305 3.1 학교생활기록부 제도의 도입(1996년) = 306 3.2 비교과교육의 다양한 교육활동 포함 및 수행평가 성적 반영(1999년) = 307 3.3 특별활동의 영역 구별, 재량활동의 신설 (2000년) = 307 3.4 교과학습발달상황 개정(2005년) = 307 4. 현행 학교생활기록제도 개관 = 308 4.1 학교생활기록 문서 = 308 4.2 근거 법령: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에 관한 법령 = 310 5. 학교생활기록의 발전 방향 = 311 5.1 학교생활기록의 목적 측면 = 311 5.2 학교생활기록의 역할 측면 = 312 제10장 대학수학능력시험 = 321 1. 대학입학을 위한 국가시험 = 323 2.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도입 배경 = 324 3.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의 변화 과정 = 326 3.1 1994학년도 = 326 3.2 1995학년도 = 326 3.3 1996학년도 = 327 3.4 1997학년도 = 327 3.5 1999학년도 = 327 3.6 2001학년도 = 328 3.7 2002학년도 = 328 3.8 2004학년도 = 329 3.9 2005학년도 = 329 4.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 개관 = 331 4.1 성격과 목적 = 331 4.2 시험 영역 및 출제 범위 = 331 4.3 문항 수, 시험 시간, 문항 형태, 배점 = 332 4.4 성적 표기 = 334 4.5 시험 시간표 = 336 5. 2008학년도 이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 337 6.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발전 방향 = 339 제11장 대학별 고사 = 343 1. 대학별 고사의 의의 = 343 2. 대학별 고사의 종류 및 특징 = 344 2.1 면접ㆍ구술고사 = 345 2.2 논술고사 = 346 2.3 기타고사 = 347 3. 대학별 고사의 변천과정 = 348 3.1 대학별 고사의 도입(1945~1953) = 348 3.2 국가고사와 대학별 고사의 병행(1954) = 348 3.3 대학별 고사와 무시험 전형제(1955~1961) = 349 3.4 대학입학 자격고사기(1962~1963) = 349 3.5 대학별 단독시험제(1964~1968) = 349 3.6 대학입학예비고사와 대학별 고사 병행(1969~1980) = 350 3.7 무 대학별 고사기(1981~1985) = 350 3.8 대학입학학력고사, 고교내신 및 대학별 고사 병행(1986~1993) = 350 3.9 대학수학능력시험, 고교내신 및 대학별 고사 병행(1994~ ) = 351 4. 대학별 고사의 발전 방향 = 351 4.1 대학별 고사의 문제점 = 351 4.2 대학별 고사의 발전방안 = 353 제12장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 357 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요 = 357 1.1 시행 근거 및 역사 = 357 1.2 목적 = 359 2.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실제 = 360 2.1 시행 = 360 2.2 평가도구 개발 = 361 2.3 채점 및 결과 보고 = 368 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발전 방향 = 372 제13장 교사평가 = 375 1. 교사평가의 필요성 = 375 2. 우리나라 교사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 377 2.1 교사평가의 현황 = 377 2.2 근무성적평정의 문제점 = 384 3. 교사평가 제도 = 389 3.1 목적 = 389 3.2 기능 = 390 3.3 유형 = 391 3.4 내용 = 392 3.5 절차 = 394 3.6 평가자 = 395 4. 외국의 교사평가제도 = 402 4.1 미국 = 402 4.2 영국 = 403 4.3 호주 = 403 4.4 독일 = 404 4.5 일본 = 404 4.6 시시점 = 405 5. 새로운 교사평가의 전제 = 406 5.1 단계적 도입 = 406 5.2 평가 결과의 활용 = 407 5.3 부작용 극복 방안 = 408 5.4 제도 보완 = 409 제14장 교육과정 평가 = 411 1.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 411 2.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과 역할 = 412 3.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대상, 준거 = 415 3.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415 3.2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 = 415 3.3 교육과정 평가의 준거 = 419 4. 우리나라 교육과정 평가의 현황 = 423 5. 교육과정 평가의 발전 방향 = 425 제15장 기관 평가 = 427 1. 기관 평가의 의의 = 427 2. 초ㆍ중등학교 평가 = 429 2.1 학교평가의 개요 = 429 2.2 학교평가의 현황 = 431 2.3 학교평가의 방법 = 434 2.4 학교평가의 발전 방향 = 439 3. 대학평가 = 440 3.1 대학평가의 개요 = 441 3.2 대학평가의 유형 = 444 3.3 대학평가의 방법 = 445 3.3 대학평가의 발전 방향 = 449 4. 시ㆍ도교육청 평가 = 451 4.1 시ㆍ도교육청 평가의 개요 = 451 4.2 시ㆍ도교육청 평가의 기본 체제 = 453 4.3 시ㆍ도교육청 평가의 방법 = 454 4.4 시ㆍ도교육청 평가의 발전 방향 = 457 제16장 교육평가 과제와 전망 = 459 1. 교육평가의 과제 = 459 1.1 이론적 측면 = 459 1.2 실제적 측면 = 464 2. 교육평가의 전망 = 474 2.1 개선 방향 = 474 2.2 교육평가의 미래 = 478 3. 평가의 미래 = 483 3.1 평가의 대중화 = 483 3.2 평가의 정교화 = 484 3.3 평가의 비전 = 485 참고문헌 = 487 찾아보기 =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