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75n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340031 | |
005 | 20220927152647 | |
007 | ta | |
008 | 070404s200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1508293 ▼g 938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11 ▼2 23 |
085 | ▼a 497.11 ▼2 DDCK | |
090 | ▼a 497.11 ▼b 2007a | |
100 | 1 | ▼a 심경호, ▼g 沈慶昊, ▼d 1955- ▼0 AUTH(211009)126506 |
245 | 1 0 | ▼a 한학입문 / ▼d 심경호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a 漢學入門 |
250 | ▼a [신판] | |
260 | ▼a 서울 : ▼b 황소자리, ▼c 2007 ▼g (2013) | |
300 | ▼a 647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참고문헌(p. 591-594)과 색인수록 | |
500 | ▼a "한학연구입문"의 신판임 | |
500 | ▼a 부록: 사진, 이체자 관련자료, 哈佛燕京引得書目 외 | |
740 | 2 | ▼a 한학연구입문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1141103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3-24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114110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1170580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2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512364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512364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1141103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3-24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114110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1170580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2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512364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11 2007a | 등록번호 1512364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문학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와 활발한 저술로 유명한 심경호 교수가 한학을 처음 접하는 초학자들이나 일반인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집필한 한학 입문서. 한문의 기초부터 한문고전을 공부할 때 바탕이 되는 학문과 사상을 정리하고 한시와 한문소설의 감상법까지 안내한다.
총 16개의 강의로 이루어진 이 책은 한자어와 한문 문장의 짜임과 같은 말에 대한 상식에서부터, 한문고전을 배우기 위해 반드시 익혀두어야 할 소양, 주요 사상가들의 핵심적인 사유와 대표저작에 대한 설명, 한시와 한문산문의 감상과 작법까지 한학의 초학자들이 원전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들을 총망라해 꼼꼼하게 정리했다.
자형 변화 과정과 육서(六書)와 같은 한자의 상식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해 한문의 기초를 전수하고 우리 문화와 한자의 관계, 우리말에 유입된 외래 한자어의 수용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를 전개한다. <장자> <노자> <좌전> 등의 고전에서 뽑아낸 풍부한 예시를 통해 한자어의 짜임, 한문의 품사와 문형을 설명하는가 하면, <심청가>의 '파자 놀이'대목을 직접 인용하여 한자어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도 한다.
또 고전문헌 번역에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들을 두루 알려준다. 한문고전을 공부하기 위해 반드시 참고해야 할 사전과 문헌들을 자서(字書), 운서(韻書), 유서(類書), 총서(叢書), 지도 등으로 세분하여 소개하고, 인터넷에서 검색이 가능한 원전들의 목록을 철저히 조사하여 수록했다.
더불어 자신이 읽어온 수많은 한문고전들의 핵심과 그 사상적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독자들 앞에 펼쳐놓았다. 사서삼경, 삼례, 춘추삼전을 다루는 학문인 사서학, 경학, 예학과 춘추학과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사상가와 학설을 압축적으로 배울 수 있다.
이백과 두보, 박지원, 김시습 등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풀이하는 것은 물론, 우리나라와 일본, 베트남 등 한자문화권 국가들의 한문학의 흐름을 간략하게 개괄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한문문학을 총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부록으로 수록된 방대한 양의 참고자료도 유용하다. 사전의 목록과 색인, 인터넷 검색 자료, 미국의 중국학 관련 참고 서목과 전자자료센터, 국내의 데이터베이스까지 방대한 내용을 수록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서문 제1강 한자와 한자어 제2강 한자어의 짜임과 한문의 품사 제3강 한문 문장의 기본 문형과 확장 형식 제4강 한문의 구두와 번역 제5강 문헌학의 상식 제6강 사전과 공구서 제7강 유가 경전 해석학의 기초 제8강 사서와 사서학 제9강 삼경과 경학 제10강 예학과 춘추학 제11강 제자백가 제12강 역사 고전 제13강 불교 한문 제14강 한시 감상법과 작법 제15강 한문산문과 소설 제16강 한국한문학과 한자문화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