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번역의 원리 : 異문화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번역의 원리 : 異문화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2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平子義雄, 1940-2011 김한식, 1961-, 역 김나정, 1977-, 역
서명 / 저자사항
번역의 원리 : 異문화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 히라코 요시오 지음 ; 김한식 , 김나정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7.  
형태사항
275 p. ; 23 cm.
원표제
飜譯の原理 : 異文化をどう譯すか.
ISBN
9788974644178
일반주기
부록: 중요한 번역론·언어론.  
서지주기
참고문헌(p. 269-271) 및 색인수록.
000 00946camccc200301 k 4500
001 000045338968
005 20211207133626
007 ta
008 070213s2007 ulk AU 001c kor
020 ▼a 9788974644178 ▼g 93730
035 ▼a (KERIS)BIB000010821581
040 ▼a 211019 ▼d 211009 ▼c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418.02 ▼2 22
090 ▼a 418.02 ▼b 2007
100 1 ▼a 平子義雄, ▼d 1940-2011 ▼0 AUTH(211009)47713
245 1 0 ▼a 번역의 원리 : ▼b 異문화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 ▼d 히라코 요시오 지음 ; ▼e 김한식 , ▼e 김나정 옮김.
246 1 1 ▼a (The)principle of transtation.
246 1 9 ▼a 飜譯の原理 : 異文化をどう譯すか.
260 ▼a 서울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c 2007.
300 ▼a 275 p. ; ▼c 23 cm.
500 ▼a 부록: 중요한 번역론·언어론.
504 ▼a 참고문헌(p. 269-271) 및 색인수록.
700 1 ▼a 김한식, ▼d 1961-, ▼e▼0 AUTH(211009)31253
700 1 ▼a 김나정, ▼d 1977-, ▼e▼0 AUTH(211009)136595
900 1 1 ▼a Hirako, Yoshio, ▼d 1940-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2 2007 등록번호 1114066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2 2007 등록번호 111406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번역사의 지위와 역할, 언어와 이문화에 대한 의식적인 사고, 중요한 번역학.언어학 을 고찰함으로써 번역의 '이론적 측면'을 살펴보고 영-일 번역의 실제 사례를 들어 '실용적 측면'도 언급한다. 한국어와 가장 유사한 언어인 일본어를 통해 영어를 살펴봄으로써 세 나라의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경험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번역론의 기본적인 테마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면서 번역의 실전적 지식을 도출한다. 각 장의 처음에 '이 장에서 다룰 내용'을 정리하여 전체 개요를 제시했다. 제1장과 제2장에서는 번역이란 어떠한 행위인가를, 언어란 무엇인가라는 원점에서 논하고 있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번역을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으로 설명하고 일본어와 유럽 언어(영어 등)를 비교하면서 번역이 두 언어문화(세계관) 사이의 교류라는 점을 조명한다.

제5장에서는 번역이론을 실전에 응용해 보고, 제6장에서는 대상 텍스트의 종류는 번역론상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텍스트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번역해야 하는지를 논한다. 특히 문학 번역에 대해서 자세히 고찰한다.

부록에서는 번역 이론을 더 깊이 알고자 하는 독자를 위해 중요한 번역론언어론을 소개한다. 코세리우는 번역론에 있어서 틀리기 쉬운 네 가지 포인트를 지적하고 있으며 실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하이데거의 고토바(Kotoba)론은 일본어와 유럽어를 비교한 것으로, 번역에 대한 흥미진진한 힌트를 담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ⅰ
이 책의 구성 = ⅳ
1 번역사의 지위 - 번역사는 단순한 '중개인'이 아니다 = 1
 1. 번역사의 주체성이 발휘되는 두 단계 = 3
  1.1 해석 = 3
  1.2 표현 = 6
 2. 번역사의 권한 = 8
  2.1 번역의 의의 = 8
  2.2 번역의 창조적 측면 = 11
 3. 번역사의 일 = 13
  3.1 번역의 대상은 빠롤 = 13
  3.2 '실용'이라는 관점 = 15
 4. 번역에 필요한 지식 = 21
  4.1 세계지식과 언어지식 = 21
  4.2 텍스트 대응 원칙 = 22
  4.3 번역학과 언어학 = 24
2 번역의 원리 - 번역은 사전을 찾는 작업이 아니다 = 29
 1. 사전은 '이용'하는 것 = 31
 2. 출발어 텍스트를 의미등가적 도착어 텍스트로 표현하기 = 32
  2.1 출발어 텍스트와 도착어 텍스트 = 32
  2.2 텍스트 = 34
 3. '의미'란 무엇인가 = 35
  3.1 의미란 가치이다 = 35
  3.2 번역은 의미를 둘러싼 두 개의 통사론적 행위 = 40
 4. '의미등가'에 대해서 = 44
  4.1 코세리우가 분류한 세 가지 '의미' = 44
  4.2 의미등가 = 47
 5. 두 개의 언어관 = 50
  5.1 언어도구설 = 50
  5.2 언어세계관설 = 52
  5.3 언어초월적으로 = 55
3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번역(1) - 서로 다른 분절체계 간의 교류 = 59
 1. 일본어에 대한 의식적 사고 = 61
  1.1 통사적 자립성이 약하다는 것 = 62
  1.2 절대자를 대신해 상황이 기준이 된다는 것 = 64
  1.3 부분의 독립 = 71
 2. 언어와 분절 = 74
  2.1 분절의 개념 = 74
  2.2 외국어를 아는 것은 새로운 분절을 아는 것 = 77
 3. 세계관의 대비 = 80
  3.1 일본어의 세밀한 분절 = 80
  3.2 '언어접촉'으로서의 번역 = 92
4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번역(2) - 일본어 '문장'과 영어 'sentence' = 97
 1. 영문법으로 일본어를 설명하는 오류 = 99
  1.1 Sentence = 100
  1.2 인칭과 시제 = 104
  1.3 대명사와 수동태 = 109
 2. 사태서술문과 명제문 = 112
  2.1 사태서술(확인)문 = 114
  2.2 명제문 = 116
  2.3 사태서술문과 명제문의 대비 = 117
 3. 문장과 sentence = 119
  3.1 일본어의 '문장' = 119
  3.2 영어의 'sentence' = 123
 4. 일본어 문장과 영어 문장의 대비 = 124
  4.1 사태지향과 언어지향 = 124
  4.2 문장과 sentence의 대비 = 126
  4.3 언어구조의 차이를 의식하여 번역하기 = 130
5 번역의 실제 - 통사구조의 차이와 번역의 실제 = 139
 1. '일본어다움' 다루기 = 141
  1.1 서술문 다루기 = 141
  1.2 화법적 표현 다루기 = 145
  1.3 가역과 감역 = 148
  1.4 표기법, 정형표현 활용 = 151
 2. 일본어로 번역하기 = 160
  2.1 통사구조 보강 = 161
  2.2 종속문 번역하기 = 165
  2.3 시간적 배려 = 167
 3. 영어로 번역하기 = 169
  3.1 일-영 번역의 즐거움 = 169
  3.2 『오쿠노 호소미치』를 영어로 번역하기 = 172
6 텍스트 종류 - 일상회화는 전문용어보다 번역하기 쉽다? = 181
 1. 텍스트 종류 = 183
  1.1 실용론의 원칙 = 183
  1.2 코드 제약 = 184
 2. 번역의 두 종류 = 186
 3. 전문용어 번역 = 192
  3.1 자연과학ㆍ생활과학 문헌 번역 = 192
  3.2 사회과학 문헌 번역 = 195
  3.3 철학 문헌 번역 = 197
 4. 문학 번역 = 205
  4.1 미적 언어 = 205
  4.2 문학 번역 = 213
[부록] 중요한 번역론ㆍ언어론 = 229
맺음말 = 268
참고문헌 = 269
인명색인 = 272
색인 = 27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