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憲法總論
제1장 憲法學 序說
제1절 憲法의 意義와 特性 및 機能 = 3
Ⅰ. 憲法의 意義 = 3
Ⅱ. 憲法의 特性 = 9
Ⅲ. 憲法의 機能 = 18
제2절 憲法의 分類 = 20
Ⅰ. 傳統的 分類 = 20
Ⅱ. 現代的 分類 = 23
제3절 憲法觀 = 23
Ⅰ. 憲法觀의 意義 = 26
Ⅱ. 代表的 學者 = 27
Ⅲ. 憲法의 槪念 = 29
Ⅳ. 憲法의 特性 = 31
Ⅴ. 政治·社會的 背景 = 32
Ⅵ. 思想的 理論의 基礎 = 33
Ⅶ. 憲法學 接近方法 및 方法論的 基礎 = 35
Ⅷ. 憲法觀과 國家 = 36
Ⅸ. 憲法觀과 國家와 社會·國民 = 37
Ⅹ. 基本權과 自由權 = 38
제4절 憲法의 解釋 = 39
Ⅰ. 憲法解釋의 意義 = 39
Ⅱ. 憲法解釋의 種類 = 41
Ⅲ. 法律解釋과 憲法解釋의 關係 = 41
Ⅳ. 憲法解釋의 方法 = 42
Ⅴ. 憲法解釋의 特性 = 44
Ⅵ. 憲法解釋의 指針(준칙) = 45
Ⅶ. 憲法解釋의 限界 = 46
제5절 合憲的 法律解釋 = 47
Ⅰ. 合憲的 法律解釋의 意義·沿革 및 規範統制와의 關係 = 47
Ⅱ. 合憲的 法律解釋과 一般的 法律解釋의 關係 = 48
Ⅲ. 合憲的 法律解釋의 理論的 根據 = 49
Ⅳ. 合憲的 法律解釋의 要件과 關係 = 49
Ⅴ. 合憲的 法律解釋의 方法 = 51
Ⅵ. 合憲的 法律解釋의 羈束力 = 52
제6절 憲法의 制定 = 53
Ⅰ. 憲法制定의 意義 = 53
Ⅱ. 憲法制定權力 = 53
Ⅲ. 우리 憲法에서의 憲法制定權力 = 60
Ⅳ. 憲法制定權力과 憲法改定權力의 區別 = 62
제7절 憲法의 改正 = 64
Ⅰ. 憲法改正의 意義 = 64
Ⅱ. 憲法改正의 類型 = 67
Ⅲ. 憲法改正의 限界 = 68
Ⅳ. 憲法改正의 改正 = 74
제8절 憲法變遷 = 77
Ⅰ. 처음에 = 77
Ⅱ. 憲法變遷의 實例 = 79
Ⅲ. 憲法變遷의 태양 = 80
Ⅳ. 憲法變遷의 成立要件 = 81
Ⅴ. 憲法變遷에 대한 評價 = 81
Ⅵ. 憲法變遷의 限界 = 82
제9절 憲法의 保障 = 83
Ⅰ. 憲法保障의 意義와 類型 = 83
Ⅱ. 國家緊急權 = 88
Ⅲ. 抵抗權 = 95
제10절 憲政史 = 103
Ⅰ. 建國憲法의 制定 = 103
Ⅱ. 憲法의 改正 = 104
Ⅲ. 現行憲法의 改正과 特色 = 111
제2장 國家形態 및 國家의 構成要素
제1절 國家의 本質과 國家形態論 = 114
Ⅰ. 國家의 本質 = 114
Ⅱ. 國家形態 = 120
제2절 大韓民國의 構成要素 = 127
Ⅰ. 처음에 = 127
Ⅱ. 主權 = 128
Ⅲ. 國民 = 131
Ⅳ. 領土 = 142
제3장 憲法의 基本原理와 基本秩序
제1절 憲法前文 = 153
Ⅰ. 憲法前文의 意義 = 153
Ⅱ. 憲法前文에 관한 憲政史 = 154
Ⅲ. 憲法前文의 法的 性格 = 155
Ⅳ. 憲法前文의 效力 = 157
Ⅴ. 憲法前文의 內容 = 158
제2절 國民主權의 原理 = 159
Ⅰ. 처음에 = 159
Ⅱ. 國民主權의 本質 = 161
Ⅲ. 國民主權의 現代的 意味 = 164
Ⅳ. 現行憲法과 國民主權主義의 구현형태 = 165
제3절 民主主義 原理 = 167
Ⅰ. 처음에 = 167
Ⅱ. 民主主義 理念의 歷史的 展開 = 168
Ⅲ. 民主主義의 本質 = 171
Ⅳ. 民主主義 內容과 機能 및 現代民主主義의 危機狀況 = 172
Ⅴ. 民主主義와 法治主義의 關係 = 174
Ⅵ. 民主的 基本秩序 = 175
제4절 防禦的 民主主義 = 179
Ⅰ. 防禦的 民主主義의 意義 = 179
Ⅱ. 防禦的 民主主義理論의 展開 = 180
Ⅲ. 防禦的 民主主義의 性格과 機能 = 181
Ⅳ. 防禦的 民主主義具現의 限界 = 181
Ⅴ. 現行憲法上 防禦的 民主主義 = 182
제5절 法治主義 = 183
Ⅰ. 法治主義(법치국가원리)의 意義 = 183
Ⅱ. 法治主義의 理論的 展開 = 184
Ⅲ. 法治主義의 法的 性格 = 188
Ⅳ. 法治主義의 構成要素(내용)와 機能 = 189
Ⅴ. 法治主義의 制限 = 190
Ⅵ. 現行憲法上의 法治主義 = 191
Ⅶ. 法治主義와 관련된 憲法裁判所 決定 = 191
Ⅷ. 法治主義와 民主主義의 相互關係 = 194
제6절 社會國家原理 = 195
Ⅰ. 처음에 = 195
Ⅱ. 社會國家와 福祉國家의 區別 = 196
Ⅲ. 社會國家原理의 法的 性格 = 197
Ⅳ. 社會國家原理의 內容 = 198
Ⅴ. 社會國家原理實現의 限界 = 199
Ⅵ. 現行憲法上의 社會國家原理의 具現 = 200
Ⅶ. 社會國家原理와 民主主義·法治國家原理의 相互關係 = 201
제7절 社會的 市場經濟秩序 = 203
Ⅰ. 經濟秩序의 意義 = 203
Ⅱ. 經濟秩序에 관한 憲政史 = 205
Ⅲ. 우리 憲法上의 經濟條項 = 205
Ⅳ. 우리 憲法上의 經濟秩序의 性格 = 206
Ⅴ. 現行憲法에 具現된 經濟秩序의 內容 = 207
Ⅵ. 經濟에 대한 國家介入의 限界 = 210
제8절 文化國家原理 = 212
Ⅰ. 文化國家의 意義 = 212
Ⅱ. 文化憲法의 登場 = 213
Ⅲ. 文化國家原理의 槪念 = 214
Ⅳ. 文化國家原理의 內容 = 215
Ⅴ. 우리 憲法에 具體化된 文化國家原理 = 215
Ⅵ. 文化國家의 文化政策의 限界 = 217
제9절 國際平和主義와 國際法秩序 尊重 = 217
Ⅰ. 意義 = 217
Ⅱ. 憲法과 國際平和主義 = 218
Ⅲ. 憲法과 國際法秩序 = 221
Ⅳ. 條約 = 222
Ⅴ. 一般的으로 承認된 國際法規 = 228
Ⅵ. 外國人의 法的 地位의 保障 = 231
제4장 憲法의 基本制度
제1절 制度保障理論 = 233
Ⅰ. 制度保障의 沿革 및 意義 = 233
Ⅱ. C. Schmitt의 制度保障理論 = 234
Ⅲ. P. H$$\ddot a$$berle의 制度的 基本權 理論 = 235
Ⅳ. 制度保障의 性格 = 237
Ⅴ. 制度保障의 本質·對象 = 237
Ⅵ. 制度保障의 內容 = 238
Ⅶ. 制度保障과 基本權 保障의 相互關係 = 239
Ⅷ. 現行憲法上의 制度保障 = 240
제2절 政黨制度 = 241
Ⅰ. 처음에 = 241
Ⅱ. 議會民主主義와 政黨制民主主義의 比較 = 244
Ⅲ. 政黨에 관한 態度 變化와 立法例 및 憲法規定 = 244
Ⅳ. 政黨의 憲法上 地位와 法的 形態 = 248
Ⅴ. 政黨의 自由 = 251
Ⅵ. 政黨의 特權과 義務 = 257
Ⅶ. 政黨의 組織 = 259
Ⅷ. 政黨의 政治資金 = 260
Ⅸ. 政黨의 解散 = 266
제3절 國會議員의 國民代表地位와 政黨代表地位의 調和問題 = 268
Ⅰ. 國會議員의 國民代表者로서의 地位 = 268
Ⅱ. 政黨國家化 傾向과 自由委任과의 關係 = 270
Ⅲ. 自由委任原則과 政黨羈屬現實로 인한 憲法上의 爭點檢討 = 271
제4절 選擧制度 = 273
Ⅰ. 選擧의 意義 = 273
Ⅱ. 選擧人과 代表機關의 關係 = 277
Ⅲ. 選擧權과 被選擧權 = 278
Ⅳ. 選擧의 基本原則 = 282
Ⅴ. 代表制와 選擧區 = 302
Ⅵ. 現行 比例代表 國會議員 選擧制度의 問題點 = 310
Ⅶ. 選擧에 관한 不服制度 = 312
제5절 公務員制度 = 316
Ⅰ. 意義 = 316
Ⅱ. 公務員의 憲法上 地位 = 319
Ⅲ. 職業公務員制度 = 320
Ⅳ. 公務員의 基本權 制限 = 328
Ⅴ. 公務員의 任免 = 332
Ⅵ. 公務員의 權利·義務 = 332
제6절 地方自治制度 = 334
Ⅰ. 地方自治의 意義 = 334
Ⅱ. 地方自治體의 類型 = 336
Ⅲ. 地方自治에 관한 憲政史 = 338
Ⅳ. 地方自治의 本質 = 339
Ⅴ. 地方自治制의 保障 內容 = 340
Ⅵ. 地方自治團體의 權能 = 341
Ⅶ. 現行法上 地方自治制度 = 354
제7절 軍事制度 = 369
Ⅰ. 처음에 = 369
Ⅱ. 軍事에 관한 憲法上의 原則 = 369
Ⅲ. 國軍의 憲法上 地位 = 371
Ⅳ. 國軍의 組織과 統帥 = 371
Ⅴ. 軍事制度와 基本權 = 373
제8절 婚姻과 家族制度 = 376
Ⅰ. 婚姻과 家族制度에 관한 沿革과 憲法規定 = 376
Ⅱ. 婚姻과 家族制度의 憲法的 保障의 意義와 性格 = 376
Ⅲ. 文化國家原理와 關係 = 378
Ⅳ. 婚姻에 관한 憲法上 制度保障의 內容 = 378
Ⅴ. 家族에 관한 憲法上 制度保障의 內容 = 380
Ⅵ. 婚姻과 家族制度保障의 效力 = 382
제2편 基本權論
제1장 基本權總論
제1절 基本權 一般 = 385
Ⅰ. 基本權의 沿革 = 385
Ⅱ. 基本權의 法的 性格 = 393
Ⅲ. 基本權 保障의 現代的 特性 = 398
Ⅳ. 基本權의 直接的 效力에 대한 認識 增大 = 404
Ⅴ. 韓國憲法에서의 基本權 保障에 관한 憲政史 = 404
Ⅵ. 基本權의 分類 = 407
제2절 基本權의 主體 = 408
Ⅰ. 基本權의 主體로서의 國民 = 408
Ⅱ. 外國人의 基本權 主體性 = 411
Ⅲ. 法人의 基本權 主體性 = 417
제3절 基本權의 對國家的 效力 = 424
Ⅰ. 基本權의 對國家的 效力에 관한 論議 = 424
Ⅱ. 基本權의 直接的 效力性 認定 여부 論議 = 425
Ⅲ. 基本權의 國家權力 一般에 대한 拘束力 = 426
Ⅳ. 個別基本權의 對國家的 效力 = 429
제4절 基本權의 第3者的(對私人的) 效力 = 429
Ⅰ. 基本權의 第3者的 效力의 意義 및 登場背景 = 429
Ⅱ. 基本權의 第3者的 效力의 接近方法 = 431
Ⅲ. 外國의 理論構成 = 431
Ⅳ. 우리 憲法과 基本權의 第3者的 效力 = 436
Ⅴ. 基本權 相衝과 關係 = 439
제5절 基本權의 競合(競爭) 및 衝突(相衝) = 439
Ⅰ. 基本權의 競合 = 439
Ⅱ. 基本權의 衝突 = 443
제6절 基本權의 制限과 그 限界 = 449
Ⅰ. 基本權 制限의 意義와 類型 = 449
Ⅱ. 基本權의 構成要件 또는 規範領域分析에 의한 制限 = 450
Ⅲ. 基本權의 內在的 限界 = 450
Ⅳ. 基本權의 憲法的 限界 = 453
Ⅴ. 法律留保에 의한 基本權 制限 = 455
Ⅵ. 憲法改正權에 의한 基本權 制限問題 = 457
Ⅶ. 一般的 法律留保에 의한 基本權 制限과 그 限界 = 458
Ⅷ. 基本權의 例外的 制限 = 473
Ⅸ. 憲法上 基本權 制限原則에 위배된 法律 = 478
제7절 基本權의 侵害와 그 救濟 = 478
Ⅰ. 立法機關에 의한 基本權의 侵害와 그 救濟 = 479
Ⅱ. 行政機關에 의한 基本權의 侵害와 그 救濟 = 482
Ⅲ. 司法機關에 의한 基本權의 侵害와 그 救濟 = 484
Ⅳ. 私人에 의한 基本權의 侵害와 그 救濟 = 484
Ⅴ. 例外的인 救濟方法 = 484
Ⅵ. 基本權의 侵害와 救濟에 대한 새로운 視覺 = 485
제2장 人間의 尊嚴과 價値와 幸福追求權 및 生命權
제1절 人間의 尊嚴과 價値와 幸福追求權 = 487
Ⅰ. 憲法規定 = 487
Ⅱ. 憲法體系上으로 본 第10條의 規範構造分析 = 487
Ⅲ. 人間의 尊嚴과 價値 = 491
Ⅳ. 幸福追求權 = 496
제2절 生命權 = 504
Ⅰ. 生命權의 意義 = 504
Ⅱ. 生命權의 沿革 및 憲法的 根據 = 504
Ⅲ. 生命權의 主體 = 506
Ⅳ. 生命權의 法的 性質 = 506
Ⅴ. 生命權의 內容 및 效力 = 506
Ⅵ. 生命權의 制限 및 그 限界 = 507
Ⅶ. 生命權의 侵害에 대한 救濟 = 512
제3장 平等權
Ⅰ. 平等權의 意義 및 展開過程 = 513
Ⅱ. 우리 憲法上의 平等條項 = 514
Ⅲ. 平等의 原則과 平等權 = 514
Ⅳ. 平等權의 法的 性質 = 515
Ⅴ. 平等權의 主體 = 515
Ⅵ. 平等權의 內容 = 516
Ⅶ. 特權制度의 禁止 = 530
Ⅷ. 平等權의 效力 = 530
Ⅸ. 平等權의 制限 = 531
Ⅹ. 平等權 侵害와 救濟 = 534
XI. 積極的 平等實現措置(잠정적 우대조치, Affirmative action)와 逆差別問題 = 534
XII. 軍除隊者加算點 優待制度의 違憲性 = 537
제4장 自由權的 基本權
제1절 身體의 自由 = 541
Ⅰ. 身體의 自由의 意義·沿革·法的 性格·主體 = 542
Ⅱ. 身體의 自由의 內容 = 543
Ⅲ. 身體의 自由의 保障體系 = 546
Ⅳ. 身體의 自由의 實體的 保障 = 547
Ⅴ. 身體의 自由의 節次的 保障 = 556
Ⅵ. 刑事被疑者·刑事被告人의 刑事節次上의 權利 = 570
Ⅶ. 身體의 自由의 制限과 限界 = 576
제2절 私生活의 秘密과 自由 = 577
Ⅰ. 처음에 = 577
Ⅱ. 私生活의 秘密과 自由의 槪念과 法的 性格 = 578
Ⅲ. 私生活의 秘密과 自由의 主體 = 580
Ⅳ. 私生活의 秘密과 自由의 內容 = 580
Ⅴ. 私生活의 秘密과 自由의 效力 = 584
Ⅵ. 私生活의 秘密과 自由의 制限과 그 限界 = 585
Ⅶ. 私生活의 秘密과 自由의 侵害 및 救濟 = 588
제3절 住居의 自由 = 589
Ⅰ. 처음에 = 589
Ⅱ. 住居의 自由의 主體 = 590
Ⅲ. 住居의 自由의 法的 性格과 效力 = 590
Ⅳ. 住居의 自由의 內容 = 590
Ⅴ. 住居의 自由의 制限과 限界 = 593
제4절 住居·移轉의 自由 = 593
Ⅰ. 처음에 = 593
Ⅱ. 住居·移轉의 自由의 法的 性格 = 594
Ⅲ. 住居·移轉의 自由의 主體 = 594
Ⅳ. 住居·移轉의 自由의 內容 = 595
Ⅴ. 住居·移轉의 自由의 效力 = 597
Ⅵ. 住居·移轉의 自由의 制限과 그 效力 = 597
제5절 通信의 自由 = 599
Ⅰ. 처음에 = 599
Ⅱ. 通信의 自由의 保護法益 및 法的 性格 = 600
Ⅲ. 通信의 自由의 主體 = 600
Ⅳ. 通信의 自由의 內容 = 601
Ⅴ. 通信의 自由의 效力 = 602
Ⅵ. 通信의 自由의 限界와 制限 = 602
제6절 良心의 自由 = 607
Ⅰ. 처음에 = 607
Ⅱ. 良心의 自由와 그 밖의 基本權과의 關係 = 609
Ⅲ. 良心의 自由의 法的 性格 = 610
Ⅳ. 良心의 自由의 主體 = 610
Ⅴ. 良心의 自由의 內容 = 611
Ⅵ. 良心의 自由의 效力 = 615
Ⅶ. 良心의 自由의 限界와 制限 = 616
제7절 宗敎의 自由 = 619
Ⅰ. 宗敎의 自由의 意義 및 沿革 = 619
Ⅱ. 宗敎의 自由의 主體 = 620
Ⅲ. 宗敎의 自由의 內容 = 620
Ⅳ. 宗敎의 自由의 效力 = 623
Ⅴ. 宗敎의 自由의 制限과 限界 = 623
Ⅵ. 國敎否認과 政敎分離의 原則 = 624
제8절 言論·出版의 自由 = 626
Ⅰ. 처음에 = 626
Ⅱ. 言論·出版의 自由의 法的 性格 = 629
Ⅲ. 言論·出版의 自由와 他 基本權과의 關係 = 629
Ⅳ. 言論·出版의 自由의 主體 = 630
Ⅴ. 言論·出版의 自由의 內容 = 630
Ⅵ. 言論·出版의 自由의 效力 = 639
Ⅶ. 言論·出版의 自由의 限界 = 639
Ⅷ. 言論·出版의 自由의 制限 = 643
Ⅸ. 言論·出版의 自由 規制立法의 合憲性 判斷基準 = 648
Ⅹ. 言論·出版의 自由의 侵害와 救濟 = 651
제9절 알 權利 = 653
Ⅰ. 알 權利의 意義 = 653
Ⅱ. 알 權利의 沿革 = 653
Ⅲ. 알 權利의 憲法上 根據와 機能 = 654
Ⅳ. 알 權利의 法的 性格 = 654
Ⅴ. 알 權利의 內容 = 655
Ⅵ. 알 權利의 限界와 制限 = 657
제10절 集會·結社의 自由 = 660
Ⅰ. 集會·結社의 自由의 意義 및 沿革 = 660
Ⅱ. 集會의 自由 = 661
Ⅲ. 結社의 自由 = 668
제11절 學問의 自由 = 672
Ⅰ. 처음에 = 672
Ⅱ. 學問의 自由의 法的 性格 = 673
Ⅲ. 學問의 自由의 主體 = 673
Ⅳ. 學問의 自由의 內容 = 674
Ⅴ. 學問의 自由의 效力 = 675
Ⅵ. 學問의 自由의 制限과 限界 = 676
제12절 大學의 自治 = 676
Ⅰ. 大學自治의 意義 = 676
Ⅱ. 大學自治의 憲法上 根據 = 677
Ⅲ. 大學自治의 主體 = 677
Ⅳ. 大學自治의 法的 性格 = 678
Ⅴ. 大學自治의 內容 = 678
Ⅵ. 大學自治의 限界와 制限 = 680
제13절 藝術의 自由 = 680
Ⅰ. 藝術의 自由의 意義 = 680
Ⅱ. 藝術의 自由의 沿革 = 681
Ⅲ. 藝術의 自由의 法的 性格 = 681
Ⅳ. 藝術의 自由의 憲法上 機能 = 681
Ⅴ. 藝術의 自由의 主體 = 682
Ⅵ. 藝術의 自由의 內容 = 682
Ⅶ. 藝術의 自由의 效力 = 683
Ⅷ. 藝術의 自由의 制限과 限界 = 683
Ⅸ. 知的財産權의 保護 = 684
제14절 財産權 = 686
Ⅰ. 憲法規定과 財産權 保障의 憲法上 意義 = 686
Ⅱ. 財産權 保障의 憲法上 機能 = 686
Ⅲ. 財産權의 主體 = 687
Ⅳ. 財産權의 意義 및 範圍 = 688
Ⅴ. 財産權 保障의 法的 性格과 效力 = 690
Ⅵ. 財産權 保障의 內容 = 691
Ⅶ. 財産權의 憲法的 限界 = 694
Ⅷ. 財産權의 制限과 補償 = 697
Ⅸ. 財産權 制限의 限界 = 702
Ⅹ. 土地財産權에 대한 規制 = 706
제15절 職業選擇의 自由 = 711
Ⅰ. 職業選擇의 自由의 沿革 및 立法例 = 711
Ⅱ. 職業選擇의 自由의 意義와 法的 性格 = 711
Ⅲ. 職業選擇의 自由의 主體 = 712
Ⅳ. 職業選擇의 自由의 內容 = 712
Ⅴ. 職業選擇의 自由의 效力 = 714
Ⅵ. 職業選擇의 自由의 制限과 그 限界 = 715
제16절 消費者의 權利 = 719
Ⅰ. 意義 = 719
Ⅱ. 消費者權利의 憲法上 根據와 法的 性格 = 720
Ⅲ. 消費者權利의 主體 = 721
Ⅳ. 消費者權利의 內容 = 721
Ⅴ. 消費者權利의 效力 = 721
Ⅵ. 消費者權利의 侵害와 救濟 = 722
Ⅶ. 立法論 = 722
제5장 政治的 基本權
Ⅰ. 政治的 表現의 自由 = 723
Ⅱ. 政治的 活動의 自由 = 724
Ⅲ. 參政權 = 726
Ⅳ. 그 밖의 政治的 基本權 = 732
제6장 請求權的 基本權
제1절 請願權 = 733
Ⅰ. 請願權의 意義 = 733
Ⅱ. 請願權의 沿革 = 734
Ⅲ. 請願權의 憲法上 機能 = 735
Ⅳ. 請願權의 法的 性格 = 735
Ⅴ. 請願權의 主體 = 735
Ⅵ. 請願權의 內容 = 736
Ⅶ. 請願權의 行使의 效果 = 738
Ⅷ. 請願權의 效力 및 制限 = 738
Ⅸ. 옴부즈만(Ombudsman)制度 = 739
Ⅹ. 請願權과 行政爭訟과의 差異 = 740
제2절 裁判請求權 = 740
Ⅰ. 憲法規定 및 意義·沿革·立法例 = 740
Ⅱ. 裁判請求權의 法的 性格 = 742
Ⅲ. 裁判請求權의 主體 = 742
Ⅳ. 裁判請求權의 內容 = 742
Ⅴ. 裁判請求權의 效力 = 754
Ⅵ. 裁判請求權의 制限 및 限界 = 754
제3절 國家賠償請求權 = 759
Ⅰ. 國家賠償請求權의 意義 및 沿革 = 759
Ⅱ. 國家賠償請求權의 法的 性格 = 761
Ⅲ. 國家賠償請求權의 主體 = 761
Ⅳ. 國家賠償請求權의 內容 = 762
Ⅴ. 國家賠償請求의 相對方 = 765
Ⅵ. 國家賠償責任의 本質 = 766
Ⅶ. 求償權 行使의 要件 및 求償權者 = 768
Ⅷ. 國家賠償請求의 節次와 範圍 = 768
Ⅸ. 國家賠償請求權의 制限과 限界 = 769
제4절 刑事補償請求權 = 773
Ⅰ. 刑事補償請求權의 意義 및 沿革 및 立法例 = 773
Ⅱ. 刑事補償請求權의 法的 性格과 刑事補償의 本質 = 773
Ⅲ. 刑事補償請求權의 主體 = 774
Ⅳ. 刑事補償請求權의 內容 = 775
Ⅴ. 立法論 = 777
제5절 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 = 778
Ⅰ. 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의 意義 = 778
Ⅱ. 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의 沿革과 憲法規定 = 779
Ⅲ. 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의 法的 性格과 本質 = 779
Ⅳ. 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의 主體 = 780
Ⅴ. 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의 成立要件 = 780
Ⅵ. 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의 內容과 補充性 = 781
Ⅶ. 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의 行使 = 782
제7장 社會的 基本權
제1절 社會的 基本權의 意義와 法的 性格 = 783
Ⅰ. 社會的 基本權의 意義 = 783
Ⅱ. 社會的 基本權의 沿革 및 立法例 = 783
Ⅲ. 社會的 基本權과 社會主義的 基本權 = 784
Ⅳ. 社會的 基本權의 法的 性格 = 785
Ⅴ. 社會的 基本權의 特性 = 788
Ⅵ. 自由權과 社會的 基本權의 關係 = 789
Ⅶ. 自由權과 社會的 基本權의 의 相互接近 = 789
제2절 인간다운 生活權 = 790
Ⅰ. 인간다운 生活權의 意義와 沿革·立法例 = 790
Ⅱ. 인간다운 生活權의 憲法上 機能 = 790
Ⅲ. 인간다운 生活權의 法的 性格 = 791
Ⅳ. 인간다운 生活權의 主體 = 792
Ⅴ. 인간다운 生活權의 內容 = 792
Ⅵ. 인간다운 生活權의 效力 = 796
Ⅶ. 인간다운 生活權의 限界와 制限 = 797
Ⅷ. 인간다운 生活權의 侵害와 救濟 = 798
제3절 敎育을 받을 權利 = 799
Ⅰ. 敎育을 받을 權利의 意義 및 憲法規定 = 799
Ⅱ. 敎育을 받을 權利의 沿革 및 憲法上 機能 = 799
Ⅲ. 敎育을 받을 權利의 法的 性格 = 800
Ⅳ. 敎育을 받을 權利의 敎育을 시킬 權利의 主體 = 801
Ⅴ. 敎育을 받을 權利의 內容 = 802
Ⅵ. 敎育을 받을 權利의 保障策 = 807
Ⅶ. 敎育을 받을 權利의 效力 = 812
제4절 勤勞의 權利 = 813
Ⅰ. 勤勞의 權利의 意義와 沿革 및 憲法上 機能 = 813
Ⅱ. 勤勞의 權利의 法的 性格 = 814
Ⅲ. 勤勞의 權利의 主體 = 815
Ⅳ. 勤勞의 權利의 內容 = 816
Ⅴ. 勤勞의 權利의 效力 = 820
Ⅵ. 勤勞의 權利의 制限 = 821
제5절 勞動3權 = 821
Ⅰ. 勞動3權의 意義 및 法的 性格 = 821
Ⅱ. 勞動3權의 主體 = 823
Ⅲ. 勞動3權의 內容 = 825
Ⅳ. 勞動3權의 效力 = 832
Ⅴ. 勞動3權의 制限과 그 限界 = 833
제6절 環境權 = 837
Ⅰ. 環境權의 沿革 및 立法例 = 837
Ⅱ. 環境權의 意義와 特性 및 法的 性格 = 837
Ⅲ. 環境權의 主體 = 839
Ⅳ. 環境權의 內容 = 840
Ⅴ. 環境權의 效力 = 842
Ⅵ. 環境權의 限界와 制限 = 842
Ⅶ. 環境權의 侵害와 救濟 = 843
제7절 保健權 = 845
Ⅰ. 保健權의 意義 = 845
Ⅱ. 保健權의 沿革 및 憲法規定 = 845
Ⅲ. 保健權의 法的 性格 = 845
Ⅳ. 保健權의 主體 = 846
Ⅴ. 保健權의 內容 = 846
Ⅵ. 保健權의 效力 = 847
Ⅶ. 保健權의 制限 = 847
Ⅷ. 保健權의 侵害와 救濟 = 848
제8장 國民의 基本的 義務
Ⅰ. 基本的 義務의 意義 및 憲法規定 = 849
Ⅱ. 基本的 義務의 沿革 = 849
Ⅲ. 基本的 義務의 類型과 法的 性格 = 850
Ⅳ. 納稅의 義務 = 851
Ⅴ. 國防의 義務 = 853
Ⅵ. 敎育을 받게 할 義務 = 854
Ⅶ. 勞動의 義務 = 855
Ⅷ. 環境保全의 義務 = 856
Ⅸ. 財産權行使의 公共福利適合義務 = 856
제3편 統治構造論
제1장 統治構造 總則
제1절 統治構造의 本質과 根本理念 = 859
Ⅰ. 統治構造의 本質論 = 859
Ⅱ. 統治構造의 基本權 = 861
Ⅲ. 統治構造의 根本理念 = 862
Ⅳ. 우리 統治構造의 憲法理論上의 問題點 = 863
제2절 代議制度 = 864
Ⅰ. 代議制의 意義 = 864
Ⅱ. 代議制의 理念的 基礎 = 868
Ⅲ. 代議制 具現을 위한 前提條件 = 869
Ⅳ. 代議制의 機能 = 870
Ⅴ. 現代 民主國家에서의 代議制의 危機狀況과 克復方案 = 871
Ⅵ. 韓國憲法과 代議制 = 872
제3절 權力分立主義 = 873
Ⅰ. 權力分立의 意義 = 873
Ⅱ. 古典的 權力分立 = 875
Ⅲ. 權力分立의 憲法制度化와 그 類型 = 877
Ⅳ. 古典的 權力分立原理의 現代的 變質과 原因 = 877
Ⅴ. 現代的 權力統制理論 = 878
Ⅵ. 韓國憲法과 權力分立의 原理 = 881
제4절 政府形態論 = 882
Ⅰ. 政府形態의 意義 = 882
Ⅱ. 政府形態의 分類 = 883
Ⅲ. 議員內閣制 政府形態 = 884
Ⅳ. 大統領制 政府形態 = 890
Ⅴ. 大統領制와 議員內閣制의 比較 = 893
Ⅵ. 第3類型의 政府形態 = 894
Ⅶ. 韓國憲法과 政府形態 = 897
제2장 國會
제1절 議會制度의 意義 = 900
제2절 國會의 憲法上 地位 = 901
Ⅰ. 國民代表機關으로서의 國會 = 901
Ⅱ. 立法機關으로서의 國會 = 902
Ⅲ. 國政統制機關으로서의 國會 = 904
Ⅳ. 國家의 最高機關性 = 904
Ⅴ. 合議體의 國家意思決定機關으로서의 地位 = 905
제3절 國會의 構成·組織 및 運營 = 905
Ⅰ. 議會의 構成原理 = 905
Ⅱ. 國會의 構成과 國會議員의 選出方法 = 910
Ⅲ. 國會의 組織 = 912
Ⅳ. 國會의 運營과 議事節次 = 923
제4절 國會立法權의 範圍와 限界 및 統制 = 933
Ⅰ. 國會立法權의 意義 = 933
Ⅱ. 國會立法權의 範圍 = 934
Ⅲ. 國會의 立法權의 限界 = 939
제5절 國會의 立法에 관한 權限 = 941
Ⅰ. 憲法改正에 관한 權限 = 941
Ⅱ. 法律制定에 관한 權限 = 941
Ⅲ. 重要條約의 締結·批准에 관한 同意權 = 945
Ⅳ. 國會規則制定에 관한 權限 = 947
제6절 國會의 財政에 관한 權限 = 947
Ⅰ. 財政에 관한 憲法規定과 財政에 관한 原則 = 947
Ⅱ. 租稅法律主義 = 948
Ⅲ. 租稅平等主義 = 957
Ⅳ. 豫算의 審議·確定權 = 959
Ⅴ. 決算審査權 = 966
Ⅵ. 그 밖의 政府財政行爲에 대한 權限 = 967
제7절 國會의 國定統制에 관한 權限 = 967
Ⅰ. 彈劾訴追權 = 968
Ⅱ. 國政監査·調査權 = 971
Ⅲ. 國務總理·國務委員에 대한 解任建議權 = 971
Ⅳ. 國務總理·國務委員 등의 國會出席要求·質問權 = 973
Ⅴ. 其他 = 975
제8절 國政監査·調査權 = 975
Ⅰ. 國政監査·調査權의 意義 = 975
Ⅱ. 國政監査와 國政調査와의 關係 = 976
Ⅲ. 國政監査·調査와 監査院監査와의 關係 = 977
Ⅳ. 國政監査·調査權의 本質(법적 성격)과 機能 = 977
Ⅴ. 國政監査·調査의 主體와 對象機關 = 978
Ⅵ. 國政監査·調査의 對象 및 範圍 = 978
Ⅶ. 國政監査·調査의 時期·期間과 方法·場所 = 979
Ⅷ. 國政監査·調査의 效果 = 981
Ⅸ. 國政監査·調査의 限界 = 981
제9절 國會議員의 地位 = 984
Ⅰ. 國會議員의 憲法上 地位 = 984
Ⅱ. 議員資格의 發生과 消滅 = 985
Ⅲ. 議員의 任期와 權利 및 義務 = 987
Ⅳ. 國會議員의 身分上 特權 = 992
제10절 國會의 自律權 = 999
Ⅰ. 國會自律權의 意義와 根據 = 999
Ⅱ. 國會自律權의 內容 = 1000
Ⅲ. 國會의 自律權의 限界 = 1004
제3장 大統領과 行政府
제1절 政府의 槪念과 行政의 槪念 및 特性 = 1007
Ⅰ. 政府의 槪念 = 1007
Ⅱ. 政府의 槪念과 特性 = 1007
제2절 大統領의 地位와 先出 = 1008
Ⅰ. 大統領의 地位 = 1008
Ⅱ. 大統領의 先出 = 1016
제3절 大統領의 權限代行과 그 職務範圍 = 1019
Ⅰ. 憲法規定 = 1019
Ⅱ. 權限代行의 事由 = 1020
Ⅲ. 權限代行者 = 1020
Ⅳ. 權限代行期間 = 1021
Ⅴ. 權限代行者의 職務範圍 = 1022
Ⅵ. 後任者의 任期 = 1022
제4절 大統領의 國會 및 立法에 관한 根據 = 1023
Ⅰ. 大統領의 國會에 관한 權限 = 1023
Ⅱ. 大統領의 立法에 관한 權限 = 1023
Ⅲ. 憲法改正에 관한 權限 = 1030
제5절 大統領의 法律案拒否權 = 1031
Ⅰ. 法律案拒否權의 意義 및 制度的 趣旨 = 1031
Ⅱ. 法律案拒否制度의 機能 = 1032
Ⅲ. 法律案拒否權의 法的 性質 = 1032
Ⅳ. 法律案拒否權의 行使事由 = 1033
Ⅴ. 法律案拒否權의 行使節次 = 1033
Ⅵ. 法律案拒否權의 種類 = 1033
Ⅶ. 法律案拒否權 行使의 效果 = 1034
제6절 大統領의 行政에 관한 權限 = 1035
Ⅰ. 行政에 관한 最高決定權과 最高指揮權, 法律執行權 = 1035
Ⅱ. 外交에 관한 權限 = 1035
Ⅲ. 執行部構成權 및 公務員任免權 = 1036
Ⅳ. 國軍統帥權 = 1037
Ⅴ. 榮典授與權 = 1038
Ⅵ. 財政에 관한 權限 = 1038
제7절 大統領의 私法에 관한 權限 = 1038
Ⅰ. 赦免權 = 1038
Ⅱ. 違憲政黨解散提訴權 = 1042
제8절 大統領의 非常的 大權 = 1042
Ⅰ. 歷代 憲法에서의 國家緊急權 = 1043
Ⅱ. 緊急命令權 = 1043
Ⅲ. 緊急財政經濟處分 및 命令 = 1047
Ⅳ. 戒嚴宣布權 = 1050
Ⅴ. 國民投票附議權 = 1055
제9절 大統領의 權限行使의 方法과 그에 관한 統制 = 1056
Ⅰ. 大統領의 權限行使의 方法 = 1056
Ⅱ. 大統領의 權限行使에 대한 統制 = 1059
제10절 國務總理의 地位와 權限 = 1060
Ⅰ. 처음에 = 1060
Ⅱ. 國務總理의 憲法上 地位 = 1062
Ⅲ. 國務總理의 身分上 地位 = 1063
Ⅳ. 國務總理의 權限 = 1064
Ⅴ. 國務總理의 責任 = 1067
Ⅵ. 國務總理署理制度의 認定 與否 = 1067
제11절 國務會議와 國務委員 = 1068
Ⅰ. 政府形態와 國務會議의 類型 = 1068
Ⅱ. 歷代 憲法의 國務會議制度 = 1069
Ⅲ. 國務會議의 憲法上 地位 = 1069
Ⅳ. 國務會議의 構成 및 運營 = 1070
Ⅴ. 國務會議의 審議節次와 審議事項 = 1070
Ⅵ. 國務委員 = 1073
제12절 大統領의 諮問機構 = 1074
Ⅰ. 國家元老諮問會議 = 1074
Ⅱ. 國家安全保障會議 = 1074
Ⅲ. 民主平和統一諮問會議 = 1075
Ⅳ. 國民經濟諮問會議 = 1075
Ⅴ. 國家科學技術諮問會議 = 1076
제13절 行政各部 = 1076
Ⅰ. 行政各部의 意義 = 1076
Ⅱ. 行政各部의 長의 法的 地位 = 1076
Ⅲ. 行政各部의 長의 權限 = 1077
Ⅳ. 行政各部의 設置·組織·職務範圍 = 1078
제14절 監査院 = 1079
Ⅰ. 監査院의 意義·類型 및 沿革 = 1080
Ⅱ. 監査院의 憲法上 地位 = 1081
Ⅲ. 監査院의 構成 = 1081
Ⅳ. 監査院의 權限 = 1082
제4장 選擧管理委員會
Ⅰ. 憲法規定 = 1085
Ⅱ. 選擧管理委員會의 意義와 沿革 = 1086
Ⅲ. 選擧管理委員會의 機能 = 1086
Ⅳ. 選擧管理委員會의 憲法上 地位와 組織 = 1086
Ⅴ. 選擧管理委員會의 運營 = 1087
Ⅵ. 選擧管理委員會의 權限 = 1087
제5장 法院
제1절 司法權의 意義·範圍 및 限界 = 1089
Ⅰ. 司法權의 意義 = 1089
Ⅱ. 法院의 憲法上 地位 = 1090
Ⅲ. 司法權의 範圍 = 1090
Ⅳ. 司法權의 限界 = 1091
제2절 司法權의 獨立 = 1097
Ⅰ. 司法權의 獨立의 意義·沿革 및 制度的 價値 = 1097
Ⅱ. 法院의 獨立 = 1099
Ⅲ. 法官의 身分上 獨立 = 1100
Ⅳ. 法官의 職務上 獨立 = 1104
Ⅴ. 司法權 獨立에 대한 制限 = 1106
제3절 法院의 組織과 構成 = 1108
Ⅰ. 大法院 = 1108
Ⅱ. 高等法院 = 1113
Ⅲ. 特許法院 = 1113
Ⅳ. 地方法院 = 1114
Ⅴ. 家庭法院 = 1114
Ⅵ. 行政法院 = 1114
Ⅶ. 市郡法院 = 1114
Ⅷ. 軍事法院 = 1115
제4절 特別法院 = 1116
Ⅰ. 特別法院의 槪念 = 1117
Ⅱ. 特別法院의 設置可能性 = 1118
Ⅲ. 憲法上 特別法院 = 1118
Ⅳ. 特殊法院의 設置問題 = 1120
제5절 法院의 權限 = 1121
Ⅰ. 大法院의 權限 = 1121
Ⅱ. 高等法院의 權限 = 1125
Ⅲ. 地方法院의 權限 = 1125
제6절 司法節次와 運營 = 1126
Ⅰ. 裁判의 審級制 = 1127
Ⅱ. 裁判公開制 = 1128
Ⅲ. 法廷秩序維持權 = 1129
제6장 憲法裁判論
제1절 憲法裁判制度 一般論 = 1131
Ⅰ. 憲法裁判의 意義 = 1131
Ⅱ. 憲法裁判의 本質 = 1132
Ⅲ. 憲法裁判의 機能과 限界 = 1137
Ⅳ. 憲法裁判制度의 類型 = 1140
Ⅴ. 우리나라 憲法裁判制度의 憲政史 = 1143
Ⅵ. 外國의 憲法裁判制度 運營狀況 = 1146
제2절 憲法裁判所의 憲法上 地位 및 大法院과의 關係 = 1147
Ⅰ. 憲法裁判所의 憲法上 地位 = 1147
Ⅱ. 憲法裁判所와 大法院의 關係 = 1149
Ⅲ. 關聯 爭點의 檢討 = 1150
제3절 憲法裁判所의 構成과 審判節次 = 1153
Ⅰ. 憲法裁判所의 構成 = 1153
Ⅱ. 憲法裁判所의 審判節次 = 1156
제4절 違憲法律審判制度 = 1162
Ⅰ. 意義 = 1162
Ⅱ. 法院의 違憲法律審判提請節次 = 1163
Ⅲ. 違憲法律審判의 對象適格 = 1165
Ⅳ. 違憲法律審判提請의 要件 = 1171
Ⅴ. 憲法裁判所의 違憲法律審判 = 1175
Ⅵ. 違憲法律審判의 決定形式 = 1180
Ⅶ. 違憲決定의 效力 = 1188
제5절 彈劾審判制度 = 1194
Ⅰ. 彈劾의 意味 = 1194
Ⅱ. 彈劾制度의 政治的 價値 = 1195
Ⅲ. 彈劾訴追權 = 1196
Ⅳ. 憲法裁判所의 彈劾審判權 = 1199
Ⅴ. 彈劾의 決定 및 그 效果 = 1201
제6절 違憲政黨解散審判制度 = 1202
Ⅰ. 違憲政黨解散審判制度에 대한 槪觀 = 1202
Ⅱ. 政黨解散의 實質的 要件 = 1203
Ⅲ. 政黨解散審判節次 = 1204
Ⅳ. 違憲政黨解散決定의 效力 = 1206
제7절 權限爭議審判制度 = 1207
Ⅰ. 權限爭議審判의 意義 = 1207
Ⅱ. 權限爭議審判의 沿革 및 立法例 = 1208
Ⅲ. 現行憲法上의 權限爭議審判制度의 特徵 = 1208
Ⅳ. 權限爭議審判의 內容·種類와 當事者 = 1209
Ⅴ. 權限爭議審判의 請求事由와 請求期間 = 1217
Ⅵ. 權限爭議審判節次와 審判定足數 = 1220
Ⅶ. 決定의 效力 = 1221
제8절 憲法裁判所法 第68條 第1項 憲法訴願審判制度(권리구제형 헌법소원) = 1222
Ⅰ. 憲法訴願의 意義, 沿革 및 立法例 = 1222
Ⅱ. 憲法訴願의 本質(法的 性格)과 機能 = 1223
Ⅲ. 憲法訴願의 對象適格 = 1223
Ⅳ. 憲法訴願審判請求權者 = 1240
Ⅴ. 請求人適格 = 1242
Ⅵ. 補充性 = 1251
Ⅶ. 權利保護利益 = 1257
Ⅷ. 憲法訴願 審判請求期間 = 1260
Ⅸ. 辯護士强制主義 = 1264
Ⅹ. 一事不再理 = 1265
XI. 憲法訴願審判節次 = 1266
XII. 終局決定 = 1267
제9절 憲法裁判所法 第68項 第2項 憲法訴願審判制度(위헌심사제청형 헌법소원, 불복형 헌법소원) = 1270
Ⅰ. 처음에 = 1270
Ⅱ. 憲法裁判所法 第68條 第2項 憲法訴願의 法的 性格 = 1270
Ⅲ. 憲法裁判所法 第68條 第2項의 憲法訴願의 對象 = 1271
Ⅳ. 裁判의 前提性 = 1272
Ⅴ. 權利保護利益 = 1273
Ⅵ. 심판청구기간 = 1273
Ⅶ. 關聯 問題 = 1274
Ⅷ. 終局決定 = 1277
제10절 憲法裁判所의 規則制定權 = 1277
부록 = 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