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2278camccc200445 k 4500 | |
001 | 000045338916 | |
005 | 20100805105106 | |
007 | ta | |
008 | 061031s2006 ulka b 000c kor | |
020 | ▼a 8981684146 ▼g 93370: ▼c \25,000 | |
024 | 3 | ▼a 9788981684143 |
035 | ▼a (KERIS)BIB000010725242 | |
040 | ▼a 241026 ▼c 241026 ▼d 244002 | |
082 | 0 4 | ▼a 375 ▼2 22 |
090 | ▼a 375 ▼b 2006h | |
245 | 0 0 | ▼a After tyler : ▼b curriculum theorizing 1970-2000 / ▼d 김영천 편저. |
246 | 0 4 | ▼a 교육과정 이론화 1970년-2000년. |
260 | ▼a 서울 : ▼b 문음사 , ▼c 2006. | |
300 | ▼a 585 p. : ▼b 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05 | 0 | ▼a Tyler 이후의 교육과정 이론화: 그 때와 지금 / 김영천 --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 재개념화의 역사 / 김평국 -- 랄프 타일러와 교육과정 연구 / 조재식 -- 질적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조재식 -- 숙의와 교육과정 연구 / 김대현 -- 상징적 상호작용:민속방법론과 교육과정 연구 / 손민호 -- 현상학과 교육과정 연구 / 이근호 -- 교육비평과 교육과정 연구 / 김명희 -- 내러티브와 교육과정 연구 / 박민정 -- 생애사 방법과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허창수 -- 실행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 성열관 -- 비판이론과 교육과정 연구 / 허창수 -- 페미니즘과 교육과정 연구 / 곽삼근 --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과정 연구 / 김복영 -- 오리엔탈리즘과 교육과정 연구 / 주재홍 -- 탈식민주의와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
700 | 1 | ▼a 김영천. ▼t Tyler 이후의 교육과정 이론화: 그 때와 지금 ▼0 AUTH(211009)91108 |
700 | 1 | ▼a 김평국. ▼t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 재개념화의 역사 |
700 | 1 | ▼a 조재식. ▼t 랄프 타일러와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김영천. ▼t 질적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김대현. ▼t 숙의와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손민호. ▼t 상징적 상호작용:민속방법론과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이근호. ▼t 현상학과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김명희. ▼t 교육비평과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박민정. ▼t 내러티브와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김영천. ▼t 생애사 방법과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허창수 |
700 | 1 | ▼a 성열관. ▼t 실행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허창수. ▼t 비판이론과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곽삼근. ▼t 페미니즘과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김복영. ▼t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주재홍. ▼t 오리엔탈리즘과 교육과정 연구 |
700 | 1 | ▼a 김영천. ▼t 탈식민주의와 교육과정 연구 |
740 | ▼a Curriculum theorizing 1970-2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6h | 등록번호 11144568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5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5 2006h | 등록번호 15122327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6h | 등록번호 11144568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5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5 2006h | 등록번호 15122327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영천(지은이)
한양대학교 교육학과와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1995년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교육과정 이론과 질적연구방법론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1998년 이래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과 수업, 교육평가, 질적연구를 가르치고 있다. 지난 20여년에 걸쳐서 약 40권 이상의 저서와 50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2016년 한국의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교육과 그림자교육(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약 7년간 연구하여 맥밀란 출판사를 통하여 『Shadow Education and the Curriuclum and Culture of Schooling in South Korea』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목차
목차 추천의 글 / William Pinar = 3 서문 / 김영천 = 7 Part Ⅰ 개관 개관 Tyler 이후의 교육과정 이론화 : 그때와 지금 / 김영천 = 19 Part Ⅱ 역사와 비평 제1장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 재개념화의 역사 / 김평국 = 49 1. 도입 = 49 2. 1970년대 이전의 상황 = 50 3. 변화의 이론화 작업 = 52 4. 1970년대의 교육과정 학계 = 54 5. 벽장으로부터의 탈출 = 63 6. 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 66 제2장 랄프 타일러와 교육과정 연구 / 조재식 = 71 1. 서론 = 72 2. 랄프 타일러의 주된 학문적 업적 = 74 3. 타일러의 흔적들과 반성 = 79 4. 타일러 논거에 대한 계속된 비평 = 90 5. 변화하는 우리의 교육과정 연구들 = 95 6. 결론 및 시사점 = 98 제3장 질적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 조재식 = 105 1. 서론 = 105 2. 교육과정 영역에서의 질적연구 = 108 3. 요약과 논의 = 146 Part Ⅲ 해석적 이론화 전통들 제4장 숙의와 교육과정 연구 / 김대현 = 165 1. 서론 = 165 2. 숙의의 개념 = 167 3. 숙의연구의 발달 = 173 4. 우리나라에서의 숙의연구 = 186 5. 숙의연구의 전망 = 191 제5장 상징적 상호작용/민속방법론과 교육과정 연구 / 손민호 = 195 1. 규범주의에 대한 해석적 패러다임의 도전 = 195 2. 상황의 주관적 해석과 사회적 상호작용 = 200 3. 일상의 실천적 토대와 사회적 상호작용 = 203 4. 민속방법론과 현장 타당성 = 206 5. 인식론과 지식사회학의 제 문제 = 210 6. 실천적 지식에 대한 실천론적 접근 = 214 제6장 현상학과 교육과정 연구 / 이근호 = 223 1. 들어가는 말 = 223 2. 현상학의 주요 개념들 = 226 3. 현상학적 교육과정 탐구의 계보 = 235 4. van Manen과 해석학적 현상학 = 243 5. 맺는말 = 252 제7장 교육비평과 교육과정 연구 / 김명희 = 257 1. 서론 = 257 2. 교육과정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교육비평 = 259 3. 교육비평의 연구 동향 = 265 4. 교육비평의 적용 = 267 5. 한국 교육과정과 수업연구에서 교육비평의 적용 사례 = 276 6. 시사점 = 280 제8장 내러티브와 교육과정 연구 / 박민정 = 287 1. 서론 = 287 2. 내러티브에 대한 서구와 국내의 연구동향 = 290 3. 내러티브의 개념 = 298 4. 내러티브 관점의 기본 가정 = 301 5. 내러티브 관점이 교육과정 연구에 주는 시사점 = 307 제9장 생애사 방법과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 허창수 = 317 1. 서론 = 317 2. 생애사의 의미 = 320 3. 교육과정에서의 생애사 연구 = 324 4. 교육과정 연구에서 생애사 텍스트의 시사점 = 346 Part Ⅳ 비판적 이론화 전통들 제10장 실행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 성열관 = 363 1. 실행연구의 개념 = 363 2. 실행연구의 성장과 발전 = 366 3. 실행연구의 주요 문제 및 특징 = 372 4. 실행연구의 타당성 준거 = 386 5. 교육혁신의 방법론으로서의 실행연구 = 389 제11장 비판이론과 교육과정 연구 / 허창수 = 397 1. 들어가기 = 397 2. 한국 교육과정의 개념 = 400 3. 비판이론 관련 연구주제들 = 402 4. 한국 교육과정 연구에서 비판이론 연구에 대한 비판 = 427 5. 비판이론과 관련된 참고 저서에 대한 소개 = 431 제12장 페미니즘과 교육과정 연구 / 곽삼근 = 441 1. 서론 : 왜 페미니즘인가? = 441 2. 페미니즘의 개념 및 유형 = 443 3. 여성주의 교육 이론 및 연구동향 = 446 4. 페미니스트 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동향 및 내용 = 463 5. 한국의 페미니스트 교육과정 연구 사례 = 469 6. 결론 : 페미니스트 교육과정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479 Part Ⅴ 해체적 이론화 전통들 제13장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과정 연구 / 김복영 = 493 1. 서론 = 493 2.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및 특징 = 496 3. 포스트모던 교육과정 연구의 시각 = 500 4. 새로운 패러다임의 은유 = 504 5. 결론 = 507 제14장 오리엔탈리즘과 교육과정 연구 / 주재홍 = 511 1. 서론 = 511 2. 오리엔탈리즘의 이해 = 515 3. 교육과정 연구와 오리엔탈리즘의 개념적 적용 = 527 4. 결론 = 542 제15장 탈식민주의와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 549 1. 서론 = 549 2.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의 식민성 = 553 3. 새로운 정체성을 향한 탈주 = 558 4. 결론 = 577